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0 국가유산기본법은 명칭 바꾼 것 말고 실질 변화는 전혀 없다! 내 아무리 살펴도 이것 말고는 없다. 따라서 이것이 현장에서 혼란이 빚어지는 이유는 딴 게 없다. 명칭과 분류 체계만 바꿨다고 하면 될 것을 문화재청이 더 욕심내서 문화재, 곧 그네들이 말하는 국가유산 근간이 바뀌는 것처럼 지난 1년간 이걸 준비하는 과정에서 호도하고 뻥을 쳤기 때문이다. 간단하다 이번 개정은. 문화재보호법을 이름만 국가유산기본법으로 바꾸는 그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에 따라 기존에 통용하는 '문화재'라는 말을 '국가유산'이라는 말로 바꾸었고, 나아가 그 세부로 들어가서는 1. 유형문화유산 2. 무형유산 3. 기념물 4. 중요민속문화재(이 분류도 최근에는 조금 변했다) 네 가지를 1. 문화유산 2. 자연유산 3. 무형유산 이 세 가지로 개편한 데 지나지 않는다. 딱 이거다. 난 이것 .. 2024. 3. 21. 시체 얼굴에 수은을 쏟아부은 고대 일본 무덤[2] 검劍과 경鏡 이런 신선을 시해선屍解仙이라 한다. 이런 측면이 고대 일본에서는 어떻게 구현하는가? 놀랍게도 저 칼이 세트를 이루어 출현했다. 무엇과 세트인가? 칼이 나왔으면 당연히 따라 나와야 하는 유물이 있다. 시체 얼굴에 수은을 쏟아부은 고대 일본 무덤[1] 검劍과 경鏡 시체 얼굴에 수은을 쏟아부은 고대 일본 무덤[1] 검劍과 경鏡 위선 이 소식을 접하기 전에 일본 고고학계에서 통용하는 특유한 용어를 알아둠이 좋다. 먼저 할죽형 목관割竹形木棺이란 말이 있다. 얼빠진 한국고고학도 중에서도 이 용어를 그대로 가져와 historylibrary.net 앞선 저 글 말미에서 나는 이와 같이 적었다. 작금 일본 고고학을 달구는 4세기 후반 무렵 고분시대 일본국 나라奈良 부웅환산고분富雄丸山古墳[도미오 마루야마 고훈] 발굴성과를.. 2024. 3. 21. 부웅환산고분富雄丸山古墳이란? [요약본] 나라시奈良市 서쪽 환산丸山 제1호 녹지緑地에 소재하는 4세기 무렵 고대 일본 유력자 대형 봉토분으로 공중에서 내려다 본 모습은 둥글다. 인근 택지개발로 주변은 많이 변했으나 환산丸山2·3호분이라는 다른 무덤과 함께 보존되었다. 명치시대에 매장주체부가 도굴되어 많은 유물이 나왔으며 다행히 수습되어 지금은 경도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국중요문화재国重要文化財로도 지정되어 있다. 천리대학天理大学 부속 천리참고관天理参考館이 소장한 삼각연신수경三角縁神獣鏡 3면面 또한 이곳 출토품이라는 소문이 있다. 봉분에는 식륜埴輪, 곧 하니와를 매장한 양상이 확인된다. 무덤을 만든 시기는 구체로는 고분시대 전기 후반인 4세기 후반으로 생각된다. 소화昭和 47년에 분구 측량조사와 더불어 분정부墳頂部라 해서 봉분 꼭대기 부분 매장.. 2024. 3. 21. 코로나가 바꾼 새벽 학회 필자처럼 공부로 먹고 사는 사람들에게 있어 COVID-19이 일상을 바꾸어 놓은 것 중의 하나가 버추얼, 온라인 심포지움이 가능해진 것이다. 오늘 새벽 5시부터 미국에서 학회가 진행 중인데 필자와 경희대 홍종하 교수도 한 꼭지 발표를 했다. 사람과 동물의 고병리를 하나로 통합해서 보자는 심포지움으로 미국 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참가자가 나왔다. 그러다 보니 필자처럼 동아시아 참가자는 새벽 5시부터 미팅에 들어가야 했는데-. 요즘 나이가 들어 아침 잠이 없어 이런 새벽 미팅은 오히려 참가가 편하다. 젊은 시절이었으면 곤욕이었을 것이다. 세상이 참 좋아졌다. 비행기를 타지 않고도 이런 미팅이 가능해 졌으니-. 학회에서 필자에 대한 소개는 QR코드로 홈피 링크를 시켜 대신했다. 이런 점도 세상이 바뀐 사례이.. 2024. 3. 21. 해양박물관, 문체부·중앙박물관 욕심에 주도권은 해수부로 이젠 이 이야기도 기억하는 사람이 문화재청에도 없고, 문화체육관광부에도 없다. 그걸 기억할 만한 사람들은 이젠 모조리 현직에서는 사라졌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 해서 해양수산부로서도 불만이 없는가? 천만에. 해수부 쪽에서 적어도 저 업무, 곧 해양박물관과 관련해 문체부를 보는 시각은 싸늘하기 짝이 없다. 박물관 주무부처라는 이유로 사사건건 이런저런 규정 들이밀며 해수부가 추진하는 해양박물관 증설을 지체케 하거나 가로막는다 보기 때문이다. 무슨 타당성 심사니 사전평가니 해서 불만이 팽배하고, 그에 더불어 기존에 이미 들어선 부산 국립해양박물관 같은 데서는 3년마다인지 해야 하는 무슨 심사니 해서 돌아버린다는 아우성이 넘쳐난다. 각설하고 저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곧 왜 문체부 때문에 해양박물관 관련 사업이.. 2024. 3. 20. 이런 바오밥나무는 없었다, 신미식 사진전 전시에 초대합니다. 2006년에 처음 마다가스카르 여행을 시작으로 2024년까지 18년 동안 28번 이 나라를 탐닉했다. 사람들과 눈부시게 아름다운 풍광을 만났다. 누군가에게 들었던 수천 년 된 바오밥나무의 존재는 나에게 새로운 꿈이었고 도전이었다. 2023년 2월 13일 마다가스카르의 수도 타나에서 꼬박 5박 6일을 달려가서 비밀처럼 숨어있던 바오밥나무를 만났다. 바오밥나무를 만나고 1년이 넘는 동안 그 어디에도 이 사진들을 공개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큰사이즈로 프린트된 실물에 근접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애초에 내가 원했던 실제 크기로 전시를 하지 못하지만 바오밥나무가 주는 당당함은 느낄 수 있을 만큼 준비했다. 내 마음속에 고이 간직한 이 소중한 꿈의 나무를 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눌.. 2024. 3. 20. 이전 1 ··· 1205 1206 1207 1208 1209 1210 1211 ··· 366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