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60

식륜埴輪, 그 끝을 향해 달리는 메스리야마고분メスリ山古墳(1) 한국고고학도들이 동경국립박물관보다 많이, 그리고 자주 가는 데가 나라현립奈良県立 가시하라고고연구소橿原考古学研究所라는 데라, 나 역시 이짝을 훨씬 많이 다녔으니 왜 이 촌구석을 그리도 선호하는지 알 수는 없지만, 암튼 한국에서 고고학으로 방귀께나 낀다는 사람은 한 번쯤 가야 하는 성지로 군림한다. 이 연구소는 부속 박물관을 두고 있거니와, 나라현에서 발굴한 고고상품 중 쓸 만한 건 나라국립박물관보다는 이쪽을 가는 편이 좋기는 하다. 유물 관리시스템이 우리랑은 조금 달라 저짝에서는 발굴한 기관이 다 틀어쥔다. 우리가 박물관에 왜 줘? 딱 이거다. 죽쑤어 개주는 꼴을 적어도 일본국에서는 안 당한다. 암튼 저 박물관을 처음 대하는 사람들은 위선 그 입구를 장식하는 무수한 하니와에 놀라고, 다음으로는 그 압도하는.. 2024. 3. 20.
2024 허준박물관 박물관대학 [2024 허준박물관 박물관대학] ⠀ 제15회 박물관대학이 곧 시작됩니다! ⠀ 이번 박물관대학은 다양한 문화 속에서 치유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알아보는 '치유의 문화사(文化史)'라는 주제로 진행됩니다. ⠀ 자세한 접수 관련 내용은 프로필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많은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 #허준박물관 #박물관대학 #박물관교육 #성인교육 #박물관 #미술관 #문화사 #교육 2024. 3. 20.
[독설고고학] 구멍무늬토기바리 vs. 구순각목공렬토기발口脣刻目孔列土器鉢 어느 박물관이 청동기시대 유물이라고 소장 전시 중인 질그릇이다. 아가리 테두리를 돌아가며 구멍을 뚫은 점이 특징이며 전체 모양은 바리[鉢]에 가깝다. 그래서인지 이 질그릇 명패를 이리 달아놓았다. 구멍무늬토기바리 口脣刻目孔列土器鉢 Rim-perporated Pottery 서울 역삼동 집자리 Dwelling Site at Yeoksam-dong, Seoul 청동기시대 Bronze Age 10th~5th c. B.C 한글 명칭 구멍무늬토기바리도 그렇고 그에 대응하는 한자어 조합 구순각목공렬토기발口脣刻目孔列土器鉢도 그렇고 우리네 고고유물 명칭이 너무나 번다하다. 이리 된 이유는 한국고고학이 지나친 일본 세례를 받은 데서 비롯하고 또 무엇보다 원본이 한글 이름이 아니라 일본식 한자 조합인 구순각목 운운이라는 데.. 2024. 3. 20.
너무나 황홀한 화산, 그 역설 https://www.youtube.com/watch?v=_aLQuim2JxY 산불도 특히 그런데, 이쪽을 많이 취재하는 내 전직 공장 사진기자 동료 이야기를 들으면, 강원 산불 때마다 사진을 찍으면 너무 황홀하게 나서와서 고민이라는 말을 하곤 한다. 그 어떤 행위 예술보다 더 찬란한 것이 불이다. 저 찬란한 예술의 걸작이 실은 폼페이 유적이다. 그렇다 해서 우리는 저걸 황홀이라 부를 수는 없지 않은가? 그래도 황홀하니 어쩌겠는가? 아이슬란드 화산이 폭발했다는데 그 모습이 저리 장관일 수가 없다. 2024. 3. 20.
2천년을 사는 타클라마칸 도마뱀 사막에서도 놀이는 있다. 내가 젤로 기억에 남는 놀이는 도마뱀 갖고 놀기였다. 한나라 때 봉수대 진흙벽을 뚫고 사는 이놈들 꼬챙이로 파서 한 마리 잡아서 실컷 놀다 놔줬다. (2022. 3. 20) 저 도마뱀이 사는 곳이 아래다. 타클라마칸 사막을 뚫고 선 漢나라 시대 진흙 봉수대다. 2024. 3. 20.
[백수일기] 뒤늦게 접한 회칼 소식 이것도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생각보다 나는 세파에 신경쓰지 않는다. 명색이 30년 기자생활을 했다지만, 난 근원에서 뉴스를 싫어한다. 성정이 그렇다. 그래서 부장질할 때도 가끔씩 너는 뉴스도 안 보냐는 핀잔을 듣기도 했으니, 그때는 하도 이리저리 얽힌 일이 많으니 부장으로서 다른 분야 뉴스도 체크해야 했기에 그런 대로 의무감에 살핀다고 했는데도 그 모양이었다. 요새야 뉴스가 유통하는 경로가 주로 sns이기는 하고, 내가 뉴스 채널보다는 이쪽을 선호하는 까닭에 역설로 종래보다 뉴스를 접할 기회가 많기는 하지만, 이른바 정치 소신 발언하는 포스팅은 하도 꼴이 뵈기 싫어 아예 쳐다도 안 보니 더 한지도 모르겠다. 물론 그렇다 해서 아주 끊었느냐 하면 그건 아니라서 문화재 관련 소식은 그런대로 업데이트를 꾸.. 2024.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