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52 먼지를 일으켜 공포를 유발하는 거란군 앞서 거란군 전법 중에 어린이나 노약자를 총알받이로 내세우는 이야기를 했거니와, 그 이야기가 수록된 요사遼史 권34 지志 제3 병위지兵衛志 상上을 보면 그에 이어 오늘 방영한 드라마 고려거란전쟁 31화에서 보인 먼지 일으키기 전법이 있으니 다음과 같다. 또 타초곡打草穀 집안 장정[家下]들을 시켜 말에다가 두 빗자루를 매어 바람을 이용해 재빨리 달리게 해서 적진에 먼지를 일으키며 번갈아 오가게 한다. 그리하여 적군이 주리고 눈뜨고 볼 수 없는 지경이 되면 승리를 거둔다. 먄악 진영 남쪽이 승리하고 진영 북쪽이 패했지만 주장主將이 진중에 있으면서 알지 못하면 본국의 사방 산천 이름을 부르면서 소리쳐 부름으로써 그에 응하여 서로를 구원한다. 又令打草穀家下馬施變雙帚,因風疾她,揚塵敵陣,更互往來。中既饑疲,目不相視,.. 2024. 3. 9. 전투에 앞서 말꼬리 묶어 천지신명에 기도한 거란군 방금 끝난 고려거란전쟁 31화인가를 보면 귀주 벌판에서 거란군과 한 판 붙기 전에 거란군이 행하는 의식 중에 말꼬리를 끈으로 묶고 천지신명한테 기도하면서 검은 염소 한 마리를 희생으로 삼는 장면이 있거니와, 이게 나름으로 근거가 있다. 요사遼史 권50 지志 제20 예지禮志 삼군의三軍儀 예지禮志4를 보면 황제친정의皇帝親征儀라 해서 황제가 직접 전쟁에 출전해 전투를 행할 무렵에 행하는 의식이 소개됐거니와, 개중 한 구절에 이런 표현이 있다. 장차 적군을 접촉하기 전에 말꼬리를 묶어 하늘과 땅에다가 기도하며 배례한 다음에 적진으로 달려든다. 성을 함락하고 적군을 무찌른 뒤에에도 하늘과 땅에 제사하는데 흰 양과 검은 양을 희생으로 쓴다. 將臨敵,結馬尾,祈拜天地而後入。下城克敵,祭天地,牲以白黑羊。 이것 말고 반사班.. 2024. 3. 9. 고대 메소포타미아 푸아비 여왕이 걸친 인더스 보석 장식품 아이러니한 사실은 인더스의 장인정신과 예술성의 가장 놀라운 사례 중 하나가 모헨조다로 Mohenjo-daro 나 하라파Harappa, 심지어는 아대륙 subcontinent 이 아니라 고대 메소포타미아 ancient Mesopotamia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이다. 이 장식품은 기원전 2500년쯤에 조립되었다는 대략적인 날짜도 있다. 그리고 누구를 위해 만들었는지도. 우르 시 city of Ur 푸아비 여왕 Queen Puabi이다. 그녀가 죽었을 때, 그 수의는 너무 많은 홍옥수 carnelian, 청금석 lapis , 금, 마노 agate 로 만들어졌기에 그 당시 보는 사람들이 그래야 했던 것처럼 오늘날 우리도 숨이 막힐 정도다. 그것이 발견되고 나서, 10년 전 투탕카멘 무덤에서 발견된 것과 비교 검토.. 2024. 3. 9. 머리가 큰 조선군을 조심해라 어느 정도 잘 알려진 사실인데, 조선 후기 나선정벌 때 조선군이 러시아인들을 격퇴한 적이 있는데 이때 러시아인들 사이에서는 조선군을 가리켜 "머리 큰 놈들을 조심해라"라고 했다는 믿거나 말거나의 말이 있다. 그런데 한국인이라고 특별히 머리가 클까? 그것보다 한국인이 머리가 크다고 느끼는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첫째는 한국인은 머리가 양쪽으로 넓고 앞뒤로 짧아서 전면에서 볼 때 다른 인종보다 머리가 커 보인다. 둘째는 한국인들이 미국인 헬맷을 쓸 때 머리 폭이 좌우로 짧은 헬맷을 쓰기 때문에 꽉끼는것처럼 느낀다는 말이다. 따라서 왜 나는 헬멧이 머리에 꽉 끼지, 하고 좌절하게 된다. 한국인이 머리가 큰가 보구나 하고 생각하게 된다. 물론 사실을 보자면 이 경우에도 좌우로 꽉 끼는 대신에 앞뒤는 헐렁.. 2024. 3. 9. 이정후의 헬멧과 한국인의 머리 최근 미국으로 진출한 이정후의 헬멧이 자꾸 벗겨진다는 이야기가 화제가 되었는데, 왜 이렇게 되는가? 이유는 이렇다. 한국인의 머리 두상은 단두, 광안, 고두다. 무슨 말이냐 하면, 머리의 앞뒤 길이가 짧고 얼굴이 넓고 머리 높이가 높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머리 모양이 바둑돌 모양인데 이마의 높이가 높다는 뜻이고, 이 때문에 한국인들은 서구인들의 헬멧을 쓰면 잘 안맞는다. 한국군이 미군 화이바를 쓰면 눈썹을 가릴 수가 없다. 이마의 높이가 높기 때문이다. 때문에 미군의 헬멧을 쓸 때 한국인의 얼굴 폭에 맞게 헬멧을 고르면 앞뒤가 너무 길고 게다가 헬멧이 머리 위에 높게 걸려 눈썹이 드러나고 헬멧이 머리 위에서 뱅글 뱅글 돌게 된다. 이 때문에 한국군의 헬멧은 전부 한국인의 표준치에 맞게 디자인된 것으로 .. 2024. 3. 9. 평양을 능가하는 청천강변 대도회 안주 앞서 자비 유배 출전인 황자黃梓(1689)~?)의 1734년 진주사행陳奏使行 기행록인 갑인연행록甲寅燕行錄을 보면 오가는 길목에 안주安州 라는 데를 모름지기 지나기 마련이라, 이곳은 청천강변이라, 나루가 모름지기 있기 마련이며, 나아가 바다에서 거리가 얼마되지 아니하는 까닭에 배가 들어왔을 곳이다. 이런 데 도시가 형성되기 마련이어니와, 고려거란전쟁에서도 중요한 무대로 등장하는 곳이기도 하다. 고려는 거란과 압록강을 경계로 설정하기는 했지만, 일단 그것이 뚫리면 1차 방어선이 청천강이라, 이 청천강을 지켜야 서경을 보호하게 된다. 고려시대 안주가 어떤 면모였는지 증언이 많지 않아 아쉽기 짝이 없거니와, 그로부터서 훨씬 시대를 내려와 조선시대 증언을 보면 그곳이 점거하는 위치를 가늠케 하는 대목이 적지 않으.. 2024. 3. 9. 이전 1 ··· 1224 1225 1226 1227 1228 1229 1230 ··· 36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