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51 사설학원 열어 연명하는 조선시대 유배 생활 황자黃梓(1689)~?) 1734년 진주사행陳奏使行이라는 대청 사신단에서 서장관 자격으로 북경을 간다. 이때 정사正使가 서명균徐命均, 부사副使가 박문수朴文秀였다. 갑인연행록甲寅燕行錄은 이 사행길에서 그가 보고 들은 내용을 정리한 것이라, 청淸 옹정제雍正帝 12년, 조선 영조 10년 갑인년이라 해서 이리 이름하고 그의 문집 필의재유고畢依齋遺稿에 수록됐다. 7월 2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잘 다녀오겠다고 영조를 배알하고 출발한 삼사三使는 이후에는 각자 도생이라 만났다가 헤어지고 각자 개인일도 보고 하는 요새 같으면 있을 수 없는 행태를 보이는데, 이것이 조선시대 사행길 일반 패턴이었다. 삼사가 붙어다니면 쌈박질밖에 더 하겠는가? 암튼 서장관 역시 넘버3이기는 했지만, 고위공무원단이라 전용 차가 배정되었으니, 그.. 2024. 3. 8. 조선시대는 고려시대보다 반드시 뭔가 달라야 한다는 강박관념 고려에서 조선시대 사이의 획기는 단지 왕조가 교체되었을 뿐 아니라 반드시 두시대 사이는 뭔가 다르게 설정해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으니 이는 바로 "역사는 발전한다"는 테제를 지키기 위한 것이다. 역사는 발전한다, 그건 좋은데 일본을 보면 도저히 하나로 묶기 어려울 것 같은 헤이케 정권에서 에도막부까지를 묶어 무가정권이라 부른다. 필자가 보기엔 우리나라 고려왕조와 조선후기까지의 사회의 질적 차이는 헤이케 정권에서 에도막부사이의 차이보다도 더 적다. 헤이케 정권과 에도막부는 고려왕조와 조선후기까지의 차이와 비교하면 완전히 다른 사회인데도, 이를 무가정권이라 하나로 묶고, 굳이 에도시대를 따로 쓰고 싶다면 여기서 근세를 따로 둔다는 말이다. 고려시대를 귀족사회, 조선시대를 사대부사회. 억지다. 고려시대의 잘나.. 2024. 3. 8. [마질차] (4) 형수가 되었을 여인을 노리는 시동생 그때 태손太孫 소명전군昭明殿君이 이미 태어난 상태였고, 무열제는 (며느리인) 자의慈儀의 현숙함을 매우 아꼈다. (27세 흠돌欽突 전) 그때란 26세 풍월주인 진공이 흠돌한테 풍월주 자리를 물려준 때다. 이때가 656년 태종무열왕 재위 3년째다. 따라서 이로 보면 문무왕 김법민과 그의 정비 자의 사이의 맏이인 소명태자는 656년 혹은 그 직전에 태어났다. 소명을 전군이라 부르는 까닭은 아직 정식 왕자 혹은 태손으로 임명되기 전이었기 때문이다. 전군은 정식 왕자보다는 한 등급 낮은 왕의 아들을 지칭하는 호칭이다. 이 두 가지 증언과 삼국사기 김흠운 열전을 종합할 때, 여기서 일어나는 일대 의문이 있다. 앞서 보았듯이 김흠운은 655년 백제와의 조천성 전투에 출전했다가 장렬히 전사했고, 그때 관위가 어느 정도.. 2024. 3. 8. 골동상이 가져와 구입한 이화여대박물관 소장 국보 청자 1946년 4월 1일, 인천시립박물관 개관과 더불어 만 27세에 그 초대 관장으로 복무한 이경성은 1954년 3월 31일, 36세에 그곳을 사임하고서는 활동 무대를 인천에서 서울로 옮긴다. 그 자신의 이력서에는 이 무렵 홍익대 연세대 한양대 서바벌예대, 수도여사대, 덕성여대를 전전한 보따리 강사 시절로 묘사하거니와, 이로 보아 무슨 뚜렷한 대안이 있어 관장직을 사임한 것만은 아닌 듯하다. 왜 사임하게 되었는지 그 이유가 회고록에는 거의 드러나지 아니하는데, 외압이 있었던 게 아닌가 하는 심증을 강하게 준다. 이러한 세월 속에서 인천이 고향인 나는 여러 가지 일을 벌일 수 있었는데 서울에 있던 친구들이 그만큼 인천을 위해 봉사하였으면 되었지 그만 올라와서 전국적인 바탕에서 일을하고 미술 평론가로서의 길을 .. 2024. 3. 8. 고려와 조선시대는 질적으로 동일한 사회이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는 시대 구분을 하면 안 되는 시기다. 두 시대 모두 사대부사회다. 고려시대가 귀족사회가 아니라는 말이다. 두 시대 모두 과거제에 기반한 사대부 사회로 북송 이후 중국의 사대부사회에 정확히 대응하며, 일본의 경우 헤이케 정권 이후 무가정권에 대응하는 단계다. 일본에서 무가정권을 헤이케-가마쿠라-남북조(무로마치)-전국시대-도쿠가와 시대로 나누듯이 그렇게 우리도 장구한 고려시대 이후의 기간을 사대부사회 하나로 묶고 그 안에서 시대를 다시 나눠야 한다. 고려시대가 조선시대와 정말 그렇게 질적으로 다른 사회였는지 곰곰히 생각해 볼때가 됐다. 2024. 3. 8. 미술사가 석남石南 이경성李慶成(1919~2009)의 학적 편력 대한민국 제1호 공립박물관인 인천시립박물관 초대관장이며 이화여대 교수와 홍익대 교수를 거쳐 훗날 국립현대미술관장을 역임하는 그의 회고록 겸 수필집인 《어느 미술관장의 회상》(시공사, 1998, 2 초판1쇄) 에서 저자 스스로가 밝힌 이력을 정리한다. 다만 이 이력이 백퍼 팩트라고는 확신할 수는 없다. 기억 착란이 있을 수 있고 분식 또한 없다 장담해서도 안 된다. 함에도 식민지시대, 특히 그 중기에 태어나 태평양전쟁기 무렵에 대학생활을 보낸 인텔리겐차 전형을 보인다는 점에서 그의 이력은 주시해야 한다. 이에 의하면 그는 1919년 2월 17일(음력인지 양력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아버지 이학순과 어머니 진보배의 장남으로 인천 화평동 37번지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본래 유성에서 터전을 삼았다. 그러다가.. 2024. 3. 7. 이전 1 ··· 1226 1227 1228 1229 1230 1231 1232 ··· 365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