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8 나이가 들면 민족의 옷을 벗어야 나이가 환갑 줄에 들어서기 시작하면, 기독교와 이슬람의 진리가 맞다면 영생에 더 가까와졌다는 것이요, 불교가 맞다면 환생에 한발자욱 더 근접해 졌다는 것이겠다. 60 평생을 입고 살아온 민족의 옷도 벗을 날이 그만큼 더 가까와졌다는 뜻도 되겠다. 나이가 들면 민족 따위는 이제 다 벗고 동양의 시각에서, 인류의 시각에서 세상사를 다시 봐야 한다. 한국에 지금까지 인문학 대가가 나오지 못한 것은 바로 이러한 인류보편사에 관심을 갖지 못한 편협함에 기인한다. 보편사를 논하지 못하면 대가는 나올 수 없다. 민족은 젊은 친구들이 떠들게 놔두고 민족 이야기 할 시간에 영감들은 보편을 이야기해야 한다. 2023. 10. 28. 정창원 고문서 제첨축 보며 자아비판한다 정창원 고문서 중 하나로 그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여기선 양식만 주목하기 바란다. 두루마리 문서다. 닥종이에 쓴 공문서. 문젠 말아 놓은 상태로 보관했다가는 무슨 문서인지 나중엔 알 수 없다는 거. 인덱스가 필요한데 그걸 두루마리 문서에선 저런 주걱모양 나무꽂이를 썼다. 이를 제첨축이라 한다. 함안 성산산성 6세기 신라 목간에서 제첨축이 확인됐다 해서 난리친 적이 있다. 그 난리는 내가 일본측 연구자 이성시 히라가와 미나미랑 주동했지만 그러면서 신라문서행정 고도화 운운했지만 다 개뻥이었다. 왜 신라가 저 시대에 문서행정을 안했다 생각하는가? 그 점에서 저 제첨축은 신라 원시미개주의 발로였다고 자아비판한다. 2023. 10. 28. 나이가 든다는 것: 축소되는 어휘의 수 필자도 이제는 나이가 들어서인지 글쓸 때 적당한 어휘가 있었는데 금방 기억이 안나는 경우가 있다. 영어 국문 양쪽 모두 불문이다. 필자 짐작으로는 지금 과거에 기억하던 어휘가 아예 기억이 안나는 경우는 없는데 뭔가 적당한 표현이 있었는데.. 망설이는 시간은 분명히 길어졌다. 필자의 선배님들도 연세가 드시면 어휘의 수가 많이 줄어들었구나 느낄 때가 있다. 연세 드신 양반들일수록 글이 어색하게 보이는 이유는 그 때문이다. 얼른 기억나는 어휘가 줄어드는 것이다. 그러니 선택의 폭이 좁은 어휘안에서만 적당한 표현을 찾게 되고 그러자니 문장이 이상해 지는 것이다. 많은 부분에서 나이가 든다는 것은 젋었을 때 상상한 그런 것과는 차이가 있다. 젊은 나이일 때는 자신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꺾인다는 것을 상상하지 .. 2023. 10. 28. 삼불 김원용 선생 30주기 추모회 2023년 11월 15일 오후 세시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 에서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 동창회 주최로 열린다. 삼불이 초대 교수로 부임한 서울대 고고인류학과는 훗날 고고미술사학과와 인류학과로 분리됐다. #김원용 #김원룡 #김원용30주기 2023. 10. 28. 나는 왜 정창원에 집착하는가? 누군가 물었다. 이번 특별전에는 어떤 유물을 눈여겨볼 만한가? 모른다 퉁치고 말았다. 내가 몰라서 그리 말했겠는가? 그가 묻는 의미를 안다. 한국 관련 유물이 있던가? 라는 질문이다. 말하거니와 난 그딴 데 관심 하나도 없다. 내가 매양 하는 말, 나한테는 모든 역사가 삼국사기 삼국유사 고려사 실록이다. 이것이 한반도에서 왔다? 그딴 거 하나도 관심없다. 내가 왜 그 딴 데 관심을 둔단 말인가? 나는 인문학도지 국사학도가 아니다. 실크로드? 웃기는 소리들 그만하자. 이 정창원 유물이 어딜 거쳐 일본에 왔네 하는 그딴 지도 한장짜리 그려놓고 개구라 푸는 역사학 난 안 한다. 나는 저 정창원 자체를 까부시고 싶다. 이젠 때가 됐다. 정창원 책 하나를 쓸 때가. 2023. 10. 28. 해직시절 전한 정창원전, 2016 제68회 특별전 [김태식 문화재통신] 68회 정창원 특별전 64건 출품, 칠호병(漆胡瓶)은 18년만에 선보여 일본 나라국립박물관에서 매년 가을 한 차례 개최하는 일본 고대황실 보물창고 특별전인 ‘쇼소인(正倉院)’전 올해 68회 행사가 토요일인 지난 22일 개막해 오는 11월 7일까지 17일간 계속된다. 올해 특별전에는 북창(北倉·호쿠소) 10건, 중창(中倉·추소) 29건, 남창(南倉·난소) 22건 외에 성어장(聖語蔵·소고죠) 3건을 합친 총 64건이 출품됐다. 이중 이번에 처음으로 공개된 유물은 9건이다. 정창원은 일본을 대표하는 고도(古道) 중 한 곳인 나라(奈良)에 소재하는 고대 일본 천황가 목제 보물 창고 이름으로, 이곳 유서 깊은 고찰 동대사(東大寺) 인근에 현존한다. 남북 방향이 긴 一자 형식 고상식(高床式) .. 2023. 10. 28. 이전 1 ··· 1512 1513 1514 1515 1516 1517 1518 ··· 36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