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8 2023 제75회 정창원 출품작 (1) 요상한 나무 주전자 각조오동금은화형합자刻彫梧桐金銀繪花形合子 이름이 아주 길어 각조오동금은화형합자 명문 刻彫梧桐金銀繪花形合子 銘文 이라 먼저 끊어읽기 문제가 대두하는데 본체는 화형/합자라 꽃모양 합자 라는 말이다. 합자는 그 기능 모를 때 그냥 붙이는 말. 전체 모양이 꽃 봉우리처럼 생긴 물건이란 뜻이다. 조각 / 오동 은 오동나무를 조각했다 혹은 그렇게 만든 이란 의미. 금은회金銀繪는 글자 그대로는 금과 은으로 그린 이란 의미인데 이 문맥에선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는 모르겠다. 몸통 아래 바닥에 계단戒壇 이라는 묵서가 있어 동대사東大寺 계단과 관계한 물품이구나 짐작할 뿐이다. 천상 모양은 영지버섯이고 그 색감 역시 그러하거니와 전체 품새는 거북이나 자라를 닮았다. 몸통 조각은 오동나무 재질이라 해서 메이지시대에 저리 이름했다. 그렇담 실제는 어떠한가? 이번 도록을.. 2023. 10. 27. 일교차 심한 나라, 그래도 날은 밝고 2023년 10월 27일 금요일 오전 일곱시 일본국 나라시 현재 기온 13도. 낮 최고기온 22도라는데 동시대 한국 기온이랑 진배없는 모미지철이다. 오늘 오전 나라국립박물관에서 제75회 정창원전 개막식이 있다. 나는 그에 참석해 둘러보며 일행들은 동대사로 행차한다. 특별전 촬영은 개막식이 제일 형편이 좋다. 듣자니 생각보다 이 특별전 일본 언론쪽 관심이 덜하다는데 간단하다. 공동주최가 요미우리 신문인 까닭이다. 남의 잔치 좋아하는 언론사 없다. 저 산 너머가 교토 아닌가 하는데 저 산맥이 병풍처럼 둘러쳤다. 2023. 10. 27. [백수일기] (19) 그날 빨래는 그날 해치워야 방법? 간단하다. 언젠가 썼듯이 어차피 하루 한 번 이상은 하는 샤워 이용하면 된다. 여행 다니며 뽀송뽀송 빨래 바라겠는가? 땀 냄새 지우는 물빨래로 족하다. 어차피 샴푸 린스 등등 쓰는 거 일거 양득 그대로 뿌리고 머리 사티구니 타고 흐른 저 물결 빨래 적시기 마련이라 나는 질근질근 잘근잘근 밟아주면 그뿐이다. 저리 해서 마르면? 온몸에서 샴푸 린스 냄새가 난다. 부처님 된 기분이다. 어젯밤 잠밧때기를 저리 하고선 일어났더니 얼마나 건조한지 새벽이 다 말랐더라. 2023. 10. 27. 20세기, 그리고 독립운동을 뛰어넘는 안중근 선생 한국에서 소위 독립운동가 중에 가장 특이한 양반이 나는 안중근 선생이라고 생각한다. 이 양반의 동양평화론이던가, 그리고 옥중에서 썼다는 여러 글의 내용을 보고, 이 분은 도대체 한국 독립을 위해 이토를 쐈다는 간단한 언설로 설명이 가능한 양반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는 말이다. 지금도 이 양반을 한국의 독립운동가라는 틀안에만 넣어두고 필요할 때만 꺼내 보려는 시각이 많다고 보는데, 안중근 선생이 죽기전 써 놓은 글을 보면 독립운동가의 글이라는 선입견을 갖고 보면 딱 당황하기 좋은 내용들 뿐이다. 이 양반은 20세기 시각으로 보는 것 보다는 21세기의 시각으로 보면 어쩌면 이해가 갈 부분이 많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사실 지금 시각으로도 완전히 이해간다고 이야기하기는 난감한 부분도 여전히 있을 수 있.. 2023. 10. 27. 하얼빈 의거 144주년 단편영화 <안중근> https://youtu.be/EJifvw4wEAg?si=q7uHxt08dxc6PWs0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44주년을 맞아 제작한 단편영화 을 유튜브에 공개하였습니다. 많은 관람 부탁드립니다.(상영시간 약 20분) #안중근 #단편영화 #국가보훈부 #안중근의사기념관 #파라독스스튜디오 #좋아요부탁 2023. 10. 26. 덴마크 병원선과 안중근의 아들 덴마크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유엔 회원국 중 가장 먼저 의료지원 의사를 표명한 나라로 같은 해 3월 4개의 수술실과 356개의 병상이 구비된 'MS유틀란디아'호가 한국에 파견돼 1953년 10월 16일 덴마크로 귀항할 때까지 한국에 3회에 거쳐 총 999일간 유엔 군인뿐만 아니라 한국 민간인 수만 명을 치료했다. 이 배는 안중근 가족사와 특별한 인연이 있는데 1939년 '박문사 화해극'에 동원되어 호부견자(虎父犬子) 소리를 들은 안중근의 아들 안준생(1907~1952)이 1950년 귀국 후 부산 피난 시절에 폐결핵에 걸려 치료와 요양을 받았던 배이기 때문이다. 이토 사망 30주기를 맞아 경성에 만든 박문사에서 이토 위패에 절을 하는 사진을 찍은 이후 독립운동을 하던 민족주의자들에게는 멸시를, .. 2023. 10. 26. 이전 1 ··· 1515 1516 1517 1518 1519 1520 1521 ··· 36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