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8

청화백자 모란무늬 항아리 도자사 전공자 방병선 선생님께서 도자기 스케치를 책으로 해볼 생각이 없느냐고 하셨는데, 사실 도자기를 좋아하기는 하지만 그걸 그리는 건 다른 문제라서. 일단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걸 시험삼아 그려보고, 횡설수설이나마 글도 하나 적어본다. 내가 분원자기를 좋아한다고 하면 다들 뜻밖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다. 고려 전공이니 고려자기겠지 또는 요즘 유행인 달항아리겠거니 하다가 의외의 답을 들으니 그런가 싶은데, 그럴 때면 답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해준다. "19세기에 분원에서 나온 청화백자 모란무늬 항아리, 그 청백색 때깔의 둥근 항아리를 좋아합니다." 꽤 흔한 형태에 문양이다. 가격으로 봐도 그리 비싸지 않다. 입술 아래 살짝 턱이 있는 걸 보면 뚜껑이 있었던듯 한데 남아있는 걸 보진 못했다. 그 시절에 .. 2023. 10. 27.
포은을 사랑한 우물 밖의 개구리, 마크 피터슨 교수님 오늘, 용인시 문화예술원 국제회의실에서 “용인 충렬서원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이란 주제의 학술회의를 개최했다. 학술회의를 위해 발표자와 토론자를 섭외하던 중, 발표자 중 한 사람인 신채용 선생님이 마크 피터슨(Mark peterson) 교수님께서 기조강연을 할 수 없겠느냐고 먼저 제안을 해주셨다. 마크 피터슨 교수님은 하버드대에서 한국학을 전공하시고, 브리검영대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셨다. 평소 마크 피터슨 교수님 얘기를 들어왔던 터라, 그리고 외국 석학이 기조강연을 먼저 제안해주시다니! 포은을 너무 사랑하시고 정몽주 묘역에도 이미 방문해서 유튜브 영상도 찍으셨다는데, 당연히 O.K!! 그리고 오늘, 학술회의 당일! 한국말을 잘 하신다고 들었지만, 유창하게 정몽주의 단심가 ”이 몸이 죽고 죽어, 일 .. 2023. 10. 27.
어딘가 익숙한 옛 나라역사 JR나라역과 그 전면 버스정류장이다. 왼편 허연 건물이 기차역이다. 나라를 운행하는 버스들은 이곳을 헤드쿼터 삼아 운행한다. 문젠 저 건물. 어딘가 기시감이 대단할 것이다. 어디서 봤는데 아리까리한 느낌을 준다. 어딘가? 그 전면을 보면 이렇다.. 지금은 나라관광안내센터로 쓰는 저 건물 내력은 어떤가? 정리하면 이렇다. 본래 역사다. JR나라역 개설과 더불어 본래 자리서 북동쪽으로 통째로 들어 18미터를 이동했다. 대전역 보급창고에서 우리가 얼마전에 본 그 모습으로 이동했다. 그렇담 기시감은 출처가 무엇인가? 국립경주박물관 본관이다. 대놓고 베꼈다. 2023. 10. 27.
과연 누구의 책임인가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역사를 보다 보면 이런 표현이 적지 않다. "임금께서 밝고 어지셨으나, 간악한 신료들과 요망한 계집들이 성총聖聰을 흐리사 백성들을 도탄에 빠뜨렸다." 언뜻 들으면 그럴 듯한 말이고 실제로 그런 측면도 없지 않았겠지만, 만약 그랬다면 임금의 역할은 뭐란 말인가. 임금이 지녀야 할 권리와 의무, 그리고 나라를 망친 책임은 저 표현만으로 사라져버리게 된다. . 2016년을 기록하는 역사가가 저런 표현을 쓰지 않기를 바라고 또 바란다. (2016. 10. 27) #간신 #군신 #임금과신하 2023. 10. 27.
소치 따라 그려본 추사 김완당 소치가 그린 의 모습을 참조해 그려보았다. 추사가 실제로 대정 바다에 나가 본 적이 있는지는 약간 고민스럽다. 추사 제자 고환당 강위가 증언하기를 "선생은 10년간 울타리 밖을 나가지 못하셨다"고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또 역으로 추사 문집엔 제주의 풍경을 보고 읊은 시들이 적지 않고, 또 추사가 존경한 동파가 나막신 신고 하이난 섬의 바닷가를 걸어다녔다 하지 않던가. 추사도 정당벌립에 나막신 차림으로 바다를 보았다 해서 안 될 것은 없겠지 싶다. 담계 옹방강 어른은 "옛 경전을 즐긴다" 하였고 운대 완원 어른은 "남이 말한 것을 또 말하기를 즐기지 않는다"고 하였다. 두 어른 말씀을 내 평생 다했거늘 어찌하여! 바다와 하늘 사이에 정당벌립 하나 쓰고 문득 원우 연간의 죄인같이 되었는고. - 김정희, 2023. 10. 27.
[백수일기] (21) 온 김에로부터의 해방 이번 정창원 일행 중 한 분도 한 이야기지만, 또 나 역시 부쩍 자주 하는 말이지만 나이 먹고서 피해야 하는 여행이 강박이다. 온 김에 이곳도 보고 저곳도 보고 해야 한다는 강박으로부터의 해방이 갈수록 필요하다. 이 필요함이 또 다른 강박이 아닌가 하는 역설이 있기는 하다만 또 쉽게 갈 수 없는 데는 그런 식으로 넋 놓았다가 모름지기 후회하기 마련이기는 하다만 이젠 나이 들어 그런 강박은 되도록 떨쳐내려 한다. 아쉬우면 아쉬운 대로 풀어줘야지 또 어떡하겠는가? 이번 일본행은 아주 짧다. 2박3일이라지만 정창원 개막식 참석이 있는 오늘 하루가 전부이며 첫날과 마지막날은 출발과 귀국 말고는 다른 일정을 짤 수가 없다. 오늘 오전 정창원 개막식에서 기운을 다 뺐다. 본래는 함께하기로 한 일정에서 벗어나 점심 .. 2023. 10.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