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64 교회사는 미사가 아니다 교회사는 미사가 아니다. 교회사가 개인과 교단의 신심을 확인하는 도구가 될 수 있겠지만 이 논리가 그 종교를 믿지 않는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미쳐서는 안되는 것 아니겠나. 한국의 성리학자들이 왜 18-19세기 엄중한 시기에 굳게 믿어오던 유교적 신념을 버리고 기독교를 택했는가, 그 사상적 동향, 세계사적 의미에 대해서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가장 지금까지 방해해 온 것은 역설적으로 교단이 중심이 되어 수행한 교회사다. 필자의 앞 글, 초기 천주교회는 개신교를 더 닮았다는 이야기, 아마 교회사를 연구하는 분들은 대개 눈치를 채고 있었을 것이다. 누가 봐도 당연한 이야기를 지금까지 전혀 몰랐을 수 있는가? 물론 이러한 관점이 백프로 옳다고 할 수는 없지만 이런 시각의 이야기가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말이다... 2025. 4. 28. 판테온이 고대 건축공학의 정수? 어떤 놈이? 로마 판테온Pantheon은 우리가 흔히 대하는 각도랑 다른 시선에서 포착한 장면이다.아마 이 일대에는 드론을 띄우지 못할 텐데 이런 건 관계 당국에서 홍보용으로 촬영하지 않았나 싶다. 이 판테온은 유사 상품이 많다. 하도 유명하니 너도나도 베껴갔다. 언어권별 표기가 약간 다르지만 저 분이 원조 격이다. 원조 삼겹살 원조 감자탕 할 때 그 원조 말이다. 파리에도 저걸 흉내낸 건물이 있으니 저쪽은 코맹맹이 소리가 나니 팡테옹이라 한다. 로마엔 로마가 없다. 2천년 전, 더욱 정확히는 이미 1천500년 전에 망한 로마가 남긴 무슨 흔적이 제대로 남았겠는가?콜로세움? 다 쥐어 뜯기고 쥐포 몇 모타리 남았을 뿐이다. 로마는 전부 사라졌거나 지하에 쳐박혀 있다. 지상으로 노출된 몇 안 되는 로마시대 유산 중 하나.. 2025. 4. 28. 개신교와 더 닮은 초기 한국 천주교 이런 생각 해보셨는지 모르겠다. 한국 천주교는 재미있는 해프닝이 있다. 한국 천주교가 자랑스러워 하는 부분이기도 한데, 선교사의 선교 없이 교회를 세웠다는 부분. 선교사나 신부가 오지도 않았는데 신도들끼리 성직자도 정하고 미사도 드리고 성사도 주고 했다는 부분-. 그러다가 북경성당에 확인해 보고 정식 성직자가 아니면 성사를 줄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듣고 자생적 교회를 해체했다는 부분인데, 사실 한국 천주교에서는 이 부분을 자랑스러워 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지만, 냉정히 따져 보면 당시 한국천주교회를 세운 사람들 대부분이 성리학자였다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그다지 놀라운 일도 아니다. 왜 그럴까? 성리학에서는 선교사나 사도전승으로 대표되는 스승에서 제자로의 전수는 그다지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천주교.. 2025. 4. 27. 이러다 로마 참빗까지 실크로드 타령 나올 듯 Roman, probably 3rd-4th century AD This double-sided comb probably came from a woman’s grave. The inscription has sometimes been explained as Modestina Vale (‘Modestina, farewell’), but in that case the final word would be mis-spelt. (Source: The British Museum) 로마 시대, 아마도 서기 3-4세기 무렵에 만들었을 빗이랜다. 이 양면 빗은 아마도 여성 무덤에서 발견되었으리라 본다지만, 글쎄다 남자 무덤에서도 제법 다온다.저 가운데 몸통을 따라 라틴어를 박았으니 확실치는 아니하나 Modestina Val.. 2025. 4. 27. 업계 단연하는 언터처블 빌렌도르프 비너스는 이탈리아산? The famous Venus Willendorf, an 11 centimeter figurine dating about 30,000 years old, was discovered in 1908 in the town of Willendorf, in the Wachau Valley in Austria. And today it is exhibited at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Vienna. 너무나도 유명해서 구석기 비너스가 널부러졌지만 개중에서도 압도하는 셀렙이라, 빌렌도르프 비너스(Venus Willendorf)다. 약 3만 년 전 유산으로 11cm 크기밖에 되지 않는 구석기 조각으로, 1908년 오스트리아 바하우 계곡 Wachau Valley 빌렌도르프Willendo.. 2025. 4. 27. 저승길에도 불은 필요한 법, 투탕카멘을 위한 활비비 라이터 Tutankhamun's (r. 1332-1323 BC) lighter, from Tomb of Tutankhamun, Valley of the Kings, Luxor, Egypt. These holes, when this wooden stick is rotated (next to it), fire immediately ignites.오늘 저걸로 애꿎은 애들 데리고 한창 장난질 친 박영재 군이 갖고 놀던 그것바로 라이터다.우리 말로는 활비비라 한다는데, 활 같은 도구로 비벼서 불꽃을 일으킨다는 뜻에서 취한 이름인가 싶다.간단히 성냥, 라이터라 생각하면 된다.열을 마찰케 해서 불꽃을 일으키는 것이다.한데 이 분은 좀 사연이 있어 그 유명한 투탕카멘 왕묘 출토품이다.왜 저걸 무덤에 넣어줬는지 모르겠지만 저승.. 2025. 4. 27. 이전 1 ··· 149 150 151 152 153 154 155 ··· 336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