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37 고고학에 드리는 고언 (1) 필자가 이 블로그에 몇 번 썼지만 목하 지금까지의 연구를 정리 중이다. 그냥 정리만 하는 것이 아니라 후속 세대에 넘겨줄 것은 확실히 넘겨주고, 그동안 논문으로만 출판한 작업들을 단행본으로 엮어내는 작업을 계속하고 있다. 지금 미라와 인도 연구 관련한 작업들을 각각의 하나씩 영문 단행본으로 펴 냈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고 현재 그동안의 성과를 정리하는 작업의 결과로 펴내는 영문-일문 단행본이 계속 준비되어 있다. 내후년까지는 순차적으로 모두 출간될 것이다. 앞에서도 쓴 것 같지만, 필자는 현장 조사는 더 이상은 안할 것이다. 필드웍은 이제 젊은 이들의 몫이다. 지금까지 필자는 필드웍을 나가면 직접 무덤 속으로 뛰어 들어 내 손으로 인골을 수습했다. 더 이상의 현장 작업은 없다. 할 만큼 했으므로 미련은.. 2023. 10. 7. 갑갑하기 짝이 없는 밀양, 하지만 장대하기 짝이 없는 영남루 밀양은 좀 더 다녀봐야 좀 더 확실해지겠지만 그 시내 중심은 강이 관통하나 갑갑하기 짝이 없어 왜 이곳이 대구를 제끼고 대한민국 제일의 불가마로 등극하는지 알 만하다. 북쪽으로는 영남알프스에 막히고 남쪽으로도 뚫린 구석이라고는 없어 딱 멜팅 팟 melting pot 그것이라 한여름 언제나 최고 기온은 밀양 차지라 그런 보도에 밀양 현지는 경기를 일으키니 손님 떨어진다 해서다. 밀양을 이전엔 밀성密城이라 해서 연원이 아주 깊은 고을인데 어쩌다 나랑은 인연이 없어 이참에 한 번 밟아봤다. 시내 중심 강변 높은 지점을 정좌한 영남루嶺南樓는 영남제일루嶺南第一樓라는 별칭이 허언이 아님을 웅변한다. 밀양은 공부 좀 해봐야겠다. 아무래도 이 쪽 키워드는 영남알프스다. 이걸 고려하지 않는 밀양은 말짱도루묵이다. ***.. 2023. 10. 7. 표충사表忠寺의 아이러니, 중이 충성을 드러내면 그게 중인가? 중이, 절이 충忠을 표방하면 첫째 절이 아니며 둘째 중이 아니다. 출가는 충과 효를 뛰어넘는 일이다. 한국불교 역설은 불교 스스로가 불교를 버렸다는 데 있다. 충과 효는 세속을 옥죄는 양대 족쇄라 출가는 그것을 끊어버림을 말한다. 더 문제는 그것을 포장한 불교사. 한국불교를 호국불교로 만들고 그리하여 중들이 죽창 들고 일어나 임금과 왕실과 국가를 위해 봉헌한 일을 대서특필하며 그것으로써 세속을 향해 존재가치를 증명하고 나아가 보상을 요구하니 이것이 어찌 불교리오? 중은 중다워야 하고 절은 절다워야 한다. 임금을 향한 충을 드러내고 표상한다는 뜻을 품은 표충사는 가장 반불교적 이름이다. 임금이 아닌 대중을 갖다놓아야 한다. 사명당이 구제한 이는 임금이 아닌 고통받는 사부대중이어야 한다. 2023. 10. 7. 역사학만의 평행세계는 따로 있는가 한국 역사학의 근현대사-. 이것은 실제 벌어진 현대사의 평행세계인가. 한국역사학만의 한국근현대사 따로 있는 것인가. 한국 역사학이 서술한 한국 근현대사는 실제 벌어진 사건들인가 아니면 한국역사학의 머리속에만 존재하는 평행세계의 이야기인가. 한국 역사학의 근현대사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무엇인가. 역사적 당위를 사람들에게 가르치고자 하는 것인가. 아니면 실제 벌어진 사건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인가. 그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에게 그 사건을 역사로 재교육하면서 그게 사실은 그런 게 아니었다고 우기는 배짱은 도대체 어디서 나온 배짱인가. 2023. 10. 7. 문화재 기자들은 누구랑 무엇으로 싸우는가? 외부? 생각보다 기자가 외부랑 부닥치는 일은 별것 아니다. 이건 비단 기자사회에만 국한하지는 않지만 그 투쟁 절대다수가 내부와의 그것이라는 사실이다. 문화재 기자의 그것은 독특한 대목이 있다. 앞서 말한 문화재기자 원년 멤버들의 경우 전문성이 다 있다. 조선 신형준 동아 이광표 문화 최영창은 아예 대학 전공이 사학이라 개중 형준 형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광표 영창은 당시 대학원 재학 중이거나 박사수료 상태였고 여타 기자들도 사정이 비슷했다. 무엇보다 이들은 저런 전문성에다 현장을 가미했다. 이런 기자들을 부장이랍시며 차장이랍시며 국장이랍시며 아는 체 하며 이거 쓰라 저거 쓰라 하면 짜증이 안 나겠는가? 저긴 저런 기사 났는데 넌 머하냐? 말이 안 되는 기삽니다. 그럼 저쪽은 바보냐? 얘기 안 되는 건 안 .. 2023. 10. 7. 독립운동과는 분리해서 봐야 하는 민주주의 한국은 독립운동사에 민주주의가 셋방살이를 하고 있다. 독립운동을 하는 김에 그 독립지사들은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도 있었고, 이들이 해방 후 한국에 민주주의도 가져다 주었다고 생각한다. 과연 그런가? 한국 민주주의 성장사는 민족독립운동사에 곁방살이를 해야 하는 그런 존재가 아니라, 별개의 성장사를 가지고 있다. 이 한국민주주의가 해방이후 남한에 싹을 틔워 발전한 최종결과가 2023년현재의 한국이다. 우리는 독립지사들이 민주주의자였을 것이라고 다들 믿는다. 민주주의는 민족주의에 봉사해야 한다고도 믿는다. 과연 그런가? 독립지사들 중에는 좌파, 우파 계열 파시스트들도 있었고, 해방 후 민주주의자 중에는 일제 말 친일파도 있었다. 한국의 민주주의 성장사는 민족해방운동과는 그 성장사가 다르다. 이제 민주주의 .. 2023. 10. 7. 이전 1 ··· 1556 1557 1558 1559 1560 1561 1562 ··· 36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