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915

비단벌레, 날아다니는 금은보화 오래도록 왜일까를 증폭한 비단벌레를 둘러싼 의문은 어느 정도 풀렸다. 미약眉藥이라, 그런 성분이 있다 해도 특히 광동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 강남 지역에서는 여성들이 주로 남자들한테 환심을 사기 위한 일종의 마약 성분이 있다 해서 그 날개죽지를 덕지덕지 옷에 달라 다녔다는 증언을 통해 우리는 왜 비단벌레인가 하는 의문을 풀었다. 이제 이를 발판으로 우리는 더 나아가야 한다. 그렇다면 비단벌레는 무엇인가? 간단히 이르노니 날아다니는 금은보화다. 이 비단벌레는 그 날개죽지만 장식에 쓴다. 하긴 몸둥아리를 쓰겠는가 발가락을 쓰겠는가 대가리를 쓰겠는가? 오직 오색영롱 찬란한 빛을 발하는 날개죽지를 쓸 뿐이다. 이 날개죽지는 곤충 특유하는 날개가 거개 그렇거니와, 장식품으로 쓰기에는 아주 호조건을 갖추었으니 무엇보.. 2023. 7. 6.
'원로' 두 글자를 지운 김원룡 지금까지도 한국 고고학계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고고학자 삼불 김원룡(1922-1993) 선생님.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멋진 문장력에 그림 솜씨도 뛰어난 분이었다. 사실 이 분의 그림을 하나 구하고 싶은데 빈약한 주머니로는 언감생심, 요즘은 가짜도 적지 않다 한다. 차선으로 구하게 된 것이 서명이 담긴 책들. 이 은 사연이 재밌어보이고 안타까운 면도 있어 한 번 올려보고자 하였다. 1976년 탐구당에서 나온 문고판인데, 읽던 이가 좀 오래 보관하려 그랬던지 책 표지를 비닐로 싸 놓았다. 비닐로 싼 거야 흠이겠냐만, 거기서 그치지 하필이면 스카치테이프를 붙여놔서 그 부분이 누렇게 떠 버렸다. 저걸 제거할 수나 있을지 모르겠는데, 아쉬운 노릇이다. 아마 처음 책을 주고받을 때는 깨끗했겠지 생각하며, 그 시.. 2023. 7. 6.
Bunch of Buddhist ritual tools from Goryeo Dynasty in Gyeongju, capital of mill Archaeologists have found a large number of Buddhist ritual tool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near a Buddhist temple in Gyeongju, the capital of Silla, the millennium kingdom. An excavation of a Buddhist temple called Heungryunsa Temple in Sajeong-dong, Gyeongju, found iron pots inside a Goryeo-era building site, and 54 bronze offerings were excavated from it, the Cu.. 2023. 7. 5.
이른바 퇴장유구 불교공양구 이해는 조선왕릉에서 찾아야 한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야외에는 조선왕릉 석조물이 잔뜩 진열되어 있으니, 구영릉 석물 舊英陵 石物 이란 이름으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영릉英陵은 경기 여주에 소재하거니와, 조선조 제4대왕 세종과 그의 왕비 소현왕후를 합창한 무덤이다. 본래 영릉 자리는 이곳이 아니다. 지금은 아마도 국정원이 들어간 서울 서초구 내곡동이 그 자리라, 풍수상 길지가 아니라는 판단에 따라 예종 원년(1469) 현재의 자리로 천장遷葬하게 되어 오늘에 이른다.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야외에 전시 중인 석물들은 바로 이곳 제1차 무덤에 쓴 문관 석인상과 무관 석인상 각각 2쌍과 상석床石, 호석 등등으로 구성된다. 현재의 석물들이 온전한 세트 전부인지는 내가 당장 확인하지는 못하지만 어찌하여 이들 .. 2023. 7. 5.
이른바 퇴장 유구 사례 현황 구분유적 (출토 위치)출토 유물수량매납시기연도경북 경주망덕사지 (강당지) 청동정병, 청동완, 금동원형장식구, 청동발우 등10점고려1969년굴불사지 (석조불상군 서편 주변)범종(A)+청동금고(뚜껑) 범종(B), 향완, 청동완, 접시 등 *금고(“大定二十三年癸卯四月日~”/1183년)16점고려 (1183년)1985년경북 영주영주댐 수몰지구(금강사지) (금광리 유물산포지 우물)철솥, 광명대, 금동완, 나무주걱 등 *광명대(‘亡父安逸戶長禹載夫往生淨界之愿鑄成献金剛寺仏前丙午四月二十九日~’)5점1186년 (추정) 2014년경북 군위인각사지 (승탑지 하부)청동금고 금고 내부: 청동병향로, 청동정병 , 청동향합, 중국청자(월주요) 등 7점통일신라 2008년울산영축사지 (동탑지 주변)청동향로, 청동시루, 청동완3점고려 (1.. 2023. 7. 5.
사진으로 보는 경주 흥륜사 서편 불교공양구 유물 54점 이하 문화재청 관련 보도자료 전문 경주 흥륜사 서편에서 고려시대 공양구 유물 54점 출토 - 통일신라 금동불상, 향로·촛대 등 고려시대 불교 공양구 가득 든 철솥 등 대거 쏟아져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의 허가를 받아 경주시(시장 주낙영)와 (재)춘추문화재연구원(원장 양인철)에서 추진한 경주 흥륜사(경주 사정동) 서편에서 하수관로 설치공사를 위한 발굴조사 중에 통일신라~고려시대 사찰 관련한 건물지와 담장지, 우물 등의 유적과 청동 공양구 등 다양한 유물을 확인했다. 현재 흥륜사가 자리한 곳은 사적‘경주 흥륜사지(興輪寺址)’로 지정되어 있으나, 사찰 주변에서 ‘영묘지사(靈廟之寺)’명 기와가 다수 수습되어 학계와 지역에서는 ‘영묘사지’로 보기도 한다. 이번 조사에서 건물의 적심과 담장지 등이 확인된 것으로 보.. 2023.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