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5 한반도의 봄가뭄 필자는 조선이 망한 이유는 반드시 규명해야 하며 이것은 우리 후손들의 생존과 관련이 있다고 여러 번 밝힌바 있다. 왜냐, 조선이 망한 내재적 이유는 앞으로도 반복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조선이 망한 이유를 우리 조상이 못나서, 놀아서, 사대주의 때문에, 일본 때문에 그렇다고 단순명쾌하게 결론 내리면 고민할 필요가 없어 좋을지 모르겠지만 그런 상황은 앞으로도 반복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국사를 디테일하게 파고 들면서 항상 느끼는 것은 우리 조상들은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인 노력을 다했다는 것이다. 우리가 그것을 잘 모르기 때문에 그들이 놀았고, 못나서 나라가 망했다고 느낄 뿐이다. 사실 우리가 조선이 왜 망했는지 이 부분을 깊게 파고 들어가지 못하면, 우리의 후손들이 우리를 놀았다, 못났다고 느끼는.. 2023. 3. 5. 관서지방 여행 (2) 동대사東大寺 2-1-2 동대사東大寺 2-1-2-1 개설 동대사東大寺는 앞서 말씀드린 대로, 평성궁平城宮이라는 궁궐 동쪽에 있는 대빵 절이라 해서 이런 이름을 얻었으며, 일본어로는 とうだいじ, 토우다이지, 현행 외래어 표기로는 도다이지 라 하며, 영어로는 토타이지 템플 Todaiji Temple 이라 합니다. 불교 종파 중에서도 화엄종華厳宗 대본산大本山이라 한국 조계종으로 치면 조계사 같은 데입니다. 화엄종은 그 많은 불교정전 중에서도 화엄경華嚴經이라는 경전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이 경전에서 주로 말하는 부처님이 노사나불이라는 분입니다. 그래서 이 절에서 봉안하는 부처 중에서도 대빵 부처인 본존本尊은 나라奈良시대에 만든 큰 불상이라 해서 나라대불奈良大仏이라고도 하는 노사나불盧舎那仏입니다. 이 부처님이 동대사의 .. 2023. 3. 5. 국가國歌 이야기 (3) 인터내셔널과 동독 국가 구 사회주의권 국가 national anthem 중에 명곡이 많다. 당장 국가 중 선호도를 조사하면 러시아 국가는 항상 순위권에 든다. 요즘 우크라이나 전쟁 때문에 호불호가 갈리기는 하겠지만 아래에 링크시켜본다. 우크라이나만큼 러시아도 복잡한 나라다. 러시아 국가. 러시아 국가를 소개했으니 형평성을 위해 우크라이나 국가도 소개한다. 지금 전쟁 중인 두 나라 국가를 보면 왜 이 전쟁이 발발했는지 알수 있다. 사실 러시아 국가는 스탈린이 2차대전 말인 1944년 새로 제정한 소련국가를 승계한 것이다. 1944년 이전의 소련의 국가는 잘 알려진 "인터내셔널"이었는데 이 곡 역시 명곡이다. 인터내셔널은 러시아 혁명 직후인 1918년부터 새로운 국가로 대체될 때까지 소련의 국가로 불렸다. 지금 러시아 국가가 소련.. 2023. 3. 4. 관서지방 여행 (1) 관서關西와 나라奈良 1. 전체 여정 12일 오사카만 간사이공항으로 들어가 곧바로 나라奈良으로 이동해, 동대사東大寺 일원을 돌아보고, 나라에서 1박을 한 다음, 이튿날 교토로 넘어가 교토 일대를 중심으로 돌아보고는 15일 귀국하는 날에 오사카 신사이바시를 돌아보고는 다시 간사이공항을 통해 귀국하는 일정입니다. 오사카-나라-교토는 일본의 대표 고도古都로, 에도시대가 개막하고 지금의 도쿄인 에도로 도읍을 정치중심이 옮겨지기까지 역대 왕조는 이 관서關西 일대에 도읍을 두고 있었습니다. 1-1 관서關西와 관동關東 우리가 입출국하는 오사카공항 이름이기도 한 관서, 곧 간사이는 관關을 기준으로 서쪽에 위치한다 해서 관서라 하며, 당연히 그 반대편 서쪽은 관의 동쪽이라 해서 관동關東이라 합니다. 관동이라는 명칭이 붙은 사건으로 가장 저명.. 2023. 3. 4. 80년대 사구체논쟁은 20세기의 이기논쟁 80년대에서 90년대 초반을 풍미한 소위 사구체(사회구성체) 논쟁은 그렇게까지 질기게 물고 늘어져 이야기 할 필요가 있겠는가 하겠지만 사실 당시 소위 말하는 한가닥씩 하는 논객은 죄다 달려들어 한국사회를 뭐라고 부를 것인가에 대해 이야기 하고 이걸 네 권이나 되는 두꺼운 책으로 찍어 냈다는 점에서 반드시 언급하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다. 이 사회구성체 논쟁, 약술해서 사구체 논쟁이라고 부르는 "논쟁"은 20세기의 이기논쟁이다. 어떤 면에서 그런가? 멀쩡히 잘 성장하던 한국사회를 반봉건사회라고 규정하는 어처구니 없는 이들이 논쟁 당사자 반쪽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렇고 내가 기억하는 한 그 논쟁에 참여하는 사람 중 한국사회가 90년를 넘어 2020년대가 되면 선진국에 안착하리라 예측한 사람은 단 한명도.. 2023. 3. 4. 哀金公之文, 김도경 교수를 애도하며 공은 휘가 도경이라. 그의 가문 내력에 내가 아는 바는 거의 없다. 다만 장인이 저명한 목수 신영훈이며, 그의 부인 역시 아버지를 이어 한옥학교를 운영한다. 그는 한국 고건축학계의 신성이었다. 고려대 건축학과 주남철 교수 지도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현장에서 실무를 아울러 익혔으니, 그야말로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중견 중의 중견이었다. 공은 늘 미소를 잃지 않았다. 그의 속내가 어떠한지까지는 내가 파고 들지 못했으나, 언제나 그 미소는 상대를 편안케 했다. 퍼머를 한 여파인지 알 수는 없으나, 언제나 그의 머리카락은 곱슬에 장발에 가까웠다. 나랑 그리 가찹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렇다고 멀지도 않았다. 술을 못 마시는 내가 술을 즐기는 듯한 그와 술로 고리를 엮을 수는 없었다. 이런저런 일로, 우연히 .. 2023. 3. 4. 이전 1 ··· 1892 1893 1894 1895 1896 1897 1898 ··· 36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