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83

일을 하면 돈을 줘서 감격했다는 탈북민 가끔 탈북민 유튜브를 보면 이구동성으로 하는 이야기가 있다. 남한에서는 일을 하면 돈을 줘서 감격했다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이리저리 나라에서 불러 동원되는 경우가 많은데 대부분 무보수라 일을 해도 빈손이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선시대 내내 내려오던 요역의 잔재로 필자는 본다. 조선시대에는 이렇게 공짜로 일시키는데 이력이 나서 각종 부역은 물론 심지어는 때만 되면 불러다 일을 시키는 마을 아전들도 무보수였다. 일본의 경우, 전국시대에 이미 각종 성쌓기 등 부역에 보수를 지급하고 동원하고 있었는데, 조선의 경우 영조 말년에 그의 최고 치적 중 하나가 사람들한테 보수를 지급하고 성취한 청계천 준설이었을 정도로 보수 지급에 전반적으로 인색했다. 조선시대 많은 산성이 왜 그렇게 이도 안맞고 대충 쌓은 것이 많았을.. 2023. 2. 18.
갈릴레오보다 백년 먼저 중력을 연구했다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 이런 기사가 났는데, 신문기사만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우선 최초냐? 최초의 중력 이론은 아리스토텔레스, 나중에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오 - 뉴튼로 이어지는 데, 실험을 한 사람은 갈릴레오 이후이다. 그러니 이번 다빈치 '코덱스 아룬델' 메모 해독 결과로 최초 실험자는 다빈치로 바뀌게 된다. 우선 놀란 것은 NYT 기사가 나온 지 불과 한 두시간 만에 한국어 편이 돌아댕기더라. 그래서 뭐 미흡한 게 없나 샅샅히 읽어보니, 번역이 잘못된 것 없고 원기사 자체가 충분히 설명하진 않았다. 중력 낙하는 가속운동이기 때문에 항아리를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면서 구슬이 떨어지게 하면 변이 포물선이 되어 삼각형이 되지 않는다. 근데 왜 다빈치는 삼각형으로 그렸고, 또 판독자들은 이것을 보고 중력가속도를 재었다고.. 2023. 2. 18.
당쟁을 격화한 석담일기石潭日記, 류성룡을 씹다 붕당을 증오했지만, 결국 그 자신도 동서 분당 와중에 어느 한쪽에 몸담을 수밖에 없던 율곡은 그 처지가 여로 모로 사르트르의 그것을 연상케 한다. 사르트르더러, 네 철학은 실존주의다고 하니, 사르트르는 처음엔 아니다고 길길이 날뛰었다가 나중엔 그래 난 실존주의자다고 선언하고는 실존주의란 무엇인가를 설파하기에 이른다. 일명 경연일기經筵日記라고도 일컫는 그의 석담일기石潭日記가 공개가 언제 되었는지가 나로서는 관심이지만 이 대목은 아직 추적하지 못했다. 조선시대 글쓰기 양태를 보면, 이미 초고 단계에서 이미 주변에 다 알려지기 마련인데, 그 공간이 언제이건 상관없이 그가 쓴 글은 생전에 이미 공개되어 알려졌을 것이며, 더불어 그의 사후 직후에는 이미 석담일기는 그것이 공간되었건 아니건 육필원고는 이미 조정에 .. 2023. 2. 18.
너라고 불러보는 조국아 by 이은상 너라고 불러보는 조국아 by 이은상 너라고 불러보는 조국아 너는 지금 어디 있나 누더기 한 폭 걸치고 토막土幕 속에 누워 있나 네 소원 이룰길 없어 네거리를 헤매나 오늘 아침 수 없이 떠나는 봇짐들 어디론지 살길 찾아 헤매는 무리들이랑 그속에 너도 섞여서 앞선 마루를 넘어갔나 너라고 불러보는 조국아 낙조 보다도 더 쓸쓸한 조국아 긴긴 밤 가얏고 소리 마냥 가슴을 파고든는 네 이름아 노산 자신에 의하면 이 시는 1951년 4월 18일에 썼다 한다. 한국전쟁이 한창 와중이었을 무렵이다. 노산이 말하는 조국은 가족 입시 사기단主 그 조국과는 결을 달리한다. 2023. 2. 18.
강원대박물관 한계산성 특별전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에서 기획특별전시를 개최합니다. - 이번 ‘인제 한계산성, 천년 세월을 잇다’ 전시는 지역사회와 협업한 첫 번째 특별전으로 숨겨진 지역의 역사ㆍ문화유산을 발굴ㆍ전시하여, 강원지역 문화유산이 품고 있는 소중한 가치와 역사성을 알리고자 기획되었습니다. - 전시는 인제 한계산성의 개요, 한계산성의 조사연구 활동, 한계산성의 구조와 출토유물, 한계산성의 가치에 대해 관련 기록과 출토된 유물, 영상으로 구성되었습니다. - 인제 한계산성은 1986년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에 의해 처음으로 조사되어, 지표조사보고서가 나온 뒤 지속적인 조사ㆍ연구 및 정비를 통해 2019년 사적 55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 이번 전시를 통해 천년 세월을 이어 오늘에 이른 한계산성의 가치와 숨은 역사를 오롯이 이해하고.. 2023. 2. 17.
우연히 손에 넣은 만철滿鐵 유리 재털이 1. 나는 담배를 핀 적이 없으므로 담배를 잘 모른다. 그리고 담배 관련 물품도 솔직히 관심이 별로 없다(듀퐁 라이터인지 지포 라이터인지, 뚜껑 열면 챙 소리나는 게 멋있다고는 생각했지만). 이 손바닥만한 재떨이를 왜 구했느냐면, 밑에 박힌 로고 때문이다(완물상지玩物喪志라고 하실지 모르지만서도, 이런 건 내가 샀어도 내것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어느 기관에 기증하든지 해서 조만간 나를 떠날 것이기에). 2. 일본이 한국을 넘어 만주와 중국 대륙에 눈독을 들이던 시대, 만주 일대를 헤집으며 철도를 놓고 경영하던 회사가 있었다. 그 이름 남만주철도주식회사-줄여서 만철滿鐵이다. 일본 정부가 지분 50%(나중엔 100%)를 갖고, 제국 일본의 이익을 만주 땅에서 구현하던 이 회사에 관해서는 란 단독 저술도 나온 .. 2023. 2.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