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76

[유성환의 이집트 이야기] 투탕카멘과 하워드 카터(8) 끝없는 갈등과 쓸쓸한 말년 제5대 카나본 백작 조지 허버트(George Edward Stanhope Molyneux Herbert, Fifth Earl of Carnarvon: 1866-1923년) 경의 미망인 알미나 허버트 카나본 백작부인(Almina Herbert, Countess of Carnarvon: 1876-1969년)은 카나본 경이 사망한 후에도 발굴작업이 계속될 수 있도록 발굴 허가권 시한을 연장하는 데 기꺼이 동의했습니다. 따라서 하워드 카터(Howard Carter: 1874-1939년)가 현장을 계속 통제하면서 발굴작업을 계속해나갈 수 있을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러나 카터의 발목을 잡은 것은 발굴현장이 아니라 정치 대외적 상황들이었습니다. 특히 카나본 경이 「타임즈」(The Times)와 체결한 독점 보도권으로.. 2022. 12. 15.
[유성환의 이집트 이야기] 투탕카멘과 하워드 카터(7) 본격화하는 발굴 제5대 카나본 백작 조지 허버트(George Edward Stanhope Molyneux Herbert, Fifth Earl of Carnarvon: 1866-1923년) 경이 1923년 4월 5일 사망하기 약 한 달 전인 2월 28일에는 투탕카멘(Tutankhamun: 기원전 1336-1327년) 왕묘(KV 62)의 묘실(burial chamber)이 마침내 개방되었습니다. 왕묘가 발견되고 발굴팀이 꾸려지자 하워드 카터(Howard Carter: 1874-1939년)는 1922년 12월 27일부터 전실(antechamber)의 유물을 수습하여 카이로의 박물관으로 보내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유물이 왕묘 밖으로 운반되면 람세스 11세(Ramesses XI: 기원전 1099-1069년)의 왕묘(KV 6)에.. 2022. 12. 15.
광개토왕 비문에 나온 고구려 기병과 왜병의 대결 동영상 아래 사진과 동영상은 신라성을 포위한 왜병을 고구려 기병이 공격하여 포위를 푸는 장면이다. 광개토왕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10년(400) 경자庚子에 왕이 보병과 기병 도합 5만 명을 보내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남거성男居城에서부터 신라성新羅城에 이르기까지 그 사이에 왜군이 가득하였지만, 관군이 도착하니 왜적이 퇴각하였다. (고구려군이) 그 뒤를 급히 추격하여 임나가라任那加羅 종발성從拔城에 이르니 성城이 곧 항복하였다. https://youtu.be/_6i56BRisgc 농담 삼아 써본 이야기인데-. 보다시피 이 장면은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장면인데, 필자가 생각하는 광개토왕비문에 묘사된 당시 상황과 매우 닮았다고 생각하여 링크해 둔다. 왜가 광개토왕비문에 묘사된 것처럼 신라 경내에 대거 .. 2022. 12. 14.
일본 무가武家 "나노리 名乗り"는 기원이 한반도인가 나노리 名乗り라는 일본 무가武家 전래의 전통이 있다.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 名乗り(なのり)とは、戦において武士が味方や敵に向かって自分の姓名・身分・家系などの素性、戦功、戦における自分の主張や正当性などを大声で告げること。武士の作法として、名乗りが行われている間に攻撃することは良しとされなかった。戦場では自分の勇名や戦功を喧伝するためなどに行われ、味方の士気を上げるためや相手方の士気を挫いたり挑発するためにも行なわれた。 간단히 말하자면 싸움 전에 상대편에 관등 성명을 대는 것이다. 나는 누구누구의 자손 누구인데 어쩌고.. 하는 것인데 이건 상대편 들으라고 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우리편, 정확히는 자신에게 상을 내릴 사람 들으라고 하는 것이나 다름 없다. 상대편 성을 공격할 때 선착하면 마찬가지로 나노리를 한다. 내가 누군데 누구 성.. 2022. 12. 14.
부여 군수리 절터가 드러낸 중문·회랑 흔적(사진) '백제 옛 절터' 부여 군수리 사지서 중문·회랑 터 확인 김예나 / 2022-12-14 10:11:36 기단석·기와 일부 발견…"사비도성 내부 사찰 규모 파악할 중요 자료"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3873395343 ′백제 옛 절터′ 부여 군수리 사지서 중문·회랑 터 확인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백제가 부여에 도읍을 둔 사비기(538∼660) 시절 주요 사찰 유적으로 꼽히는 ′부여 군수리 사지′(寺址·절터)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는 건물 흔적이 확인됐다. 문 k-odyssey.com 2022. 12. 14.
사비시대의 물부씨物部氏 패밀리 앞에서 언급한 물부이세부근物部伊勢父根와 물부순物部珣은 백제와 관련이 깊은 왜계 인물들이지만, 이들 각자 한명씩 떼 놓고 보면 이들이 백제에 정주하며 백제왕에게 온전히 충성하며 산 일족인지 판별하기가 쉽지 않다. 우선 物部伊勢父根은 가야와 백제 일을 중재하는 데 잠깐 사서에 나오며, 物部珣은 백제 멸망 후 당에서 발견된 묘지명에 그와 흑치상지의 관계가 적혀 있을 뿐 그 이전 사적에 대해서는 자세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物部伊勢父根와 物部珣을 백제왕실에 충성한 왜계 백제관료 일족으로 보는 시각이 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다음 네 사람 때문이다. 물부마기모物部麻奇牟, 물부용가다物部用歌多, 물부가비物部哥非, 물부오物部烏 이 네 사람은 형제관계로 보이는데 일본 측 기록에는 "100% 백제왕의 신하"로 .. 2022.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