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76

통일신라시대 7각 건물 구미 문성리 549번지 유적 통일신라시대 7각 건물지 세종문화재연구원, 2020, 구미 문성리 549번지 유적 *** 편집자주 *** 요상하다. 북두칠성이야 뭐야? 적심 양상을 보면 사이사이 나중에 찡긴 듯한 느낌도 있다. 2022. 12. 13.
흑치상지黑齒常之와 그의 사위 물부순物部珣 흑치상지라는 사람이 있다. 백제멸망 당시 부흥군을 이끈 사람으로 그 후 당에 항복하여 그곳에서도 활동한 사람이다. 흑치상지의 성 "흑치黑齒"에 대해서는 여러 이설이 있지만, 중국에서 발견된 그의 묘지명에는 百濟人也。其先出自扶余氏,封於黑齒,子孫因以為氏焉。라 되어 있어 흑치는 지명으로 보인다. 원래 부여씨였지만 갈려 나왔으니 일본에서 흔히 보이는 바대로 "창씨'를 한 셈이 되겠다. 사실 "창씨"의 전통은 일본보다 백제에서 먼저 보이는 것 같아 어쩌면 일본 창씨 전통의 기원은 백제에 있을지도 모르겠다. "흑치"에 관련하여 제시된 바 없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나 소개하고자 한다. 일본에서는 귀족들이 이빨을 검게 물들이는 풍습이 있어 심지어는 전국시대까지도 귀족 취향의 무사들은 이빨을 검게 물들이고 했다는데 실제.. 2022. 12. 13.
성왕은 진흥왕에게 "배신"당한 것이 아니다 성왕이 죽는 장면은 장렬하여 읽는 사람에게 비통함을 준다. 아들을 구하기 위해 (찾아보기 위해) 가다가 신라 매복에 걸려 승하하게 되었는데 그 장면은 사서에도 자세하니 여기 따로 쓰지는 않겠다. 성왕은 일본측 사료에서도 극찬을 아끼지 않은 매우 명민한 명군으로 알려져 있는데, 성왕의 불행이라면 불행은 당시 명군은 백제에만 있는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성왕은 흔히 진흥왕에게 "뒤통수를 맞아" 한강유역을 상실했다고 생각하는데 일본 측 사료를 읽어보면 그게 아니다. 아래는 흠명 5년 (544년) 기사이다. (동북아역사재단). 신라가 백제의 한강유역을 뺏어 영유한 것은 553년의 일이니 소위 나제동맹이 깨지기 11년 전의 일이다. 성명왕이 “임나국은 우리 백제와 예부터 지금까지 자제와 같이 되겠다고 약속하였다.. 2022. 12. 13.
백제 모노노베씨物部氏 : 어느 왜계백제관료 집안 이야기 (1) 영산강 일대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 이야기가 나올 때 이를 설명하는 방법으로 "왜계백제관료倭系百濟官僚"를 이야기 하는 경우가 많다. 신문에도 자주 나온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왜계백제관료"라는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앞에서 설명했듯이 동성왕대는 백제라는 나라에서도 엄청난 변화가 있던 때였고 동성왕 때 시작된 변화가 무령왕, 성왕 등 후대의 왕까지도 이어졌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국내 기반이 없던 방계 왕족이 그동안의 왕실이 통채로 사라지는 통에 새로운 왕이 되어 본국으로 귀환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귀국 당시 동성왕 나이는 10대였을 것이라고 추정들 하고 있다. 태어나서 한번도 백제를 가 보지 못했을 것이고 그때까지 계속 왜에서 자랐던 만큼 한국말보다는 일본말에 더 익숙했을 것이라는 점은 쉽게 짐작할 수.. 2022. 12. 12.
과거의 오늘, 편의의 주기周期가 들추는 生의 이력 페이스북이며 인스타그람이며 하는 SNS가 몰고온 풍조 중 하나는 과거에 대한 반추라, 페이스북의 경우 그것이 제공하는 기능 중에 '과거의 오늘' 혹은 'memories'라는 기능이 있어 나 역시 그러하고, 저에 입문한 다른 사람들한테서도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한데, 새 날이 열리면서 저기를 월하의 공동묘지 찾는 강시처럼 클릭하곤 하니 저 기능을 누가 개발했는지 모르지만, 기똥찬 상품임에는 틀림없어 사람한테는 돌아보기가 본능임을 절묘하게 포착한 까닭 아니겠는가? 과거는 들추어서 무얼하겠냐마는, 또 그것이 분절하며 제공하는 시점이 꼭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그 주기에 맞추어야 하는지는 모르겠다만, 아무튼 저 기능을 이용하면 1년 전, 혹은 2년전 혹은 내가 저에 입문하고 나서 긁적거린 흔적 중에서도.. 2022. 12. 12.
평안 평안 평안하다는 이하응, 진짜 그랬을까? 모 경매에 나온 흥선대원군 석파 이하응(1820-1898)의 간찰이다. 그런데 그 내용이 아주 재미있다. 누가 보낸 간찰에 답신으로 보낸 건데 별로 할 말이 없었는지, 진정 상대가 잘 지내기를 바란 것인지, 아니면 웃기려고 유머감각을 발휘한 것인지 언뜻 감이 잘 안 잡힌다. 혹 모르겠다, 지독한 현실의 벽 앞에서 반어법으로 평안을 운운했던 것일는지도... 아래 탈초 번역은 일단 임의로 해 보았는데, '호지무화초胡地無花草' 격으로 접미사는 붙이기 나름일 듯하다. 봄을 전송하니 평안하고, 여름이 되니 평안하오. 천지가 평안하니 인생이 평안하더구려. 나는 평안한데 그대는 평안하신지? 봉투가 평안하면 오는 것 모두가 평안할게요. 운운 운하에서 답하오 4월 6일 餞春平安 立夏平安 天地平安 人生平安 我平安 汝平安 .. 2022. 1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