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46

《통일신라 석조미술사》(이서현, 역사산책, 2022) 역사산책 인문학총서 02 《통일신라 석조미술사》(이서현, 역사산책, 2022) - 이서현 저 - 422쪽, 158×233mm, 양장 - 979-11-90429-24-5 93910 ------------------------------------------------- 통일신라 석탑의 다양성과 독창성을 이야기하다. 석탑은 한반도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 중요 신앙 대상물이었으며, 특히 고대 불교문화가 가장 꽃피운 통일신라 석탑은 정형양식이라는 기본형 완성과 함께 다양한 양식 변화 과정을 겪게 된다. 이러한 변화 양상은 매우 복잡하면서도 다채롭게 나타나고 있어 단순히 외형적 변화로만 이해하기는 어렵다. 이 책은 통일신라 석탑의 다양한 양식 변화 현상에 주목한다. 통일신라 석탑 변화 현상 이면에 불탑관의 변화, .. 2022. 5. 12.
나 이런 사람이야, 이규보가 말하는 나 과거에 합격하고서도 벼슬을 오래도록 얻지 못하고, 기껏 얻은 지방관 자리도 떼여 끼니를 거를 정도로 고생하던 우리의 이규보 선생이 드디어 6품 참상관參上官에 오른 것은 그의 나이 마흔여덟 되던 고종 2년(1215)의 일이었다. 그는 그때 임금에게 정사의 잘잘못을 고하는 우정언右正言 자리에 오른다. 쉰이 다 되어 정언 자리냐고 수군대는 이들도 있었지만, 이규보는 별로 개의치 않았고 오히려 한껏 자랑스러워했다. 그가 이때 지은 시 중에는 얼룩무늬 아롱진 서대犀帶, 곧 무소뿔 허리띠를 두고 지은 시가 전해진다. 서대는 아무나 못 매는 허리띠였다. 오죽하면 의종毅宗 임금 때, 그가 총애하는 환관에게 서대를 하사했다가 관료들이 집단 사퇴하는 소동까지 벌어졌던 일이 있었을까. 이규보도 그저 바라만 보던 서대를 허리.. 2022. 5. 12.
[학술대회]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트로트와 엔카, 동아시아에서 세계로>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22 국제학술대회 일시 : 2022. 5.20(금) 10:00-18:00 장소 : Zoom을 활용한 온라인 개최 회의 ID: 843 4350 6190 회의장 링크 https://us06web.zoom.us/j/84343506190?pwd=dW9wbUZWR2NxZElvaGhpSVUvemJpQT09 발표 언어 : 한국어·영어·일본어 (동시통역 제공) * 발표 요지문(한국어·영어·일본어)은 학술대회 당일 아시아문화연구소 홈페이지(https://www.gachon.ac.kr/asiaculture/index.do)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가천대 아시아문화연구소에서는 2019년부터 이라는 아젠다 하에 대중문화와 한류에 관한 연구 활동을 중점적으.. 2022. 5. 11.
[한국미술사학회]<2022 SeMoCa 공예지식 강좌> 안내 한국미술사학회는 서울공예박물관과 공동기획으로 한국 공예사의 권위자들을 모시고 강연을 청해 듣는 SeMoCa 공예 지식 강좌를 준비했습니다. 2022년 강좌는 5월부터 12월까지 총 10회 진행되며, 강연 영상은 향후 한국미술사학회, 서울공예박물관의 홈페이지 및 유튜브 채널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오는 5월 13일(금)에는 SeMoCa 공예지식 강좌의 첫 번째 강연이 서울공예박물관에서 진행될 예정입니다. 현장 강좌 참가는 선착순 예약(약 15명)으로 진행되며, 서울공예박물관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강좌신청 링크 : https://craftmuseum.seoul.go.kr/progrm/view/66 서울공예박물관의 SeMoCA 공예지식강좌를 소개합니다. SeMoCA 공예지식강좌_첫 번째 .. 2022. 5. 11.
[우리는 모두 사회초년생이었다] 수박을 들고 산성에 오른 청년! 🐣우리는 모두 사회초년생이었다!🐣 오늘의 병아리 (입사 14년차) 겨레문화유산연구원 임성욱선생님 ❝폴라로이드 사진 속 우리들 모습! ❞ 2009년 8월 15일, 광복절이자 주말이었습니다. 주말에도 근무하는 동료이자 친구들을 위해 계양산성에 수박을 들고 가겠다고 약속하고, 낑낑거리며 수박을 들고 산성에 올라갔었지요! (사실 엄청 후회했었죠ㅋㅋㅋ😰) 무더운 한여름 발굴현장은 힘들었지만, 수박하나에 행복했던 순간이었습니다! 🙂 지금보니, 젊었고, 순수했고, 무모했지만 용감했던 시절이군요~~! 한국문화유산협회에서는 발굴현장에서 땀흘리는 분들의 이야기를 듣고, 공감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5월에는 '우리는 모두 사회초년생이었다!' 라는 주제로 사회초년생시절 기억에 남는 .. 2022. 5. 10.
이게 다 장비 탓! 후투티 촬영 실패를 기록한다 한반도를 서식한 새 중에서도 폼이 제법 나는 종으로 후투티 만한 놈을 찾기는 어려우니, 저 새가 흔한 것도 아니요, 경주 황성공원 같은 데야 집단 서식지가 있어 제법 그쪽에서 포착한 각종 장면이 우리 공장으로도 발행되기도 하니, 포항을 주무대로 활약하는 우리 공장 손대성 기자가 가끔씩 들러 황성공원 나무를 파고 들어가 둥지를 튼 후투티가 먹이를 정신없이 날라다 주는 장면을 포착한 작품을 발행하기도 한다. 그제 어버이날이라 해서 고향 김천 고을을 찾았을 때라, 내 집에서 직선거리로 100미터도 되지 않는 데가 경북지방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섬계서원이라는 데라,내 가문 김녕김씨 중시조인 백촌 휘 문기 공을 배향하는 서원이라, 그 경내 안팎에는 서원이라면 모름지기 생각하는 그런 노거수가 더러 있거니와 그 정문에.. 2022. 5.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