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498

고려 강화 도읍시대 도성에서 찾은 문門 고려가 몽골 침략기에 수도를 지금의 강화도에 옮겨 운영한 시기를 요즘 강도江都시대라 표현하기도 한다. 강화 도읍 시대에 대한 줄임말이다. 그 기간은 39년인가 비교적 짧지만, 모름지기 도성이라면 갖출 것은 다 갖추었으니, 도성까지 있었다. 조선시대 한양도성 같은 대규모 도읍 방어시설이 있었다는 뜻이다. 더구나 이 도성은 중층이었으니 그 상대적 위치에 따라 내성-중성·외성으로 구분하곤 한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에서 강도시대 고려 도성 중에서도 중성이라는 데는 발굴한 모양이다. 그 결과 성곽에다가 마련하는 출입시설인 문 흔적을 발굴한 모양이다. 아래는 그 소식을 정리한 강화문화재연구소 보도자료다. 남한 유일의 고려도성都城 강화중성에서 문지 최초 확인 -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유튜브에서 발굴조사 성과 온라인 공.. 2020. 11. 4.
다곽식多槨式 합천 소오리고분군 Excavation of Sooru Tumuli in Hapcheon 합천 소오리고분군 陜川巢梧里古墳郡 경남 합천이 문재인 정부 들어 핵심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가야사 연구복원에 부응하는 움직임을 부쩍 잦게 보이거니와, 그 일환으로 경내 소재하는 이른바 가야고분들에 대한 발굴조사를 벌이어니와, 그 한 성과가 4일 발표되었으니 이르건대 이곳 삼가면 소오로고분군이라는 데를 팠더니만 그 소재하는 곳 이름을 따서 '삼가식 고분'이라 명명할 만한 독특한 무덤 구조를 확인했다 하거니와 이를 정의하기를 "독특한 다곽식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이 묘제墓制는 "고령 지산동에서 확인되는 주·부곽 및 순장곽이 축조되는 대가야식 묘제나 고성 송학동에서 확인되는 분구묘 및 주곽, 배장곽이 배치되는 소가야식 묘제와는 전혀 다른 양.. 2020. 11. 4.
반계리도 훌러덩 꽝! 용주사 갔다 허탕친 우리 조폭단 오야붕 오른팔 이정연 선생이 용심나서 반계리를 갔더랬다. 갔더니 이 모양이란다. 노란 장판만 깔고는 말았다. 여자 맘보다 쉬이 변하는 게 은행단풍이다. 올핸 이렇게 갔다. 2020. 11. 4.
美대선, 언론사의 대목 지금 미국 주요 언론 홈피 캡쳐다. 각종 그래픽으로 승부한다. 언론사별 집계가 다르다. 철저한 중앙집권제 성향인 우리라은 다른 측면이다. 지금은 바이든 우세인데 어째 뒤집어질 듯한 느낌을 준다. 민심은 알 수 없다. 흔히 트럼프를 또라이라 하지만, 저 전략만큼 효율적인 것도 없다. 내건 확실히 챙기고 어차피 안되는 곳은 과감히 포기하는 전략이 핵심 아닌가 한다. 2020. 11. 4.
수미쌍관하는《순자荀子》 현재 우리가 보는 선진先秦시대 문헌은 대체로 짜깁기라는 느낌이 강하거니와 이는 말할 것도 없이 전사傳寫 과정에서 수많은 착간錯簡, 예컨대 注가 본문으로 치고 올라간다거나 죽간竹簡의 탈루脫漏 현상 등에 말미암은 것이니, 그리하여 같은 문구가 다른 문헌 이곳저곳에서 산발하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선진 이후에도 여전하니, 해당 문헌의 저자에 대한 이론이 끊이지 않는 것은 이에서 말미암는라. 그럼에도 실로 요상하게도 오직 《순자荀子》만큼은 저 방대한 현재의 모습이 오로지 수미首尾가 쌍관雙關하니, 이것이 도대체 어이된 일인이 이전부터 몹시도 궁금하다. (2012. 11. 4) *** 이런 주옥 같은 글에 순천향대 중문학과 홍승직 옹이 다음과 같은 댓글을 달았다. 옛날, 제자백가 수업시간에, 제자백가 중 최초로 작.. 2020. 11. 4.
여자맘보다 급한 은행 단풍 조폭답사반 단톡방에 틱! 저 사진이 오르는데 순간 우리 단원 한 분이 허탕쳤단 직감이 대퇴부를 타고 흘렀다. 용문사랜다. 간밤에 저리 홀라당 훌러덩이란다. 대꾸했다. "여자 맘보다 믿을 수 없는 게 은행단풍이라오" 열받은 이정연 선생, 반계리로 방향 튼단다. 단풍 절정일 무렵 꼭 한번은 비가 내리고 바람이 부는데 뭇 단풍 중에서도 은행이야말로 추풍낙엽이라 폭포수처럼 쏟아진다. *** 방금 한 장이 더 날아든다. 2020. 1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