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48

맞상주는 요트 타러 미국 가고, 며느리는 조문? 상주가 조문을 하는 나라도 있나? 강경화 시아버지 이기을 명예교수 별세…미국행 남편, 장례 불참 2020-10-16 08:47 강경화 시아버지 이기을 명예교수 별세…미국행 남편, 장례 불참 | 연합뉴스 강경화 시아버지 이기을 명예교수 별세…미국행 남편, 장례 불참, 한상용기자, 정치뉴스 (송고시간 2020-10-16 08:47) www.yna.co.kr 또 난리나겠다. 병석에 누운 아버지 두고 요트 탄다고 훌훌 미국땅으로 날아버린 아들 이일병은 더 욕먹게 생겼다. 임종은커녕 상주가 빈소도 지키지 못했으니깐 조선시대 같음 구족이 성하지 못했을 패륜이다. 그건 그렇고 강경화 역시 며느리로 상주인데 조문을 했단 대목이 걸린다. 저네들 부부 일이야 속내까지 알 수 없지만 현재도 법적인 부부관계를 유지한 것으로 알거니와 상주가 무슨 조문이란 말인.. 2020. 10. 16.
신출내기 공무원 임백현 신고식과 수습졸업기 임백현 면신첩 林百鉉免新帖 Myeonshincheop to Lim Baek-hyeon 새내기 관리 임백현의 신고식이 끝나고 선배가 작성해준 연신칩이다. 간단히 말해 공무원 수습기간이 지났음을 증명한 문건이다. 면신첩은 신참이 연신례免新禮를 통과했음을 증명한 인증서다. 공식문건은 아니기에 공식효력은 없으나 위력은 막강했다. 이런 문건은 써준 측에서 부본을 둘 필요는 없다. 당하는 쪽이 얼마나 괴로웠으면 이걸 고이 간직했겠는가? 저리 당한 임백현은 나중에 신참이 들어왔을 때 이번엔 바뀐 처지로 후배를 괴롭혔을 것이다. 이에서 자칭 선진先進이라 일컫는 기성 관료들은 신출내기 공무원 임백현을 신귀新鬼, 곧 '새로운 귀신'이라 부르면서, 이름을 거꾸로 해서 현백임鉉百林이라 했다. 이렇게 성과 이름을 뒤집어서 쓰는.. 2020. 10. 16.
마약 밀매가 기승하는 힘은 무과세 비과세 무관세 비관세 "미국·멕시코 전 국민에 투여 가능" 필로폰 1천㎏ 적발 송고시간 2020-10-16 07:20 정윤섭 기자 미 마약단속국, LA에서 역대 최대 규모 필로폰 압수 "미국·멕시코 전 국민에 투여 가능" 필로폰 1천㎏ 적발 | 연합뉴스"미국·멕시코 전 국민에 투여 가능" 필로폰 1천㎏ 적발, 정윤섭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10-16 07:20)www.yna.co.kr 듣자니 DEA, 곧 Drug Enforcement Administration, 다시 미국 마약단속국이라는 데서 로스앤젤레스 동쪽 인근 페리스 Perris 라는 곳 마약은신처 stash house 의심처를 급습한 결과 2천224파운드, 곧 1천8㎏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양의 필로폰, 메타펨타민 methamphetamine 을 압수했다 하.. 2020. 10. 16.
龍과 dragon 누차 지적했듯이 용을 드래곤, 드래곤을 용으로 번역해서는 안된다는 단적이 보기다. 물론 안다. 관습이 굳어져 이젠 어찌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는 것쯤은. 동아시아 룡은 水를 관장하는 귀신이다. 반면 양코베기 드래곤은 사악함의 대명사이면서 불을 뿜는다. 이 드래곤은 서양에서 퇴치 대상인 이유다. 물론 동아샤에서 일부 용도 나쁜 짓을 한다 해서 퇴치 대상이 되기도 하나, 압도적인 의미는 善神이다. 경복궁에서 출토한 조선후기 용 그림, 그리고 용 글자 도안 水자는 용이 물을 관장하는 신이기에 화재 방지라는 염원을 담았다. 양놈 드래곤 같으면 저래 할 수 있겠는가? 베오울프 봐라. 나쁜 드래곤은 때려죽어야 한다. 성서에서도 두세번 드래곤이 나오는데 나뿐 놈이다. 이거 누군가는 총대 메고 혁명해야 한다. 번역.. 2020. 10. 16.
교과서로만 공부했어요 《서경집전(書經集傳)》은 주희의 제자이며 사위인 채침(蔡沈)이 주석한 것인데, 엉성하여 그대로 보기 어려운 지경이다. 〈우서(虞書) 요전(堯典)〉 첫 머리에 “옛날 요 임금을 상고하건대, 방훈이시니, 공경하고 밝고 문채 나고 생각함이 편안하고 편안하시며 진실로 공손하고 능히 겸양하시어 광채가 사표에 입혀지며 상하에 이르셨다.[曰若稽古帝堯 曰放勳 欽明文思安安 允恭克讓 光被四表 格于上下]” 는 구절이 있다. 언해본도 이 비슷하게 번역되어 있어 보통은 방훈(放勳)을 “방(放)은 지(至)의 뜻이고, 훈(勳)은 공(功)의 뜻이니, 요(堯)의 공업(功業)이 이르지 않은 데가 없음을 찬미한 말”로 풀이한다. 조선 시대 과거시험 답안지에는 이렇게 써야 합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기(史記) 오제본기(五帝本紀)》에 “.. 2020. 10. 15.
왜 개로 태어났을까? 그래도 사람으로 태어나지 아니한 게 얼마나 행복인가? 2020. 10.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