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559

나주 송제리고분을 팠더니만 백제 지배층 나주 송제리 고분은 총 5기였다 송고시간 2020-10-08 13:17 임동근 기자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2차 발굴조사로 추가 고분 확인 www.yna.co.kr/view/AKR20201008098500005?section=culture/scholarship 백제 지배층 나주 송제리 고분은 총 5기였다 | 연합뉴스 백제 지배층 나주 송제리 고분은 총 5기였다,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10-08 13:17) www.yna.co.kr 나주 송제리고분군이라는 곳이 고고학계에서도 그닥 지명도가 있는 곳은 아니었다. 그러다가 아연 지난해 관심 받는 곳으로 잠깐 떠올랐으니,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가 시행한 발굴조사 결과 은제관식銀製冠飾이라 해서, 백제시대 관료들이 쓰던 모자에 찡구던 은으.. 2020. 10. 8.
절과 문중이 붙은 100년 전 "내 땅이다" 불대산 결투 [불대산의 결투] 1918년부터 1935년까지 조선총독부는 임야조사사업을 진행하였더란다. 당시 장성군 장성읍 불대산을 두고 백양사와 연일정씨청안이씨 연합군의 싸움을 담은 1924년 12월 2일자 《매일신보每日申報》 기사이다. 결론은 백양사의 압승이었다. 長城의 鄭、李兩家 佛臺山野의 紛爭 地元住民의 陳述 全南 長城郡 長城面 流湯面[里] 佛臺山으로 하여금 白羊寺, 鄭李兩姓家間에 係爭함에 對하여 一般의 非難과 地元住民의 陳情書까지 提出하였던 事實은 既爲報導한 바이거니와 該陳情書의 全文은 左와 如하더라. 陳述書 長城郡 長城面 流湯里 所在 山野(山名佛臺山) 一圓에 對하여는 白羊寺, 鄭、李兩姓家間에 現今 紛爭中인 地인바 本人等은 右의 山野에 對하여 地元住民으로써 慣行上 元來農作의 時 一切草肥를 採用하는 緣故가 有하.. 2020. 10. 8.
한류는 결국 BTS가 아니라 역사문화다 작금 내가 간여하는 부문 얘기 좀 해야겠다. 다름 아닌 한류 얘기다. 이른바 k-wave라는 흐름은 방탄소년단이 대표하는 대중문화가 선도하고 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fact이어니와, 이런 흐름이 언제까지 지속할지는 알 수 없다. 언젠간 말했듯이 지금의 그것은 논자에 따라 다르기는 하겠지만 대략 3차 운운하는 것으로 안다. 이 흐름이 나는 단기로 끝날 줄 알았으나 생각보다는 오래간다. 그만큼 k-pop 파워가 세고, 또 지속이라는 셈인데 이 시점에서 하나 확실한 건 이 역시 언젠가는 막을 내리고 만다는 사실이다. 그 종국이 두려우니 이른바 범정부 차원에서도 한류 범위를 확장하려고 몸부림하는 거 아니겠는가? 좀체 어울릴 것 같지 아니하는 한류기획단이라는 회사 조직을 내가 맡으니 누가, 아니 솔까 많은 사람이.. 2020. 10. 8.
문종 이향李珦, 한글 창제에 빠뜨릴 수 없는 위대한 이름 내일이 한글날이다. 대부분 세종대왕을 생각하겠지만, 나는 문종대왕 이향(李珦)을 생각한다. 훈민정음은 세종이 병으로 세자에게 대리토록 한 상황에서 문종이 진력한 걸작이다. 물론 그 공은 세종의 것이다. 최만리가 이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바 있는데, 그 마지막 이유가 세자가 온종일 언문에만 매달려 날을 보낸다고 지적한 것이었다. (실록 번역이 매끄럽지 않아 대부분은 읽어도 무슨 말인지 아리까리 할 것이다. ) 一, 先儒云: “凡百玩好, 皆奪志, 至於書札, 於儒者事最近, 然一向好着, 亦自喪志。” 今東宮雖德性成就, 猶當潛心聖學, 益求其未至也。 諺文縱曰有益, 特文士六藝之一耳, 況萬萬無一利於治道, 而乃研精費思, 竟日移時, 實有損於時敏之學也。 臣等俱以文墨末技, 待罪侍從, 心有所懷, 不敢含默, 謹罄肺腑, 仰瀆聖聰。.. 2020. 10. 8.
그들이 옷을 벗었다, 그리고 밭을 갈았다 앞서 나는 《미암집》에서 미암 유희춘이 증언하는 함경도 지역 나경裸耕 습속을 대전 괴정동 출토품으로 전하는 농경문청동기 나경 문양을 이해하는 첩경일 수 있음을 지적질한 기사를 2005년에 썼음을 상기했다. (이와 관련한 2005년 관련 기사 일화는 맨 뒤에 첨부하는 이 블로그 포스팅 참조) 이를 탈고하기 전 나는 그 워밍업으로 아래 기사를 손을 댔다. 2005.03.29 10:46:52 조선전기 문집 추린 '한국세시풍속자료집성'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이는 먼 변방 비루한 풍속에서 나왔으니, 생령(백성)에게는 질고(疾苦)가 되니 식자(識者)는 이를 해괴하다 여기나 많은 사람이 즐거워한다." 자위행위를 일삼는 아들을 훈계하는 내용까지 담은 미암일기(眉巖日記)로 유명한 조선중기 때 지식인 유희춘.. 2020. 10. 8.
향후 10년, 더는 새로운 얘기는 없다고 낸 《직설 무령왕릉》 누차 말했듯이 애초 이 책 초고는 2001년 무령왕릉 발굴 30주년에 즈음해 모 출판사로 원고를 넘기고 초교 재교까지 봤다가 중단한 원고다. 그러다가 해직이라는 기대치도 않은 축복이 주어져 먼지 수북히 쓴 그 원고 뭉치를 끄집어 내고는 손질하고는 2016년 도서출판 메디치미디어를 통해 냈다. 그 16년 사이에 무령왕릉 역시 적지 않은 변화가 있었고 나 역시 더러 논문이라는 형식을 빌려 무령왕릉과 관련해 기존 이해에 여러 균열을 냈다고 자부하는 터였다. 그런 무령왕릉이 내년 2021년 발견발굴 60주년을 맞는다. 나로선 이 책을 낼 적에 향후 10년간은 더는 무령왕릉 새로 나올 말은 없다고 자부했다. 시건방으로 비치겠지만 그만큼 나로선 모든 걸 쏟아부었고 그만큼 자신이 있었다. 물론 꼭 10년이겠냐마는 내.. 2020.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