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01

담배에 격발해 성토하는 통일벼 무심히 시골길 달리다 무심히 보니 담배다. 오잉? 여직 담배 농사하는 데가 있나 보다 하며 차를 급정거하고는 살피니 영락없는 담배밭이다. 살피니 두어번 벌써 담배잎을 땄다. 주변으로 분명 건조창이 있을 텐데 언뜻 눈에 띄진 않는다. 요즘은 그런 방식으로 건조하진 않겠지? 벽돌로 만든 창고에 군불을 지피는 방식 말이다. 어른이 하지 않은 농사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 본인이 골초셨고 생평 새마을만 피다 가셨지만 담배 농사는 안지었으며 둘째 통일벼는 단 한 번도 지은 적이 없다. 논뙤기라 해봐야 몇 마지기 되지도 않는 천수답이 전부였지만, 통일벼로 바꾸라는 그 압제를 끝까지 버텨낸 고집이 지금으로서도 의아하기만 하다. 그땐 산미증산에 정부가 목을 매던 때라 관에서는 면사무소 순사 내무부 주사 등을 동원해 통일.. 2021. 6. 27.
흔했으되 다 뽑아가는 망개 이른바 생활체험형 예능 프로가 끼치는 악영향으로 모든 식물자원의 약초화라 이름할 만한 흐름이 있으니 그 된서리를 맞은 대표식물 중 하나가 이 망개다. 망개는 야산에 흔해 빠졌으니 가을에 피우는 붉은열매는 실상 이렇다 할 맛대가리는 전엱없는 편이라 내 아무리 헐벗고 어릴 적 삶의 무대 절반이 산이었다고 해도 이 망개는 쳐다도 안 봤다. 이 망개는 거추장스럽기만 해서 주로 자라는 데가 가시덤불이고 그 자신도 그런 류라 땔깜으로도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고 오직 망개떡 하나에만 쓰임새 요량이 있었다. 한데 얼마전 김천 마미한테 듣자니 이 망개가 씨가 말랐단다. 오만 산을 다 뒤져 다 캐갔단다. 망개고 도레이고 짠데고 할미꽃이고 뭐고 남아나는 게 없단다. 씨가 말랐단다. 나는 자연인이다며 하는 예능들이 걸핏하면 망.. 2021. 6. 27.
귀면鬼面 vs. 용면龍面 고고학계에서 흔히 귀면으로 통하는 장식문양을 두고 대략 20년전쯤에 강우방 선생이 그기 아이고 룡이라고 주장한 적이 있다. 강우방 선생은 그 발표를 내 기억에는 국립경주박물관장 재직 시절, 경주박물관이 개최한 학술대회장에서 발표했고, 그 자리에 내가 있었다. 이후 강 선생은 줄기차게 귀면기와를 용면기와라 불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경주박물관 이용현 박사 포스팅을 보니, 이번 황룡사지 특별전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된 듯하다. 공식자리인지 아니면 비공식인지는 모르겠다. 이 논쟁과 관련해 최맹식 전 국립문화재연구소장과 함께 한국기와 연구를 양분하다시피한 김성구 전 광주박물관장이 몇년전쯤인가 어떤 언론 보도를 보니, 저 문양이 鬼面임을 뒷받침하는 결정적인 근거를 찾았다고 하면서, 그 근거로 《고려사절요》에 나오는 .. 2021. 6. 27.
[천연기념물센터] 친절한 활동지 2021.06.26.(토) 천연기념물센터 천연기념물센터 전시 리뷰를 하기에 앞서 인쇄홍보물을 먼저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좋은 의사소통의 조건으로 ①빠르고, ②정확하고, ③친절한 것을 들고 있습니다. 앞의 두 가지인 빠르고, 정확한 것은 기본 조건이라고 보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마지막, ‘친절함’이라 생각합니다. 박물관 홍보인쇄물이 친절하다는 건 무엇일까요? 관람객 대상층에 맞게 박물관(전시실)을 잘 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안내 책자만 들었을 뿐인데, 친절한 선생님이 나타나서 마치 옆에서 전시실을 안내해 주는것 같은 그런거요! 홍보물만 보아도 직관적으로 “아! 전시실이 이렇게 구성이 되어 있구나!”, “이쪽으로 가면 이걸 볼 수 있구나!” 알 수 있게 말이죠. 그 안에는 대상.. 2021. 6. 27.
서도書道에 대對하야 1950년, 6.25 직전 열린 제2회 국전을 보고 당대의 예술가들이 좌담회를 열었다. 이 분들께 꽤나 뜨거운 주제는 '서예'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였다. 재밌게도 서양화 하시는 분들이 그에 대해 크게 둘로 갈렸는데, 이응로(1904-1989)와 이쾌대(1913-1965), 남관(1911-1990)은 그래도 좀 옹호하는 쪽이었고 박영선(1910-1994)과 배운성(1900-1978)은 썩 좋게 보지 않았다. 심지어 배운성은 "서예는 공예 속에 넣으면 어떨까 생각하는데"라고 말하였는데, 그 말을 툭 끊고 다음과 같이 일갈한 분이 있었다. 무식한 말은 집어 치우시요. 서예가 어째서 공예 속에 포함될 수 있단 말이요. 대실언大失言이니 취소하시요. 그러한 망발이 미술가의 입에서 발언되었다는 것을 나는 불쾌히 생각.. 2021. 6. 27.
1,600 year old Japanese-style armor and helmet discovered off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re reproduced 고흥 무덤서 나온 왜계 갑옷·투구, 1천600년만에 재현 박상현 / 2021-06-27 10:00:28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 야막고분 출토품 연구 과정서 제작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3156359457 고흥 무덤서 나온 왜계 갑옷·투구, 1천600년만에 재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전남 고흥의 한 고분에서 발견된 약 1천600년 전 갑옷과 투구 재현품이 만들어졌다.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는 고흥군 풍양면 야막고분에서 출토한 삼국시대 갑주(甲 k-odyssey.com A replica of the 1,600 year old armor and helmet found in an ancient tomb in Goheung, Jeollana.. 2021.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