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94 지 발굴현장은 다 깔아뭉갠 자들이.. 그간 자기 발굴현장은 하나도 못 지키고 다 없애버린 자들이 남의 발굴현장에 자문위원이니 검토위원이니 하는 이름으로 나타나서 이건 지켜라 저건 복토해라 조건 이전복원해라 하는 꼴을 보면 구토가 난다. (2015. 6. 11) 2021. 6. 11. 감꽃 같은 꽃을 떨구는 수입산 개오동 개씨 치고 좋은 어감없다. 하물며 그것이 오동임에랴? 왜 하고 많은 이름 중에 개오동나무일까? 살펴도 오동 같은 느낌은 전연없다. 떨군 꽃잎을 보니 천상 감똑갯라 개감이라 했음 믿어줄 성 싶다. 서을에서 이 개오동으로 단연 최고가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 입구서 자라는 그것이니 저와 같은 팻말 달았으시 개오동나무 Catalpa ovata 개화시기는 6월이며 낙엽 활엽 관목이다. 1904년경에 도입되어 중부 이북에 식재되어 온 수종이다. 맹아력이 강하다. 이에 따른다면 개오동은 수입산인갑다. 2021. 6. 11. 도판으로 보는 아라가야 왕궁 부엌칸 어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함안 아라가야 추정 왕궁터 발굴성과 중 하나로 부엌 전용으로 사용했을 법한 흔적을 찾았다고 언론에 보도자료를 배포했거니와 사진 중심으로 추리면 이렇다. 이것이 발굴현장 전경이다. 테두리를 따라 구멍이 뽕뽕뽕 뚫린 흔적을 간취하는데, 성벽에다가 박은 나무기둥 구멍이다. 목책처럼 썼던지 했을 것이다. 아 아래쪽이 성벽 내부다. 살피면 지질이 암반투성이임을 엿본다. 저 발굴구간 중에서 붉은 고딕으로 테두리친 지점이 연구소가 말하는 부엌 공간이다. 세부는 어떨까? 이것이 부엌 전용 공간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한단다. 다만 연구소 배포 사진으로는 윤곽이 확연히 드러나지 않아 포토샵을 가미해 그 윤곽을 더욱 분명히 하면 이렇다. 어느 정도 윤곽이 드러난다. 대체로 보면 암반을 깎아내고는 .. 2021. 6. 11. 전곡의 산증인 임종태 선생과 최순임 여사를 추모하며(by 이한용) 최순임여사를 추모하며. 언제나 전곡할머니, 임반장님댁 할머니로 불리셨던 최순임 여사가 95세를 일기로 소천하셨다. 어제밤 문상을 하고 아침 페북에 몇 가지 소회를 적으려고 뒤져본 사무실 컴퓨터 사진첩에서는 [2006 축제 전곡할머니]라는 파일명으로 이 흐릿한 사진 한 장이 찾아진다. 이 사진처럼 할머니는 언제나 흐릿한 존재였을지도 모르겠다. 최순임 여사, 일명 전곡할머니는 전곡리유적의 발굴현장 인부 반장님이셨던 임종태 어르신의 부인이시다. 임종태 반장님은 전곡리유적의 초창기 발굴부터 참여하셨고 유적현장에 조그만 전시관이 있을 때 수십 개 열쇠뭉치를 들고 다니시면서 전곡리유적을 지키신 분으로 유명하다. 지금도 전곡선사박물관 상설전시장에서 만날 수 있는 분인데 최순임 여사는 언제나 임 반장님을 야단치시던 분.. 2021. 6. 11. [지질박물관] 삼엽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 이 포스팅은 지질박물관 제1전시관 설명문을 보고, 그림으로 그린 것입니다. 설명문 제목이 인데, 제목만 봐도 궁금해 지지 않나요?! 설명문을 읽고 싶어지게 하는 그런 제목이었습니다. (지질박물관 큐레이터님 제목정하는 센스가!!) 삼엽충에 대한 오해? 오해가 있으면 풀어야죠! 어떤 오해인지, 어떻게 오해를 풀었는지, 그림으로 확인해 주세요. 위 질문들 모두 삼엽충을 보면서 아리송 했던 부분이었는데, 콕 찝어 설명해 주니 감사했다. 특히 “삼엽충은 머리•몸통•꼬리로 나뉘어 삼엽충이다.” (또 저만 헷갈렸던 거죠?! ㅎㅎ) 이 외에도 전시실에서 큐레이터의 센스가 돋보이는 설명들이 눈에 띄었는데, 이 부분은 천천히 소개하는 걸로 하겠다. 글에 나온 내용은 지질박물관 제1전시관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2021. 6. 11. 날망이 아닌 구릉에서 찾았다는 합천 옥전 가야 공동묘지 합천 옥전고분군 가지능선에서 하위지배층 무덤 최초 발굴 박정헌 / 2021-06-10 17:25:45 합천 옥전고분군 가지능선에서 하위지배층 무덤 최초 발굴 (합천=연합뉴스) 박정헌 기자 = 경남 합천군은 사적 제326호인 옥전고분군 가지능선에서 하위지배층 무덤이 최초로 발굴됐다고 10일 밝혔다.군은 작년 12월부터 극동문화재연구원에 발굴조사를 k-odyssey.com 이 소식 토대가 된 합천군 보도자료가 아래다. 합천 옥전고분군, 가지능선 하위지배층 무덤 최초 발굴 - 옥전고분군 하위지배층 성격 및 무장체계 연구에 일조 - 경남 합천군(군수 문준희)은 사적 제326호인 합천 옥전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함께 체계적인 유적관리 및 보존· 보호방안 계획을 수립하여 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2020.. 2021. 6. 10. 이전 1 ··· 2257 2258 2259 2260 2261 2262 2263 ··· 363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