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49

난리통에 버섯 구워드신 백운거사白雲居士 "관군은 이달 아무 날 동경(경주)을 떠나 운문산으로 들어가 주둔하였는데, 초적(김사미와 효심 등)이 또한 조금 없어져 군대 안에 별달리 일이 없고, 다만 소나무 아래 새로 돋은 버섯을 따서 불에 구워먹으니 아주 맛있구려." ㅡ 이규보 《동국이상국집>》 전집 권27, 서, "전, 박 두 친구가 서울에서 안부를 물은 데 답하는 편지" ㅡ 1202년, 지금의 청도 운문사 일대에서 김사미와 효심이 이른바 '신라부흥운동'을 일으켰다. 이규보는 이를 진압하는 데 '병마녹사 겸 수제원'이란 직책으로 종군했는데, 그때 쓴 편지 일부다. *** 글 그림 모두 강민경 선생이다. 버섯, 그 이상의 버섯 송이 버섯, 그 이상의 버섯 송이 이규보 《동국이상국전집》 제14권 / 고율시(古律詩) 송이버섯을 먹다[食松菌] 버섯은 .. 2020. 12. 17.
쥐들은 듣거라! 즉시 내 집을 떠나지 않으면 고양이 밥을 만들어주겠노라 동국이상국전집 제20권 / 잡저(雜著) - 운어(韻語) 쥐를 저주하는 글 병서幷序 우리 집에는 평소에 고양이를 기르지 않으므로 쥐 떼가 마구 날뛴다. 그래서 그것이 미워해서 저주한다. 생각하건대, 사람 사는 집에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어른이 되고, 곁에서 이를 돕는 데는 각각 맡은 바가 있다. 음식 만드는 일을 맡은 이가 계집종이고, 마소 치는 일을 맡은 자는 사내종이며, 아래로 육축六畜에 이르기까지 직책에 각기 구분이 있다. 말은 수고를 대신하여 사람이나 짐을 싣고 달리며, 소는 무거운 짐을 끌거나 밭을 갈며, 닭은 울어서 새벽을 알리며, 개는 짖어서 문을 지키니 모두 맡은 바 직책으로 주인집을 돕는다. 뭇 쥐한테 묻는다. 너희는 맡은 일이 무엇이고 누가 길렀으며 어디서 생겨나서 번성하는가? 구멍을 뚫고.. 2020. 12. 17.
버섯, 그 이상의 버섯 송이 이규보 《동국이상국전집》 제14권 / 고율시(古律詩) 송이버섯을 먹다[食松菌] 버섯은 썩은 땅에서 나거나 혹은 나무에서 나기도 하네 모두가 썩은 데서 나기에 흔히 중독이 많다 하네 이 버섯만 솔에서 나 항상 솔잎에 덮인다네 솔 훈기에서 나왔기에 맑은 향기 어찌 그리 많은지 향기 따라 처음 얻으니 두어 개으로도 한 웅큼일세 듣건대 솔 기름 먹는 사람 신선 길 가장 빠르다네 이것도 솔 기운이라 어찌 약 종류가 아니랴 ⓒ 한국고전번역원 | 오양 (역) | 1980 菌必生糞土。不爾寄於木。朽腐所蒸出。往往多中毒。此獨產松下。常爲松葉覆。爲有松氣熏。淸a001_439c香何馥馥。尋香始可得。數箇卽盈掬。吾聞啖松腴。得仙必神速。此亦松之餘。焉知非藥屬。 ⓒ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90 2020. 12. 17.
수십만기 파제낀 무덤, 토기 이야기하려 팠는가? 부산 복천동고분군은 한국 고고학현장에서는 이례적으로 매장주체부를 노출한 현장 박물관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그렇게 무수한, 아마도 수만 기, 혹은 수십만 기에 달하는 무덤을 파제껴도 그 현장을 그대로 박물관화한 곳은 몇 군데 지나지 않으니 내가 떠올리는 곳으로는 경주 천마총을 필두로 김해 대성동 고분군, 그리고 몽땅 들어옮긴 판교고분박물관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고령 지산동 44호분은 모형이다. 이 복천동 고분군은 그런 까닭에 다른 고분군보다는 격발하는 바가 적지 않다. 하지만 이것도 이젠 옛날 스타일이라, 부식이 급속도로 진행하는 금속유물 등은 꺼내서 레플리카를 제작할지언정, 토기는 거두어서 뭘 한단 말인가?고작 실내 전시실에 몇 점 전시하는데 지나지 않고, 그나마 자기네만 알아듣는 얘기나 .. 2020. 12. 17.
문화재 주변 잡목, 치울 건 치워야 연전에 어느 사진 작가가 금강송인지 촬영에 방해된다며 주변 소나무를 싹뚝 잘라버린 일이 화제가 되고, 개망신을 당했거니와 나는 그 마음 이해한다. 봐라.... 톱 도끼 낫자루 있었으면 주변 수풀 다 쳐버리고 말았을 것이다. 문경 어느 마애불에서 (2015. 12. 15) *** 환경론이 자연방치주의로 환치해서는 안 된다. 쳐버릴 것은 쳐야 한다. 물론 어느 정도냐가 항용 문제로 돌발하거니와, 이 유산의 경우 대대적인 왁싱 WAXING이 필요하다. 문제의 저 마애불은 문화재 지정 명칭이 대승사 마애여래좌상 大乘寺磨崖如來坐像이라 문경시 산북면 대승사 경내를 진입하는 통로 쪽에 있는 고려전기 마애불로 높이 6m에 달한다. 주변 잡목이 문제가 되거니와, 불상 자체에도 좋지 아니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닌가 하며.. 2020. 12. 17.
무주 용포리 노고산 봉수 발굴조사(상보) 아래는 무주군·전라문화유산연구원 《무주 용포리 노고산봉수 문화재 발굴조사 약식보고서》(2020. 12)에 의하며 그것을 절록한다. Ⅰ. 조사개요 1. 조 사 명 : 무주 용포리 노고산 봉수 발굴조사 2. 조사지역 : 전라북도 무주군 무주읍 용포리 산54번지 일원 3. 허가번호 : 제2020-1580호 4. 조사기간 : 2020년 08월 10일 ~ 2020년 12월 10일(실조사일수: 16일) 5. 조사목적 : 종합정비 6. 발 주 처 : 무주군 7. 조사기관 : (재)전라문화유산연구원 8. 조사면적 : 249㎡ 9. 조사단 구성 단 장 : 천선행(원장) 책임조사원 : 천선행(원장) 조 사 원 : 박춘규(조사연구2실장) 준조사원 : 이용욱(연구원) : 보 조 원 : 손예린(연구원) 10. 조사경위 및 경과.. 2020.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