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55 박원순을 어찌 기록할 것인가? 어쩌다 퇴근이 좀 늦어졌으니 저녁 약속 때문이었다. 공장을 나서려는데 서울시장 박원순이 블리블라 실종됐다는 속보가 날아든다. 한류기획단은 공장 8층 구석데기에 부서가 있다. 신설부서가 감내해야 하는 핸디캡이다. 이곳엔 편집국 중에서도 세계뉴스를 취급하는 국제부랑 국내 뉴스를 영어를 필두로 하는 각종 외국어로 서비스하는 외국어뉴스가 정좌한다. 여타 국내 취재를 전담하는 각종 부서는 비러 아래 7층에 칩거한다. 퇴근길에 여차저차하는 궁금증이 일어 두 층 사이에 난 계단길을 내려 사회부로 간다. 요샌 주52시간 시스템도 있고 어차피 외근이 많아 저녁 7시가 되면 편집국에도 사람이 없다. 이 사건 담당 사회부는 부장이 남았고 그와 직간접으로 이 사건으로 연동하는 간부 기자 몇 마리만 테레비 틀어놓고 돌아가는 상.. 2020. 7. 10. Newgrange Megalithic Passage Tomb, 아일랜드 대따시 선사문화 "고대 아일랜드 상류층 근친상간"…지배층 권력 강화 수단 | 연합뉴스 "고대 아일랜드 상류층 근친상간"…지배층 권력 강화 수단, 김유아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6-18 11:40) www.yna.co.kr 최근 국내에 제법 흥미로운 아일랜드 선사시대 관련 새로운 연구성과가 전해졌으니, 추리건대 아일랜드 더블린 트리니티 칼리지 연구진이 아일랜드 동부 미스 카운티에 소재하는 뉴그레인지 신석기무덤에서 발견된 한 남성 인골을 유전자 분석을 한 결과 근친상간이 빈번했음을 보여주는 증좌를 발견했다는 것이다. 이는 무엇보다 이 남성이 어머니와 아버지한테서 물려받은 각각의 유전자가 서로 비슷하다는 데 근거를 둔다. 이는 이 남성의 부모가 남매이거나 부모 자식임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지금의 기준으로 콩가루처.. 2020. 7. 9. 21세기 농촌의 새참광주리 vs. 5세기 신라 토기반유개고배土器盤有蓋高杯 럭키 세븐? 황남대총이 품은 굽다리접시 7개 Earthenware Plate and Mounted Dishes with Cover Excavated from North Mound of Hwnangnamdaechong, The Great Tombs in Hwangnam Siila dynasty, 5th century Housed at National Museum of Gyeongju buk 352.. historylibrary.net 일전에 소개한 적 있다. 경주 대릉원 황남대총皇南大塚 북분北墳 출토 이른바 토기반과 뚜껑굽다리접시[土器盤有蓋高杯] 라 Earthenware Plate and Mounted Dishes with Cover Excavated from North Mound of Hwnangnamd.. 2020. 7. 9. 비실비실해서 더 중요한 할미산성 고구려를 흔히 산성의 나라라 하지만 신라 역시 그에는 못지 아니해서 신라산성이라 할 때 특유한 이미지가 있으니 이 친구들 열라 산성쌓기 선수들이라 본래 남은 신라시대 성곽 흔적을 보면 기똥차다. 그에 견주어 용인 할미산성은 대단히 독특한 신라산성인데 비실비실함이 완연해서 전연 신라산성 같지가 않다. 우선 이 할미산성은 성벽을 물론이요 내부 건물이 있었을 만한 곳은 대략으로 거의 다 판 셈인데 첫째 성벽이 비실비실하고 둘째 내부서 팔각형 건물지 서너동인가까지 흔적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기와가 거의 발견되지 아니해서 이른바 위세와 권위를 뿜을 만한 흔적은 없었지 않느냐 한다. 초창기 발굴부터 죽 살폈으니 올해까지 7차에 걸친 발굴성과를 봐도 비실비실은 변함이 없다. 그래서 내심 첨에는 만들다 만 산성 혹은 아.. 2020. 7. 8. 처인성 어슬렁이는 털보관장 본 일 있는가? 할미산성 등정을 끝내곤 다음 목적지 처인성으로 향했다. 도착 직전 첩보 하나가 날아든다. 털보가 나타나 처인성 주변을 얼쩡거린단다. 무슨 일? 하며 현장을 숨어들었다. 위수지역 이탈한 털보를 조우한다. What a coincidence? 요새 전곡이 장사 안 된단 소문 돌더니 사실이었다. 내친 김에 붇잡고 처인성이나 한 바쿠 돌자해서 돈다. 이곳이 김윤후가 목탁 대신 총칼 들고는 열받아 몽고군 사령관 살리타이 모가지 떨어뜨렸다는 그 처인성인지는 논란이 좀 있거니와 그 정체가 무엇이건 우리 역사 한켠을 켜켜이 온축한 역사의 현장임은 분명하거니와 돌아보니 사방 평야 충적지대인데 둔덕에 가까운 작은 야산이 막 내림하는 그런 곳이라 볼짝없이 홍수를 피하는 최적지라 선택한 토성이라 눈대중으론 방형 아닌가 했더만 .. 2020. 7. 8. 할미산성, 종잡을 수 없는 돌무지와 등산로 국가 사적은 되지 못하고 경기도기념물인 용인 할미산성이 올해 제7차 발굴조사 중이다. 조사단은 한국문화유산연구원(원장 현남주), 용인시 의뢰다. 올해는 발굴규모가 작다. 예산도 1억5천 만원 정도 책정됐다고 들은 듯하다. 한데 막상 발굴현장 보니 조사단이 좀 밑지는 장사가 아닌가 해서 슬쩍 물었더니, 현지조사를 감독하는 이상국 조사연구부장이 씩 웃으면서 울트라갑 조사 의뢰처인 용인시청 하계사 이서현 눈치를 실실 본다. 우선 조사지점을 보면 이렇다. 7차 조사라 쓴 지점이니, 산성 중턱 동쪽으로 약간 치우친 지점이다. 대체로 할미산성은 급경사인데, 그래서 큰 건물이 들어갈 만한 대지가 크게 눈에 띠지 아니해서 중간중간 턱을 지어 단을 만들었다. 할미산성은 나랑 특수한 관계라, 이번 조사도 그냥 넘길 수는 .. 2020. 7. 8. 이전 1 ··· 2557 2558 2559 2560 2561 2562 2563 ··· 35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