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46 동물을 세는 수량수사 바리 vs. 마리 짐승 개체를 세는 단위를 내 고향 김천에선 바리 라고 하니, 서울 사투리 마리에 대응하거니와, 그리 하여 소 두 바리, 돼지 세 바리 라는 식으로 말한다. 물론 이 역시 요새는 서울말을 표준어로 강요 협박 윽박하는 미디어 영향으로 마리라는 말도 혼용하기도 하거니와 내가 궁금한 것은 1. 바리와 마리 분포 영역이 어떠하며2. 개중 어느 쪽이 선대어인지 밝혀낼 수 있는지3. 이처럼 ㅂ 대 ㅁ 대응이 심심하게 발견되거니와 그 양상은 어떠한지등등이 궁금하다.이에 대한 사계 권위자의 계도를 기대하노라.(August 15, 2018) ***이를 수량 수사라던가?그래서 내 고향에서는 닭 한 마리 잡으라는 말을 닭 한 바리 자바레이 한다. 저 마리는 아마도 머리[頭]랑 계통을 같이하는 말이 아닐까 한다. 당시 저와 같.. 2020. 8. 16. 가채만 남긴 혜원의 여자 노출을 팍 높여봤다. 눈알이랑 가채만 남았다. 미인도라는 이름은 누가 시건방지게 쓰기 시작했는지 모르겠다. 혹자는 모나리자를 비견하는데 중년 뚱땡이 여성에 어찌 견준단 말인가? 미인도라 하자. 모나리자가 미인이니? 신씨 윤복이가 곡한다. 이건 미인도가 아니라 기생도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안내문은 다음과 같다. 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筆美人圖 Miindo (Portrait of a Beauty) by Shin Yunbok 보물 제1973호 Treasure No. 1973 지정일 2018. 2. 22 조선 18세기 말~19세기 초 비단에 열은 색 간송미술문화재단 Joseon Dynasty, late 18-early 19 century Ink and light color on silk Kansong Art.. 2020. 8. 15. 한류 홈페이지 준비 점검 오랜만에 공장 이야기 좀 하고자 한다. 연합뉴스에 한류기획단이 출범하고 불초소생이 그 초대 단장을 맡으면서 대체 한류기획단이 뭐 하는 데냐는 문의가 외부 만이 아니라 사내에서 빗발치거니와 가장 주력한 데가 한류콘텐츠 강화라 그 일환으로 한류 홈페이지를 준비 중이라, 빠르면 이번달 중, 늦어도 다음달에는 그 시험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라, 우선 홈페이지는 기존 연합뉴스에서 독립하기로 했으니, 그 산하에 들어가면 존재감이 전연 드러나지 않고 무엇보다 약간은(표현은 이리하지만) B급 감성을 가미해야 하는 이유 등등을 고려했다. 덧붙여 영어 기반으로 잡았는데 이 역시 문제가 적지는 아니해서 영어 기반 원천 소스가 태부족이라 당분간은 국문콘텐츠랑 혼용할 수밖에 없다. 기타 홈페이지 개설이 간단하지는 아니해서, 한류기.. 2020. 8. 15. 호미, 어디까지 보았니? 호미 종류가 다양한 줄은 알았지만 이렇게까지 다양할 줄이야! 내가 정말 우물 안 개구리인게, 호미를 왜 내륙에서만 사용했다고 생각했을까...;;; 뾰족한 날로 뭔가를 팔 때 사용하는 도구가 호미라면, 당연히 강이나 바다에서도 사용했을 텐데 말이다. 필요에 의해 도구가 개발되었고, 사용하면서 가장 기능적인 모양으로 발전되었다고, 책으로 배우고, 말로 떠들었는데, 나는 그냥 피상에 지나지 않았나 보다. 바닷가에서 이런 호미를 많이 보고 지내셨던 분들이라면 “호미 처음봐?? 뭘 그렇게 신기하게 봐?? 여기 호미는 이렇게 생겼어!” 라고 할지도 모르겠다. “네...이렇게 생긴 호미는 처음 봐요.” 우리 동네 호미는 이렇게 안생겼다. 전형적인 삼각형 모양에 슴베부분이 살짝 올라가며 휘어져 있는모양이다. (이 호미.. 2020. 8. 15. 동물고고학 심포지움(8. 27) 알림 올해 8월 27일, 코로나 방역국면 와중에 경주에서 개최되는 대한체질인류학회 대회에 "체질인류학적 관점의 한일 동물고고학 포럼"이 개최됩니다. 장소는 경주 황룡원 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P.S.) 일본연자는 방역관계로 입국이 불가하여 온라인 강연 계획입니다. - 학술대회 연제순서 - [ 8월 27일 ] 12:30 ~ 14:20 체질인류학적 관점의 한·일 동물고고학 포럼좌장: 김헌석, 고은별 [Podium Session]l12:30-12:50 Korea-1:탐라시기(7-9세기) 제주도 동물이용의 양상 (김헌석,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l12:50-13:10 Korea-2:신라와 흉노의 말 희생의례 비교 검토 (고은별,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l13:10-13:30 Korea-3:삼국시대.. 2020. 8. 15. Another 광복데이 hi from 해골스 내친 김에 다른 인골도... 김해 예안리 고분군 77호분(위) 99호분(아래) 출토다. 99호품은 편두가 완연하다. (2014. 8. 15) *** 당시 이렇다 할 의문없이 부산대박물관 설명문 보고 이리 옮겼으나, 편두扁頭 자체를 의심한다. 앞에서 소개한 늑도유적 출토 인골들과 더불어 이들 두개골을 감정한 이른바 이 분야 전문가 중에서 명백한 편두는 1분인가 라는 글을 본 적은 있는 듯 하나, 의심한다. 그것이 설혹 편두가 맞다 해도, 삼국지 한전韓傳에서 말하는 그 편두가 맞는지 판단은 전연 보류한다. 어거지로 한전에 맞춘 느낌이 짙은 까닭이다. 2020. 8. 15. 이전 1 ··· 2649 2650 2651 2652 2653 2654 2655 ··· 36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