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784 편자를 내세운 장수의 가야 마케팅 이 조형물 어딘지 고고학스러운데 편자를 형상화한 것이다. 그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장수 동촌리 19호분 출토 편자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한다. 이른바 반파라는 장수가야를 지역정체성으로 삼으려는 전북 장수군이 이 편자를 군 공식배지로도 만들었으니 장영수 현 군수가 낸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삼았다 한다. 장수군청 홀에는 이와 나란한 다른 가야 조형물도 있다. 이건데 이른바 굽다리받침에 담긴 목이 긴 항아리라 이걸 일본친구들이 쓰는 한식漢式 표현을 빌린다면 뭐라 할까? 기대부직구장경호器臺附直口長頸壺? 난 한국고고학을 볼 적마다 이 친구들이 한국고고학도인지 왜놈고고학도인지 당췌 구분을 못하거니와, 특히 삼국시대를 중심으로 하는 역사고고학을 하는 친구 중에 이런 얼빠진 놈들이 집중 분포한다는 점이 신이神異로울.. 2020. 8. 6. 야밤에 땡기는 딴딴면 사천성 성도 도강언에서 우거적우거적 씹어댄 딴딴면 2013. 8. 6 꼬박 7년이라는 세월이 우사인 볼트 200미터 달리듯 흘렀다. 오밤중에 각중에 이 딴딴면이 땡긴다. 코로나 올 줄 알았음 그때 배터지게 먹어줄 걸 그랬다. 2020. 8. 6. My Food of Today 장수오미자주 오미자는 본래 장수가 본고장이지만 요샌 문경에 주도권을 내주었다는 게 장수 쪽 주장이다. 그런 장수가 다시 오미자로 일어서려 한단다. 장수오미자주..내가 넌알코홀릭이라 아쉽지만 한 모타리 목구녕으로 타고 흐르는데 맛이 죽인다. 코다리찜이다. 살짝 데친 콩나물로 섞어 털어넣었다. 뱃가죽이 땡긴다. 육회를 곁들인다. 살살 녹는다. 내가 왜 이런 호강을 하는가? 맹사기 때문이다. 나로선 준비한 것들은 오늘은 거의 육두문자도 쓰지 않고 했다. 예의상 하는 말이겠지만 좋았다니 나로선 기분이 썩 좋다. 2020. 8. 5. 제기로 추정되는 톱니바퀴 만두신 파주 운정3지구 3~4세기 축조 추정 백제가마터 수습 톱니바퀴 구현 질그릇이라 기능 기종 종잡을 수 없거니와 이럴 때 써먹는 말이 제기祭器 혹은 추정 제기 라는 말이다. 그보단 이걸 본 내 지인들 압도적 반응이 만두라는 것이니 그렇담 이리 말하리라. 만두신을 봉헌할 때 저민 고기를 담은 제기로 추정된다. (이상 사진은 2016. 8. 5 촬영이다.) [독설고고학] (4) 넘쳐나는 제기祭器 제의시설 문 : 한국고고학에는 제기祭器가 왜 그리 많아요? 나 : 응, 원래 많을 수도 있고, 다른 이유가 있기도 해. 문 : 뭐예요? 나 : 응, 이땅의 고고학도들은 지들이 기능을 모르면 다 제기라고 해 . 문 : �� historylibrary.net 2020. 8. 5. 탄자나이트 돌삐 주서 떼부자 됐다는 탄자니아 올해만 3번 터진 잭폿…탄자나이트 캔 광부 60억 벌어 | 연합뉴스 올해만 3번 터진 잭폿…탄자나이트 캔 광부 60억 벌어, 김유아기자, 국제뉴스 (송고시간 2020-08-04 17:11) www.yna.co.kr 황금 보기를 돌 같이 해라? 넘버 쓰리가 신봉하는 절대신 최영 장군께서 이리 말씀하셨다지만, 장군은 몰랐다. 돌빼가 황금보다 비싸다는 사실을. 하긴 뭐 알고서 저리 말씀하셨을 수도 있으니, 그 내막은 미지未知로 돌려두기로 한다. 재수가 옴까지 붙어오면 이를 우리는 대박이라 한다. 대~~~박! Tanzanite...난 첨에 이 광물이 타잔이 쓰다 버린 돌삔 줄 알았다. 한데 이 돌삐가 값이 수월찮은 모양이라 금이랑 비교하면 어떤지 모르겠지만, 6.3㎏짜리를 200만달러(약 23억8천만원)에 받고.. 2020. 8. 5. [박투] 국립고궁박물관 ‘新신 왕실 도자-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서양식 도자기’ [국립고궁박물관] 新신 왕실 도자-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서양식 도자기 2020-07-29 ~ 2020-10-04 기획전시실 언제부터인지 국립고궁박물관 전시가 기다려진다. 고궁박물관이다 보니 아무래도 왕실에서 사용하던 유물이 주를 이루어, 평소 볼 기회가 적기 때문이다. 또, 왕실 유물이다 보니 얼마나 고급스럽고, 화려한가! 마치 명품관에 들어 온 듯, 눈이 즐겁다! 특히 이번 전시는 왕실에서 사용하던 서양식 자기를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뭔가 절제되고, 은은하한 모습의 고려 청자, 분청사기(이 아이는 조금 아니지만), 조선 백자를 보다 ‘나 여깄어요!!!!’, ‘이래도 안보여요?!!’ 하는 듯 화려한 왕실의 자기를 보니 또 색다른 매력이 있었다. 사실 전시를 두 번 보았다. 한 번은 이쪽에 계신 분들.. 2020. 8. 5. 이전 1 ··· 2649 2650 2651 2652 2653 2654 2655 ··· 363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