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398

[당대사 Comtempory History] 미르재단 직접 설계 인정한 대통령 박근혜 November 3, 2016 at 9:39 AM 나는 박근혜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이 말을 했을 때 이번 미르재단 사태 몸통이 다름 아닌 박근혜임을 직감했다. 이에서 박근혜가 말하기를 "저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을 대한민국이 선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두 축으로 설정해 지속적으로 추진해왔고, 그것은 전 세계에서도 많은 주목을 받았"다고 하면서 "과거 산업화 시대처럼 관 주도로 모든 것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이제는 민간이 앞장서고 정부는 지원하는 방식으로 창조경제와 문화융성의 두 축을 이끌어나가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네는 덧붙이기를 "이에 외국순방 때마다 경제사절단으로 함께 한 여러 기업들과 그동안 창조경제를 함께 추진해온 기업들이 그것을 더욱 발전시켜 기업과 국가 경쟁력을 높.. 2019. 11. 3.
뚜두뱅, 푸르투갈(2)-여행의 묘약 #1. 여행의 묘약. 굼벵이를 달리게 한다. · 2019.10.26. sat. · Porto · Oriente Station 07:09am → Saint Benedict Station 10:20am 자정 넘어 도착한 리스본 숙소에서 눈만 잠시 붙였다가 포르투로 가기위해 아침 일찍 기차역으로 나왔다. 여행의 설렘은 사람을 부지런하게 만든다. 평소 이불속에서 알람 5분뒤를 두 어번을 누르고 있을 나인데, 새벽 6시 40분 모든 단장(?)을 마치고 역에 서있다. 【Oriente Station platform 오리엔테 역 플랫폼】 당시는 잠결이라 '역 참 특이하네...' 정도 생각했는데, 나중 찾아보니 리스본시 주관으로 개최된 비공개 국제 공모전을 통해 스페인 건축가 '산티아고 칼라트라바'가 설계하였다고 한다... 2019. 11. 3.
Main Gate of Seoul / 숭례문 / 崇禮門 Also called Namdaemun 남대문 南大門, Sungryemun 숭례문 崇禮門 was the main and south gate of Seoul City Wall 한양도성 漢陽都城 during the Joseon 조선 朝鮮 dynasty. Today the gate is one of symbols representing Korea as well as Seoul. 2019. 11. 3.
Wondaeri Birch Forest at Inje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숲 Wondaeri Birch Forest at Inje, Gangwon-do Province / 江原道 麟蹄郡 院垈里 白樺林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숲 Photo bu Seyun Oh Located on the slope of Wondae Peak (sea level 684 meters) in Wondae-li, Inje-gun County, Gangwon-do Province, Wondaeri Birch Forest is 138 hectares, but 25 hectares are open to the public. In the early 1990s, the Inje Forest Management Office, oper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decided to cu.. 2019. 11. 2.
틈만 나면 자는 잠, 달아난 새벽잠 뇐네들이 새벽잠이 없는 이유는 틈만 나면 미리미리 자기 때문이다.농부들이 새벽에 활동하는 이유 역시 일찍 자기 때문이다. 개새끼들이 밤에 짖어대는 이유는 틈만 나면 낮엔 자빠 자기 때문이다. 고구마 캐 보면 안다.다마네기 캐 보면 안다. 둥구리 잔뜩 지게 걸머지고 산을 내려와 보면 안다.저녁만 먹고 뻗을 수밖에 없다. 뇐네, 농부, 지게꾼은 잠이 많을 수밖에 없다. 나이들수록 새벽잠이 없어진다?새벽 대신 다른 시간에 틈만 나면 자기 때문이지 잠은 절대량이 계속 늘어나다가 종국에는 영원히 잔다. 어떤 목소리를 들은 듯 한데? "더는 자지 못하리라. 맥베스가 잠을 살해한다"고 말야. 아무 죄 없는 잠, 걱정이라는 뒤엉킨 실타래를 풀어주는 잠, 하루하루 삶의 위안이며, 고된 노동의 목욕탕이고 상처받은 영혼의 .. 2019. 11. 2.
아주까리, 어쭈구리 아리까리의 고종사촌 자주 어쭈구리와 혼동하기도 한다. 생김은 철퇴지만 보드랍기는 신생아 피부 같다. 이젠 아주까리 피마자 지름 짤 일도 없다. 동백기름은 참빛에 찍어바르긴 했는데 피마자지름은 용처가 아리까리다. 그러고 보니 아주까리 사촌 중에 아리까리도 있구만. 이거 지름 짜던 압착기도 본 듯 한데 모르겠다. 이젠 다 아득하다. 겨울 문턱 앞둬서인가? 아주까리도 지름신이 강림한다. 2019.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