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998

다시 병마용 쏟아낸 진시황 병마용갱 中 진시황릉서 병마용 또 무더기 발굴…금제낙타도 첫 출토송고시간 | 2019-12-31 11:46 진시황 병마용兵馬俑 1호갱一號坑에 대한 제3차 발굴 결과, 도용陶俑 220여건과 도마陶馬 12필匹,수레車跡 2승乘,그리고 대량의 병기兵器와 건축유적建築遺蹟 등을 발굴했다고 서안진시황제릉박물관西安秦始皇帝陵博物院이 30일 발표했다. 도용 중에서는 「하하급군리용下下級軍吏俑」은 새로 발견된 도용陶俑 등급이라고 한다. 이 외에도 이번 조사 발견 중에 수습한 진秦나라 시대 방패[盾] 는 새로운 성과를 보충한다. 《서안시보西安晚報》 보도에 의하면, 이번 발굴지역은 1호갱 T23方이며, 발굴면적은 400평방미터다. 이번에 수습한 채회도용彩繪陶俑은 고급군리용高級軍吏俑、중급군리용中級軍吏俑、하급군리용下級軍吏俑、하하급군리용下下級.. 2019. 12. 31.
연극계 대모 구히서 선생 타계 '연극계 대모' 원로 연극평론가 구히서 선생 별세 2019-12-31 18:16 최초 평론가 집단 형성한 서울연극평론가그룹 이끌어 연극 평론계에 '저널리즘 비평'의 장 열어 나는 이 분을 모른다. 내가 연극에 관여한 적도 없어 연이 닿지 아니했다. 성함이 히서라 해서 혹 오타가 아닌가 했다. 그의 전력 중에선 두 가지가 나로선 눈에 띈다. 첫째 문화재관리국 출신이요 둘째 기자 출신이라는 사실이다. 전력을 보면 이화여대 사학과 출신이라는데 이런 전력을 발판으로 관리국에 들어간 듯 하며 그런 그가 기자가 되었다는 점도 이채롭다. 아마 이때 연이 닿아 주로 무형문화재에 관심을 기울인 듯 하거니와 돌이켜 보면 비슷한 길을 걸은 이로 한국일보 예용해 기자가 있다. 관리국이라면 연배를 보아 초창기 멤버일 듯 한데 .. 2019. 12. 3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0년, 경자년 새 해가 머지 않았다. 2019년은 내게 좀 더 특별한 해였다. (이리말하면 지난 해들이 서운 할수도 있겠지만) 몸 담고 있는 박물관에서 재밌는 일을 기획할 수 있었고, 자신의 분야에서 멋지게 활동하는 분들과 연을 쌓을 수 있었다. 이렇게 박물관을 도와주신 많은 분들 덕분에 박물관 특별전시와 야간개장 행사도 잘 치를 수 있었고, 직원들과 머리를 맞대고 개발한 교보재 사업도 우수사례에 선정되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라는 공간을 통해 많은 분들에게 온양민속박물관을 소개할 수 있는 한 해였다. 박물관 이야기를 많은 분들에게 들려 줄 수 있게 기회를 주신 블로그 주인장인 김태식 대장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아울러 많이 부족한 글이지만 재밌게 봐주신 분들에게도.. 2019. 12. 31.
함경도 지방의 군사지도 관북여지도關北輿地圖 봉수간 거리 표시한 18세기 함경도 지도, 보물된다송고시간 | 2019-12-31 09:56 문화재청이 보물지정을 예고한 ‘관북여지도關北輿地圖’는 조선시대 관북關北 지방인 함경도 지역 마을과 군사 요충지를 총 13면에 걸쳐 그린 지도집이다. 그 내용과 표현방식 등으로 보아 1738(영조 14년)~1753년(영조 31년) 사이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본다. 관북關北이란 한반도 북동부 지역을 말하는 조선시대 용어로, 현재의 함경남북도를 일컫는다. 이 지도가 담은 지역을 쪽별로 보면 1면 길주목吉州牧, 2면 명천부明川府, 3면 경성부鏡城府, 4면 부녕부富寧府, 5면 무산부茂山府, 6면 회녕부會寧府, 7면 종성부鍾城府, 8면 은성부隱城府, 9면 경원부慶源府, 10면 경흥부慶興府, 11면 함관령咸關嶺, 12면 마운령.. 2019. 12. 31.
[시굴조사보고서] 진안 대량리 제동유적 -시굴조사- 문화재청 긴급발굴조사 지원사업 《진안 대량리 제동유적鎭安大良里製銅遺蹟 -시굴조사-》 진안군·군산대학교박물관, 2019년 발행 유적 위치 : 전라북도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103번지 조사 면적 : 782㎡ 조사 내용 : 나말려초 시기에 조업한 제동유적으로 인접한 동광산에서 채굴한 동광석을 제련한 제동유적. 동 제련 과정에서 폐기된 폐기물층과 제련작업과 관련된 추정 노시설이 확인됨. It is the historic site of a copper smelting related facility that were operated from the late Unified Shilla to early Goryeo period, where copper from the adjacent mine was smelted. A.. 2019. 12. 31.
거북? 자라? 장식 부산 복천동고분 출토 그릇 봉수간 거리 표시한 18세기 함경도 지도, 보물된다송고시간 | 2019-12-31 09:56부여 무량사 오층석탑 금동불·부산 복천동 고분 토기도 지정 예고 문화재청이 보물 지정을 예고했다고 31일 발표한 것 중에는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釜山福泉洞 十一號墳出土陶器龜裝飾圓筒形器臺및短頸壺]’가 있으니, 이를 지정예고하면서 문화재청은 일컫기를 가야 시대 고분 중에서 도굴 당하지 않은 복천동 11호분의 석실 서남쪽에서 출토되어 출토지가 명확하고 5세기 가야 시대 무덤구조를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다. 가야 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토기 중에서 깨지거나 훼손된 부분이 없어 보존상태가 우수하고, 기대 중앙 부분에는 거북이 토우 한 마리를 부착시켰는데 삼국 시대 토우 중 거북이 .. 2019.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