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8687 이음(利音) ☞리음(利音) 2018. 3. 8. 진충(眞忠) 나해니사금 10년(205), 일길찬으로 국정에 참여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0년(205) 봄 2월에 진충(眞忠)을 일벌찬으로 삼아 나라의 정치에 참여시켰다. 2018. 3. 8. 이매(伊買) 신라 제9대 벌휴니사금 둘째아들이며, 골정 태자 동생이다. 내례부인과의 사이에서 아들 나해니사금을 두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이 왕위에 올랐다. 벌휴왕 손자로 어머니는 내례부인(內禮夫人)이고 왕비는 석씨이며 조분왕의 누이 동생이다. 용모가 웅장하고 뛰어난 재주가 있었다. 앞 왕의 태자 골정(骨正)과 둘째 아들 이매(伊買)는 먼저 죽었고 맏손자[大孫]는 아직 어렸기에 이매의 아들을 왕위에 세웠으니, 이가 곧 나해니사금이다. 2018. 3. 8. 술명(述明) 벌휴왕 9년(192) 일길찬이 된 신라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벌휴니사금 : 9년(192) 봄 정월에 국량(國良)을 아찬으로 삼고 술명(述明)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국량(國良) 신라 벌휴왕 9년(192) 아찬에 임명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벌휴니사금 : 9년(192) 봄 정월에 국량(國良)을 아찬으로 삼고 술명(述明)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설지(薛支) 신라 벌휴왕 7년(190), 백제와의 전투에서 구도가 패배하자, 그 후임으로 좌군주(左軍主)가 되었다. 설(薛)이 성씨인지 여부는 알 수가 없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벌휴니사금 : 7년(190) 가을 8월에 백제가 서쪽 국경에 있는 원산향(圓山鄕)을 습격하였다. 또 진군하여 부곡성(缶谷城)을 에워쌌으므로 구도가 굳센 기병 500명을 거느리고 그들을 공격하니 백제의 군사가 거짓으로 달아났다. 구도가 뒤쫓아가 와산(蛙山)에 이르렀다가 백제에게 패하였다. 왕은 구도가 실책하였다 하여 부곡성주(缶谷城主)로 좌천시키고 설지(薛支)를 좌군주(左軍主)로 삼았다. 2018. 3. 8. 이전 1 ··· 2970 2971 2972 2973 2974 2975 2976 ··· 31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