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10

버드나무에 이파리 돋듯, 사랑은 그리 솟아나는 법 Down By the Salley Gardens BY WILLIAM BUTLER YEATS Down by the salley gardens my love and I did meet;She passed the salley gardens with little snow-white feet.She bid me take love easy, as the leaves grow on the tree;But I, being young and foolish, with her would not agree.In a field by the river my love and I did stand,And on my leaning shoulder she laid her snow-white hand.She bid me take life.. 2018. 12. 8.
자빠진 불상을 세우니... 경주 남산 열암곡 접싯물 코 박으신 부처님 현재 상태에 가까운 모습으로 앞 사진이 현 상태에 가깝다. 왜냐면 이 마애불은 아마도 그 뒤편 언덕배기에 고추 섰다가 최근 연구성과에 의하면, 아마도 경주 일대를 덮친 강진 영향에 앞으로 자빠지셔서 지금은 엎어진 상태다. 부처님 체면에 영 말이 아니거니와, 뭐 부처가 반드시 가부좌하란 법 있는가? 곧추 서란 법 있는가? 천의무봉, 변화무쌍 부처님이니깐 그렇다고 해 둔다. 앞 사진은 문화재 전문작가 오세윤 선생이 조명장치를 해서 찍은 것이다. 발견 신고 직후 경주문화재연구소 요청으로 현장에 출동한 오 작가 촬영 사진은 문화재청을 통해 언론으로 다량으로 배포되었거니와, 오 작가는 이 엎어진 사진 말고도, 이를 세운 사진을 제공하기도 했으니 그 사진이 바로 다음이다... 2018. 12. 8.
눈이 내리니 술 생각 간절하고 한시, 계절의 노래(221) 유십구에게 묻다(問劉十九) [唐] 백거이 / 김영문 選譯評 새로 빚은 술거품은초록빛 개미 조그만 화로는붉은빛 진흙 저녁 되어 흰 눈이내리려는데 더불어 술 한 잔마실 수 있소 綠蟻新醅酒, 紅泥小火爐. 晚來天欲雪, 能飮一杯無. 나는 술을 귀로 가장 먼저 느꼈다. 어릴 때 시골집에선 농주(農酒)나 제주(祭酒)로 쓰기 위해 흔히 술을 담갔다. 안방 아랫목 따뜻한 곳에 술 단지를 묻어두면 며칠 후 뽀글뽀글 술 괴는 소리가 들렸다. 귀로 술을 느낀 후에는 코로 술 향기가 전해져 왔다. 막걸리 특유의 은은한 냄새가 온 방을 가득 채웠다. 아부지께서는 술을 거를 때까지 며칠을 참지 못하시고 작은 바가지로 자주 단지 속 술을 떠서 드시곤 했다. 술이 괼 때 술 단지 속을 들여다보면 작은 거품.. 2018. 12. 7.
The Sun Rising over Mt. Namhansan 해는 다시 떠오른다 했던가? 아님 무기야 잘 있거레이 했다든가? 암튼 또 떴다. 지겹게 뜬다. 이젠 시마이할 때도 됐는데 또 뜬다. 2018. 12. 7.
당나라 도자기 잔뜩 싣고는 자바섬 인근에서 침몰한 아라비아 무역선 An Arabian trading ship that sank near the Java island carrying a bunch of Tang dynasty- Special exhibition by March 17 at the National Marine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Institute located at Mokpo, Korea 唐陶器束載せはジャワ島の近くで沈没したアラビアの貿易船- 3月17日までに木浦所在国立海洋文化財研究所で特別展 남중국해(South China Sea)와 자바해(Java Sea) 사이 경계 해역에 위치하는 벨리퉁 섬(Belitung Island). 말레이반도와 수마트라 섬, 보루네오 섬, 그리고 자바섬이 사방을 에워싼 해역 중앙을 차지한다. 탄중판단(Ta.. 2018. 12. 6.
겨울비 한시, 계절의 노래(220) 찬 비[寒雨] [宋] 범성대(范成大) / 김영문 選譯評 무슨 일로 겨울날비가 창을 때리는가 밤에는 두둑두둑새벽에는 주룩주룩 만약에 하늘 가득흰 눈으로 변한다면 외로운 뜸배 타고저녁 강에 낚시 하리 何事冬來雨打窗, 夜聲滴滴曉聲淙. 若爲化作漫天雪, 徑上孤篷釣晚江. 이 시가 당나라 유종원(柳宗元)의 「강설(江雪)」을 모티브로 삼고 있음은 마지막 구절을 보면 알 수 있다. 유종원의 「강설」 마지막 구절이 바로 “혼자서 추운 강의 눈을 낚는다(獨釣寒江雪)”이다. 대자연과 마주한 인간의 절대 고독을 극적으로 그려냈다. 추운 강의 낚시질은 조옹(釣翁)의 선택에 의한 의도적 행위이므로 주체적으로 고독과 마주선 인간의 경건함과 신성함마저 느껴진다. 이후 이 시의 ‘독조한강(獨釣寒江)’ 또는 .. 2018.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