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9180

부관참시는 이젠 그만, 고급져야 할 광복 80년 식민잔재 청산의 죄악1. 쇠말뚝 소동 2. 벗나무/금송 뿌리뽑기 3. 남대문 동대문 명칭 없애기 4. 천황봉 말살하기 5. 義旺에서 義王으로 6. 仁旺山 블루스(2013. 4. 1)7. 송진 강탈 신화 (추가)  저 난동들이 식민유산과 아무런 상관이 없다 그리 떠들어도 때만 되면 오뚝이처럼 부활해서 준동하곤 한다. 저에서 자유로워졌는가? 올해 광복 80주년이라 해서 또 다시 저 혹은 저 비스무리한 유령들이 다시 소환되어 춤을 추게 될지도 모르겠다. 좀 고급진 그런 광복 몇 주년이었으면 싶다. 한풀이 하듯이 응어리 풀듯이 없는 유령 있다고 끄집어 내어 부관참시할 것이 아니라 오늘을 반추하며 내일을 내다 보는 그런 자리들 말이다. 언제까지 없던 태극기 내어 꺼내들고 만세삼창을 해야 하겠는가? 광복절에 태극기.. 2025. 4. 1.
연구소식: 일본의 매독과 東海道中膝栗毛 아래 글은 2022년에 이 블로그에 포스팅한 필자 연구 비망기였던 바, 현재 이 내용을 논문화하여 올해 일본 학술지에 싣기 위한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논문은 일본어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지라 일본어로 쓰고 있다. 조만간 출판될 것 같아 미리 다시 주의를 환기 해 둔다 (신동훈 識) ***************** 매독은 1492년, 신대륙발견과 함께 구대륙으로 전파된 이후 아주 짧은 시간에 전세계를 휩쓸었는데 동아시아에서는 중국과 일본이 비교적 일찍 전파되었고 한국은 상대적으로 이보다 느리다. 전 세계를 누비던 세계무역의 확대와 매독의 전파는 동전의 양면과 같은 것이었기 때문에 개항이 상대적으로 늦은 조선이 매독에 상대적으로 늦게 노출된 것은 그런 의미가 크다. 흥미로운 것은 인류학적 연구에 의해 .. 2025. 4. 1.
[마왕퇴와 그 이웃-74] 귀부인에게 있었던 결핵의 흔적 1호묘 귀부인에게는 결핵 흔적이 있었다. 사실 결핵은 인류와 함께 아주 오래된 질병으로 아직도 전 세계에 결핵으로 많은 사람이 죽는다. 이 때문에 옛날 질병을 연구하는 고병리학자들 사이에 결핵은 반드시 규명되어야 하는 질병의 하나이고 많은 연구자가 결핵의 기원 구명에 매달려 있다. 사람 결핵은 사실 그 시작이 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소에도 결핵이 있고 사람 결핵의 사촌쯤 되는 녀석이다. 일반적으로 소의 사육이 시작되면서 소 결핵이 사람으로 넘어 왔다고 보는 시각이 일반적이었는데이것도 최근 유전학적 연구 발달로 이설이 많다.사람한테서 되려 소로 넘어갔다고 하는 주장도 봤고, 소 결핵과 사람 결핵 사이의 공통 조상이 있다는 주장도 있었다. 어느 쪽이 옳건 간에 어쨌건 결핵은 20세기 초반 동아시아에 아.. 2025. 4. 1.
[마왕퇴와 그 이웃-73] 참외씨가 발견되다 마왕퇴 1호묘의 귀부인에서는 참외씨가 발견되었다.참외씨가 발견된 곳은 식도, 위, 대장, 소장 등지에서 총 138개 정도가 확인된 모양인데, 이 "참외" 씨가 나온 곳이 대장에까지 미치고 있던 것을 보면 돌아가시기 전 한 번만 드신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 나누어 섭취했을 가능성이 있다. 위에서 확인된 것은 그렇다 쳐도 대장에서 확인된 것은이미 섭취한지 상당 시간이 지난 것으로 위에서 확인된 참외씨와는 다른 시점에 드셨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각설하고,이 "참외씨"는 마왕퇴 보고서 등을 보면 甜瓜라고 되어 있는데 사실 이것을 참외라고 번역하는 것이 정확한지는 알 수 없다. 사실 지금 동아시아에서 "참외"는 한국이 가장 많이 먹는다. "참외"와 "멜론"은 학명이 Cucumis melo로 동일하여 같은 종.. 2025. 4. 1.
카메라 부작용이 포착한 첨성대 야경 요새 폰 카메라에는 이런 현상이 거의 보정됐다고 안다. 초창기 혹은 그 이후까지 갤럭시 계열 폰 카메라 야간 촬영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폰 기능이 향상하면서 저와 같은 부작용? 도 만힝 개선되어 이제는 저런 일이 거의 없을지 모르겠다. 2013년 4월 1일 경주에 있을 적에 갤럭시로 촬영한 것이라 야릇한 현상이라 외려 저 기능을 활용하는 시대로 가지 않을까 한다. 혹 저런 기능을 살릴 수 있다면 말이다. 사진이 실사實寫를 대표하는 시대는 갔다. 뽀샵이라는 이름으로 하도 꼬아 대고 화장칠 짙게 하기 때문이다. 하긴 눈을, 카메라를 어찌 믿는단 말인가? 2025. 4. 1.
여자란? 외출할 때면 항상 입을 옷이 없는 사람이다.By 울 동네 미장원 사장님 2025. 4.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