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위 사진은 필자의 글에 김단장께서 붙여준 사진이다. 
여기서 간단한 의문이 있다. 
밥을 어떻게 담아 어떻게 먹었을까? 
일단 젓가락만 놓여 있는데, 
필자가 아는 한 중국에서는 한국처럼 원래 수저가 다 있다가 숟가락이 탈락한 것으로 안다. 
저 위에 밥상을 세팅한 이는 현대 중국인의 밥먹는 방식에 따라 저렇게 놓지 않았을까. 
과연 숟가락이 없었을까. 
 

 
또 한 가지-. 
밥을 주식인 곡물에 반찬을 곁들여 먹는 한국식 밥상 비스무리하게 차려 먹었을까. 
밥상을 저렇게 차리면 비슷한 모양 다섯 개 칠기 그릇에는 요리가 각각 담겨 있었을까. 
제일 왼쪽의 그릇 두 개가 하나는 국그릇, 다른 하나는 밥그릇일까? 
모르는 것투성이이다. 
 

반응형
    
    
    
  '미라 이야기 > 마왕퇴와 그 이웃'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마왕퇴와 그 이웃-40] 1호묘의 동물뼈 (1) | 2025.03.09 | 
|---|---|
| [마왕퇴와 그 이웃-39] 그릇이 식사법을 말한다 (1) | 2025.03.09 | 
| [마왕퇴와 그 이웃-37] 관을 가득 채운 의문의 액체 (0) | 2025.03.08 | 
| [마왕퇴와 그 이웃- 36]: 마왕퇴 미라가 드신 음식들 (1) | 2025.03.08 | 
| [마왕퇴와 그 이웃-35] 청동기시대의 비단옷 (0) | 2025.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