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예상대로 버벅버벅인 발해 묘지명 [2] 버벅댈 이유가 눈꼽 만큼도 없는 진릉珍陵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9. 6.
반응형
이 공동묘지 자체가 진릉이다. m11이 문왕비, m3이 간왕비 무덤이다. m1은 기존에 조사되어 보고된 정효공주 묘다.

 
그렇다면 그제(5일) 동북아역사재단이 주최한 '용두산龍頭山 발해 왕실묘지: 1997, 2004-2005, 2008년 발굴보고' 분석 보고회에서 진릉珍陵 문제는 어떻게 보았는가?

이 역시 예상대로 개발소발 께부작사부작 핵심도 짚지 못했으니 간단히 결론만 말하면 갸우뚱!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거니와 이 대목 연합뉴스 보도는 다음과 같다. 


발굴 조사 이후 20여 년이 지나 보고서가 공개됐으나,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도 있다. 효의황후 묘지에 적힌 '진릉대'(珍陵臺)가 대표적이다. 

묘지에는 '그해 겨울 10월 24일 갑신에 진릉대에 천장(遷葬·무덤을 다른 곳으로 옮김)'했다는 문구(其年冬十月卄四日甲申, 遷葬於珍陵台禮也)가 남아있다. 

권 선임연구원은 "기존에는 '진릉'을 고왕 즉, 대조영(재위 698∼719) 또는 무왕(재위 719∼737)의 능으로 추정했는데 최근 중국 학계에서는 지명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당대 문자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기에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진릉대와 진릉이 어떤 뜻으로 쓰였을지를 놓고 다양한 해석이 나올 수 있다. 아직 1차 판독만 이뤄진 만큼 추가 연구를 통해 일부 글자를 새롭게 읽을 수도 있다. 
 

M3 간왕비 무덤

 
무슨 얼어죽을 검토가 필요하단 말인가?

중국 애들이 모르니깐 우리도 모른다?

중국애들이 갸우뚱 했다고 우리도 맞장구쳐서 갸우뚱하고 말았으니 너무나 싱거운 저런 사항 하나 핵심을 짚지 못하고서 무슨 동북공정에 대항한단 말인가?

간단하다. 발해 제3대 문왕文王비 효의황후가 죽어서 나중에 최종으로 자기 무덤 집으로 안치된 진릉珍陵은 발해 왕가 공동묘지 이름이다. 

전체 공동묘지를 진릉이라 불렀을 뿐이며, 그래서 그가 묻힌 곳이 저 공동묘지라는 뜻이다. 

누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죽어 동작동 국립묘지에 묻혔다고 할 때 그 동작동 국립묘지와 같은 개념이 바로 진릉이다. 

그렇다면 그가 구체적으로 묻힌 곳이 진릉대珍陵臺라 함은 무슨 뜻인가?

전체 발해 왕가 공동묘지 중에서도 진릉의 대臺에 해당하는 지점이라는 뜻이다. 

누가 죽어 동작동 국립묘지에 갔다 치자.

그 넓은 공동묘지 어느 지점인지 밝히고 싶은 욕망이 있지 않겠는가?

예컨대 그 묘지 동쪽이라든가 서쪽이라든가 중앙이라든가 하는 그런 지점 말이다. 

진릉대珍陵臺는 진릉지대珍陵之臺다.

곧 진릉이라는 전체 공동묘지 중에서도 臺에 해당하는 지점이라는 뜻이다. 

이 경우 臺가 어떤 의미인지를 파야 하는데 이것이 문제로 대두한다. 

저 對라는 글자는 어떤 건축물, 혹은 구역 중 어떤 지점을 의미함이 분명하다. 

참고 삼아 강희자전 풀이를 빌려온다. 


〔古文〕㙵【廣韻】徒哀切【集韻】【韻會】【正韻】堂來切,音苔。【說文】觀四方而高者。【釋名】臺,持也。築土堅高,能自勝持也。【爾雅·釋宮】闍謂之臺。【註】積土四方也。【禮·月令】仲夏之月,可以處臺榭。【疏】積土爲之,所以觀望。【五經要義】天子三臺,靈臺以觀天文,時臺以觀四時,圃臺以觀鳥獸。

又【古今注】城門皆築土爲之。累土曰臺,故亦謂之臺門。

又官名。【正字通】袁紹傳,三臺註:漢官尚書爲中臺,御史爲憲臺,謁者爲外臺。

又漢百官表註:禮樂官知禮容,故禮部稱容臺。

又王彥威爲曲臺新禮三十卷:故太常稱曲臺。

又漢秘書監曰芸臺,唐改祕書爲麟臺,唐百官志門下省曰鸞臺,宋銀臺司掌受天下奏狀。

又【博雅】臺,支也。

又賤者之稱。【左傳·昭七年】僕臣臺。【註】皁輿,隷僕之至者也。【孟子】蓋自是臺無饋也。【註】臺,賤官,主使令者。

又【輟耕錄】婢役于婢者,謂之重臺。【蘇軾·梅花詩】天敎桃李作輿臺。

又【博雅】臺,輩也。

又【揚子·方言】臺,敵延也。東齊海岱之閒曰臺,自關而西秦晉之閒,物力同者謂之臺敵。

又【莊子·庚桑楚】不可內於靈臺。【註】靈臺者,心也。

又姓。漢侍中臺佟。

又澹臺,複姓。

又【字彙補】古謂陵墓爲臺,如鄴都之三臺,山海經帝堯臺,帝嚳臺是也。

又咍臺,卽臺之聲也。【世說】許噪於丞相帳,咍臺大鼾。【通雅】咍臺,晉人常語也。

又山名。【輿地志】五臺山,在雁門郡。【山海經】鹿臺之山。【註】今名麓臺山。【淮南子·地形訓】濟出王屋,時泗沂出臺台術。【註】時泗沂,皆水名。臺台術,皆山名。【抱朴子·登陟卷】昔張蓋蹹及偶高成,二人竝精思於雲臺山石室中。

又神名。【左傳·昭元年】昔金天氏有裔子,曰昧,爲冥師,生允格臺駘。臺駘,汾神也。【山海經】休與之山,其上有石焉,名曰帝臺之棋。【註】郭曰:帝臺,神人名。

又漸臺,星名也。

又宮殿名。【鄒陽·上吳王書】秦倚曲臺之宮,懸衡天下。【三輔黃圖】未央有曲臺殿。

又草名。【爾雅·釋草】艾,冰臺。【疏】艾,一名冰臺,卽今艾蒿也。【詩·小雅】南山有臺。【傳】臺,夫須也。【疏】夫須,莎草也,可爲簑笠。【又】彼都人士,臺笠緇撮。【傳】臺,所以禦暑。笠,所以禦雨也。【箋】臺,夫須也。都人之士,以臺皮爲笠。

又【字彙】洪孤切,音乎。臺駘,邾地名。【禮·檀弓】敗于臺駘。【註】臺音壷,駘音臺。臺當爲壷字之譌。一作壷駘,或作狐駘。【正字通】臺有壷音,非臺與壷同。字彙以臺爲古壷字,誤也。

又【字彙補】左傳,臺駘。歷考註疏,無狐音。字彙不知何據而云:亦誤也。

又【韻補】叶田黎切,音題。【參同契】皓若搴帷帳,瞑目登高臺,火記六百篇,所趣等不迷。

又叶同都切,音徒。【易林】典冊法書,藏在蘭臺。
 
저런 풀이들 중 위치를 말할 만한 풀이는 요컨대 

【설문說文】이 말하는 "觀四方而高者" 딱 이거다.

나머지는 다 이에서 파생한 풀이다.

결국 주변보다 높은 지점으로, 사방을 조망할 만한 곳이라는 뜻이다.

다음으로 참고할 만한 풀이가
又【博雅】臺,支也。又賤者之稱。【左傳·昭七年】僕臣臺。【註】皁輿,隷僕之至者也。【孟子】蓋自是臺無饋也。【註】臺,賤官,主使令者。又【輟耕錄】婢役于婢者,謂之重臺。【蘇軾·梅花詩】天敎桃李作輿臺。又【博雅】臺,輩也。

이니, 이를 따른다면 중심 주변에 포진하는 어떤 지점이다. 

다음으로 고려할 만한 풀이가

又【字彙補】古謂陵墓爲臺,如鄴都之三臺,山海經帝堯臺,帝嚳臺是也。又咍臺,卽臺之聲也。【世說】許噪於丞相帳,咍臺大鼾。【通雅】咍臺,晉人常語也。

이것이라, 이에 의한다면 능묘, 곧 무덤 자체를 臺라 했다는 뜻이다. 

이에 의한다면 진릉대珍陵臺는 1. 진릉이라는 공동 묘지 구역 중에서도 가장 높아 사방을 조망하는 곳 이거나 2. 그런 중심 구역에 딸린 구역이거나 3. 진릉이라는 능묘 구역 이 세 가지 중 하다. 

이 중에서 어느 것이 타당할지는 현지 답사를 비롯하고 그간 이 공동묘지 발간사정 등을 종합 고려한 다음에 판단을 내리면 된다. 

앞에 첨부한 공동묘지 분포도 보자!
m11로 표시된 문왕비 효의황후 무덤이 있는 곳 특징을 보자!

뭔가? 

전체 묘지 구역 중에서도 유난히 편편한 대지臺地 아닌가 말이다. 

따라서 내가 현장을 보지 않았지만 저 지도만으로도 진릉대珍陵臺는 볼짝 없다.

진릉 공동묘지 구역 중에서도 편편하고 그러면서도 사방을 조망하는 넓은 대지!

이 뜻에 지나지 않는다. 

진릉珍陵이 왕가 공동묘지을 지칭하는 이름임은 앞서 내가 계속 말했거니와, 다만 이 진릉이 애초에 처음 생길 때는 특정한 왕의 능묘였을 수는 있다.

그러다가 훗날 계속 그 주변으로 무덤이 등장하게 됨에 따라 공동묘지 이름으로 확장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어떤 경우에도 우리가 보는 그 진릉은 공동묘지 이름, 곧 대묘大墓 이름임은 하늘이 두 쪽 나도 변할 수 없다!

이 시스템을 알아야 한다. 
 

예상대로 버벅버벅인 발해 묘지명 [1] 왕비족의 경우
https://historylibrary.net/entry/5-58

예상대로 버벅버벅인 발해 묘지명 [1] 왕비족의 경우

발해 황후 묘지에 새긴 '동국'…"'당 지방정권' 주장 맞지 않아" 송고 2025-09-05 17:42 김예나기자 동북아역사재단, 20여년 만에 발간된 효의·순목황후 묘지 분석 울씨 등 새로운 성씨 확인…문왕 가

historylibrary.net

 

발해 문왕文王비 효의황후孝懿皇后 묘지 석문
https://historylibrary.net/entry/3-171

발해 문왕文王비 효의황후孝懿皇后 묘지 석문

중국쪽에서 최근 공개했다는 발해 왕릉 묘군 출토 묘지 석 점 중 제3대 문왕文王비 효의황후孝懿皇后 묘지 석문이 아래와 같댄다.지인을 통해 얻었는데 혹 결례가 될까봐 제공자 신원은 공개하

historylibrary.net

 

중국이 마침내 공개한 용두산 발해 왕실 묘지 발굴 성과
https://historylibrary.net/entry/5-43

중국이 마침내 공개한 용두산 발해 왕실 묘지 발굴 성과

문왕비 효의황후·간왕비 순목황후 묘지명 공개 新书推荐|《龙头山渤海王室墓地:1997、2004-2005、2008年发掘报告》龙头山渤海王室墓地:1997、2004-2005、2008年发掘报告 (용두산 발해 왕실 묘지 : 19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