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중국인은 집고양이 이전부터 '닭 잡는 호랑이'와 함께 살았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1. 29.
반응형

표범살쾡이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는 실크로드 상인들과 함께 고양이가 들어오기 전 수천 년 동안 중국에서 사람들과 함께 살았다. (사진 제공: Rapeepong Puttakumwong/Getty Images)


 고대 중국에서는 집고양이가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에서 건너오기 3,500년 전부터 표범살쾡이Leopard cats와 함께 살았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집고양이가 등장하기 3,500년 전부터 고대 중국의 정착지에서 사람들이 표범살쾡이와 함께 살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는 1,400년 전 실크로드를 따라 집고양이가 상인들과 함께 건너오기 수천 년 전부터 이 지역 사람들이 표범살쾡이와 지속적이고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지금은 [표범고양이]가 우리의 숨은 이웃이지만, 수천 년 전에는 사람과 더 가까운 관계를 맺고 살았습니다."

중국 베이징대학교 생명과학부 수석 연구원이자 연구 공동 저자인 슈진 루오Shu-Jin Luo가 Live Science에 말했다.

이 연구는 목요일(11월 27일) 저널 셀 유전체학Cell Genomics에 게재되었다.

아프리카 살쾡이African wildcats (Felis lybica) 후손인 현대 집고양이Modern domestic cats (Felis catus)는 인간과 함께 사는 데 매우 성공적으로 적응해 남극 대륙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언제 어디서 처음으로 길들여졌는지는 불확실하며, 연구자들은 이전에 9,500년 전 레반트, 약 3,500년 전 이집트에서 길들여졌다고 추정했다.

주요 가설 중 하나는 약 2,500년 전 신석기 시대 농부들과 함께 유럽으로 전파된 후, 실크로드를 따라 유라시아를 거쳐 중국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2013년에 그보다 수천 년 전인 기원전 3300년경에 중국 서부에서 고양이가 인간과 함께 살았다는 증거가 발견되면서 그러한 생각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2022년, 중국 고대 고양이들은 집고양이가 아니라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동아시아에 서식하는 소형 야생 고양이인 표범살쾡이leopard cats (Prionailurus bengalensis)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결과는 모든 것을 명확히 밝히기는커녕, 더 많은 의문을 불러일으켰다.

표범살쾡이가 인간과 얼마나 오랫동안 함께 살았는지, 집고양이가 언제 어떻게 중국에 도착했는지, 그리고 집고양이가 중국에 도착했을 때 자신들이 유일한 고양이과 동물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등이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기 위해,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진은 중국 전역 14곳 고고학 유적에서 발굴한 기원전 3500년부터 서기 1800년까지의 고대 고양이과 동물 뼈 22개 샘플에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과 핵 및 미토콘드리아 유전체의 DNA 염기서열 분석을 사용했다.

이후 연구진은 이 결과를 이전에 발표된 전 세계 고대 및 현대 고양이 유전체와 비교했다.

22마리 중 14마리는 서기 730년에서 1800년 사이로 추정되는 집고양이였다.

가장 오래된 집고양이는 중국 서부 실크로드 주요 거점인 통완시Tongwan City에서 출토되었다.

이전 연구에서는 실크로드 서쪽 카자흐스탄에서 서기 775년에서 940년 사이로 추정되는 또 다른 집고양이가 발견되었다.

중국에서 집고양이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서기 820년과 830년경 중국 중부의 두 무덤에 그린 그림이며, 비슷한 시기에 황후가 대신들에게 애완 고양이를 선물했다는 기록도 있다.

이 기록들은 집고양이가 비교적 최근인 서기 700년 경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에 들어왔으며, 최근에 도입된 것으로 이국적인 애완동물로 여겨져 고대 중국 귀족들 사이에서 길러졌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루오는 라이브 사이언스Live Science에 말했다.

그녀는 고양이가 종종 흰색이었는데, 이는 동물에게 신성한 색으로 여겨졌다고 말했다.

이전 유물들은 모두 약 5,400년 전부터 서기 150년경까지의 표범살쾡이의 것이다.

토마스 알롬Thomas Allom이 그린 고양이 상인과 차 상인 그림 (이미지 출처: © Historical Picture Archive/CORBIS/Corbis via Getty Images 제공)


연구원들이 고양이들을 연구하면서 인간과 표범살쾡이 사이의 긴밀한 관계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3,500년 이상 지속된 공통된 역사라는 것을 깨달았다고 루오는 말했다.

그녀는 고대 중국의 표범살쾡이가 한때 집고양이와 비슷한 지위를 차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마을과 들판에서 작은 설치류를 잡아먹으며 인간과 공생 관계를 맺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루오는 "고대에는 사람들이 새끼를 키우면서 설치류를 잡으려고 했을 것 같다. 완전히 가축화한 적은 없지만, 오늘날의 표범살쾡이보다는 확실히 더 친밀한 관계였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센터(CNRS) 자크 모노 연구소Jacques Monod Institute 고유전학자 에바-마리아 가이글Eva-Maria Geigl은 라이브 사이언스에 이 연구 결과가 지중해 연안 고양이의 가축화 과정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그녀는 라이브 사이언스에 "인간의 지위를 활용한 공생 관계이며, 설치류와 독이 있는 동물과 싸워야 한 신석기 농부들에게 매우 환영받았다"고 말했다.

"그런 고양이들은 지금 우리가 보는 것처럼 가축화하지 않았습니다. 마치 소파 감자couch potatoes처럼 말이죠. 그들은 여전히 진짜 야생 고양이였습니다."

루오는 기원전 5세기에서 기원전 3세기 사이에 중국에서 수집된 기록들이 이러한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한다고 말하며, 사람들이 해충 방제를 위해 농장에 야생 고양이를 반겼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덧붙였다.

이는 표범살쾡이가 인간과 약 3,500년 동안 관계를 유지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그녀는 말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는 결국 끝났고, 마지막으로 발견된 표범살쾡이와 중국에 집고양이가 최초로 출현한 시기 사이에는 거의 600년 차이가 있다.

뤄는 이러한 고양이의 부재가 한나라 멸망 후 당나라가 등장하기 전인 남북조 분열기Period of Division (서기 220년~589년)와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 시기는 전쟁과 춥고 건조한 기후로 인해 농작물 수확량이 감소하고 사회적 불안이 조성되었으며 개체 수가 감소하는 시기였다.

로마 제국 멸망 후 유럽의 검은쥐black rats (Rattus rattus)에서도 유사한 일시적인 개체 수 감소가 관찰되었다.

뤄는 이는 표범살쾡이가 사냥터를 잃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서기 618년 당나라가 건국되고 농업과 인구가 회복되자, 닭 사육이 증가하면서 표범살쾡이는 더 이상 환영받지 못했다.

그녀는 표범살쾡이가 닭을 죽인다는 나쁜 평판을 여전히 지녔기에, 환영받지 못하는 동물이 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루오는 중국 남부 지역에서 표범살쾡이가 "닭을 죽이는 호랑이chicken-killing tiger"라는 별명을 얻었다고 말했다.

집고양이는 귀엽고 길들여져 있으며, 닭이 아닌 쥐나 들쥐 같은 작은 먹이를 잡기 때문에 그 자리를 차지했다고 루오는 주장했다.

게이글은 집고양이가 널리 받아들여지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기원전 1천 년경 이집트에서 일어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시 사람들은 사원에서 고양이를 키우고 여러 마리 고양이를 함께 키우다가 유전자 돌연변이로 행동 변화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그녀는 "이것은 고양이에게 정상적인 행동이 아니다. 고양이는 영역을 중시하는 단독 동물로, 이집트인들의 행동과는 정반대다"고 지적했다.
 
손바닥 크기 고양이 종 30만년 전 화석 발굴
https://historylibrary.net/entry/3-125

 

손바닥 크기 고양이 종 30만년 전 화석 발굴

이는 지난 1월 공개된 소식이라 이르기를, 현재까지 알려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손바닥만한 고양이 종이 30만 년 전 중국에 서식했음이 드러났다고 한다. 중국 과학자들이 30만 년 전으로 거슬러

historylibrary.net

 
 
애완 고양이 중국 유입은 겨우 1,400년 전!
https://historylibrary.net/entry/7-7

 

애완 고양이 중국 유입은 겨우 1,400년 전!

DNA 연구로 밝혀내, 실크로드를 통해 도착집고양이가 언제 어떻게 중국에 도착했는지는 미스터리였다.하지만 새로운 고양이 DNA 분석 결과, 1,400년 전 실크로드를 통해 무역상과 외교관들이 이 고

historylibrary.net

 
 
집고양이 등장은 아주 최근의 일!
https://historylibrary.net/entry/3-124

 

집고양이 등장은 아주 최근의 일!

북아프리카에서 시작, 애초엔 식용, 모피, 또는 의례용 야생 살쾡이 고양이는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늦게 집고양이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그보다 더 이른 시기에는 식용으로 쓰이거나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