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늑대는 스낵을 매우 좋아해서 스스로 개가 되었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11. 27.
반응형
늑대는 스스로 길들여져 개가 되었을까? (이미지 출처: martinagebarovska via Getty Images)


올초 지난 2월에 타전된 소식이라, 늑대로부터 개가 어떻게 길들여졌는지에 대한 여러 이론이 경쟁하는 가운데 이제 새로운 연구는 개가 스스로 길들여졌다고 한다. 사람이 시켜서가 아니라 제발로 기어들어왔다고! 

과학자들은 늑대가 어떻게 초기 개로 길들여졌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늑대는 사람과 공존하기를 선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었기 때문에 스스로 길들여졌을 가능성이 있다 한다.

그리고 간식을 좋아하는 개들은 같은 간식을 좋아하는 짝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이론은 새롭지는 않지만 새로운 연구는 늑대가 자연선택을 통해 스스로 개로 길들여졌을 가능성이 통계적으로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고학적, 유전적 증거에 따르면 개(Canis familiaris)는 회색 늑대gray wolves (Canis lupus)의 후손이며, 두 역사적 시기에 걸쳐 길들여졌다고 한다.

첫 번째 시기는 약 3만 년에서 1만 5천 년 전으로, 야생 늑대가 초기 개로 길들여졌고, 두 번째 시기는 약 1만 5천 년 전부터 현대에 이르러 이 개들이 여러 품종으로 분화한 시기다.

2월 12일 영국 왕립학회지 B[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에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가축화 시기는 서로 다른 진화적 요인에 의해 주도되었다고 한다.

두 번째 가축화 시기는 주로 인위적 선택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간주된다.

인간은 사냥과 교배를 위해 길들인 늑대를 더 많이 선택했고, 의도적으로 가장 야생성이 낮은 동물들을 교배시켜 결국 우리가 길들인 개로 알려진 종을 탄생시켰다.

그러나 첫 번째 가축화 시기를 주도한 선택 요인은 명확하지 않다.

한 가설에 따르면, 늑대는 "자가 길들여짐self-domestication"을 겪었다.

선사 시대 동물들이 음식물 쓰레기를 찾아 인간 거주지로 오기 시작한 후, 인간 근처에서 사는 것에 더 익숙해졌다.

이처럼 더 내성이 강한 늑대들은 야생에서 불규칙적인 공급원보다 안정적인 먹이 공급을 선호했고, 그 후손들이 최초의 가축화한 개를 낳았다.

고양이의 가축화에도 비슷한 과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구에 따르면 집고양이 조상들은 약 1만 년 전 농경 사회 근처에서 시간을 보낸 후, 먹이를 얻기 위해 설치류를 사냥하고 잡아먹는 상호 이익적인 관계를 맺게 되었다.

개 가축화 논쟁

과학자들은 오랫동안 개의 자가 길들임 가설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한 가지 비판은 자연 선택이 야생 늑대를 수천 년에 걸쳐 가축화할 만큼 빠르게 작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이 선택적으로 번식시켜 이 과정을 가속화하지 않는 한 말이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진은 개 가축화의 잠재적인 타임라인을 고려하고 컴퓨터화한 개에게 생활 방식과 배우자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통계 모델을 사용하여 시간 제약 문제를 해결했다.

이 모델은 1만 5천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자연 선택이 개 자가 길들임을 잠재적으로 촉진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자가 길들임이 가능하려면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했다.

늑대는 음식물 쓰레기를 먹기 위해 인간 근처에 머물러야 했고, 비슷한 기질을 지닌 배우자를 선택해야 했다.

버지니아 제임스 매디슨 대학교 수학자이자 통계학자인 연구 공동 저자 알렉스 카팔디Alex Capaldi는 라이브 사이언스에 "암컷이 배우자를 선택할 때, 자신과 비슷한 온순함을 가진 수컷도 선택해야 했다"고 말했다.

"그러므로 두 가지 과정이 모두 작용한다면 자가 길들이기 가설이 시간 제약 비판을 이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학자들은 이 모델이 늑대가 어떻게 가축화되었는지 정확히 보여주지는 않지만, 이 모델의 결과는 자가 가축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개는 가장 먼저 가축화한 동물이므로, 개의 진화 과정을 연구하면 과학자들이 다른 종에서 가축화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개 가축화 과정은 초기 인류 사회의 발전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개는 초기 인류 정착지에서 가축을 몰았고, 초기 인류와 함께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했다.

따라서 이 시기의 연대기를 이해하면 우리의 역사와 우리 자신이 개와 소통하고 유대감을 형성하도록 진화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핫도그 새우깡 좋아하다 스스로 인간의 개가 되기 선택했단 뜻이다.

한용운 표현 빌리면 난 복종이 좋아서다.
 
털 색깔로 딩고 잡종을 구별한다? 천만에
https://historylibrary.net/entry/colours-of-the-dingo

털 색깔로 딩고 잡종을 구별한다? 천만에

(2021년 2월 16일) 딩고의 모든 색깔: 노란 개뿐만이 아니다by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시드니 캠퍼스UNSW Sydney가 참여한 연구에 따르면, 딩고와 딩고-개

historylibrary.net

 
인간 쓰레기가 도시 거주 너구리의 가축화를 '촉발'한다
https://historylibrary.net/entry/raccoons

인간 쓰레기가 도시 거주 너구리의 가축화를 '촉발'한다

시골 너구리에 견주어 도시 너구리 주둥이가 짧아져 인간 근처에 사는 너구리는 시골 너구리보다 주둥이가 짧았는데, 이는 가축화 초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