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688

[독설고고학] 그렇게 파제끼고도 길게 잡아 지난 20년 짧게 잡아 지난 10년. 한국 고고학은 참말로 많은 현장을 파헤쳤다. 만평 이상 사업지구는 지표 조사 강제화라는 관련 법률에 따라 외국 고고학도라면 침 질질 흘릴 만한 대규모 유적을 수백 군데 수천 군데를 파헤쳤다. 타운 혹은 빌리지 하나를 통째로 파본 곳이 도대체 얼마인가? 무덤 천기 몰린 공동묘지로 야지리 까본 데가 도대체 몇 군 덴지를 모르겠다. 이 정도 파헤쳤으면 세계를 선도하는 고고학 이론 하나 나와주는 게 정상 아냐? 아직도 모자라? 더 파야대? (2016. 3. 22) 2024. 3. 22.
김해 대성동고분의 이른바 꽂이용 빗(1) 櫛? 簪? 김해 대성동박물관이 91호분과 함께 2014년 조사한 대성동고분군 88호분은 금관가야 최고 유력자급 인물이 묻힌 곳으로 판단하는 곳이다. 무엇보다 순장이 확인된 까닭이다. 이를 조사한 박물관에서는 무덤을 만든 시기를 91호분은 4세기 2/4분기, 88호분은 4세기 3/4분기로 설정했거니와 이렇게 슬라이스 짜르듯 연대가 확실한가는 치지도외한다. 다만 저를 존중하는 의미에서 대략 서기 350~400년 무렵 만든 것으로 추정한다 정도로 해둔다. 이 무렵이면 신라로서는 내물왕 시대에 해당하며 일본 열도는 고분시대라 해서 볼품없는 자들의 대표 증상, 곧 껍데기 크게 만들기에 돌입한 초창기에 해당한다. 이 무렵 금관가야 지배자급 무덤 양상을 보면 왜색이 대단히 짙은데 저들 무덤이라 해서 예외는 아니다. 그것이 꼭 .. 2024. 3. 22.
도판으로 보는 평성경 출토 성무천황聖武天皇 대상제大嘗祭 목간 성무천황聖武天皇 즉위 때의 대상제大嘗祭 목간 출토 성무천황聖武天皇 즉위 때의 대상제大嘗祭 목간 출토** 정리를 세심히 하지는 못했다. 차순철 선생 기별로 접한 소식이라, 고대 일본 나라 옛 왕경 평성궁적平城京跡에서 대상분大嘗分이라는 묵글씨가 적힌 목간이 발견됐다고. 나라분켄奈良文化historylibrary.net 평성경 출토 목간 출토 나분켄 보도자료 평성경 출토 목간 출토 나분켄 보도자료성무천황聖武天皇 즉위 때의 대상제大嘗祭 목간 출토 성무천황聖武天皇 즉위 때의 대상제大嘗祭 목간 출토 차순철 선생 기별로 접한 소식이라, 고대 일본 나라 옛 왕경 평성궁적平城京跡에서 historylibrary.net 평성궁적 목간 1천 점 출토 소식을 일본 나분켄이 공개했거니와 그것을 출토한 이른바 폐기 구덩이는 아래와 .. 2024. 3. 22.
평성경 출토 목간 출토 나분켄 보도자료 성무천황聖武天皇 즉위 때의 대상제大嘗祭 목간 출토 성무천황聖武天皇 즉위 때의 대상제大嘗祭 목간 출토 차순철 선생 기별로 접한 소식이라, 고대 일본 나라 옛 왕경 평성궁적平城京跡에서 대상분大嘗分이라는 묵글씨가 적힌 목간이 발견됐다고. 나라분켄奈良文化財研究所 조사에서 드러난 이 목간 historylibrary.net 平城京左京三条一坊二坪発掘調査出土木簡について 独立行政法人国立文化財機構 奈良文化財研究所 都城発掘調査部(平城地区) 調 査 地:奈良市二条大路南3丁目 調査期間:2023 年 10 月 3 日(火)~(継続中) 調査面積:約 1125 ㎡(東西 45m、南北 25m) 木簡出土遺構:大土坑 出土木簡点数:約 1000 点(うち削屑約 850 点)以上(3/18 現在・洗浄中) 共伴出土遺物:土器類・加工木片・植物種子類他(洗浄中) ━.. 2024. 3. 21.
성무천황聖武天皇 즉위 때의 대상제大嘗祭 목간 출토 ** 정리를 세심히 하지는 못했다. 차순철 선생 기별로 접한 소식이라, 고대 일본 나라 옛 왕경 평성궁적平城京跡에서 대상분大嘗分이라는 묵글씨가 적힌 목간이 발견됐다고. 나라분켄奈良文化財研究所 조사에서 드러난 이 목간은 궁중 제사 중 하나인 대상제大嘗祭를 지칭하는 대상大嘗이라는 글자가 적혔다는 점에서 주의를 끈다. 목간 작성 시점은 신구神亀 원년, 서기 724년이라는 문구도 있어 성무천황聖武天皇의 대상제에 즈음해 작성한 목간으로 추정된다. 이 글자가 들어간 목간은 각지에서 보낸 물자에 붙은 꼬리표인 이른바 하찰荷札로 간주된다. 대상제大嘗祭란 천황이 즉위후 처음으로 지내는 신상제新嘗祭로서 즉위한 해라든가 이듬해 11월에 오곡풍양五穀豊穣이라든가 국가안녕을 기원하는 의식이다. 천무천황天武天皇 시대에 제정되어 현.. 2024. 3. 21.
금척리고분을 왜 파고 어찌 파며 그 과정과 이후는 어찌할 것인가 빠졌다 파는 일은 개돼지도 한다. 첫째 왜 파는지를 밝혀야 한다. 저 발표진 그리고 제목만으로는 이 가장 중대한 문제를 답할 인재가 주제가 없다. 그냥 지들이 궁금해서 판다 딱 이거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학술적으로 밝혀? 그래서 그게 누구한테 도움이 된단 말인가? 몇놈 고고학 신라사로 먹고 사는 놈을 위한 발굴은 왜 한단 말인가? 금붙이 몇 개 찾아놓고 하는 쇼 이젠 그만해야 한다. 발표자 발표주제 그 어다서도 국민을 위해 시민을 위해 파야 한다는 논리적 근거를 댈 만한 데가 없다. 묻는다. 저걸 누굴 위해 파는가? 둘째 저 파는 행위 파고 나서 활용 어떤 도시개조 계획에 따라 어찌할 것인가가 빠졌다. 이 중차대한 문제를 최병현 선생이 대답하겠는가? 생평 땅만 파다 대학강단에만 있은 사람이 무슨 도시계획을 안.. 2024. 3. 21.
서로 알아가는 단계? 그럼 안 다음엔 류준열과 그의 여인들은? 연예인이나 스포츠스타 연애질 보도에서 흔히 보이는 표현이 서로 알아가는 단계라는 말이라 저 표현 누가 쓰기 시작해서 통속으로 굳어졌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래 우리 연애 중이라는 말과 동의어로 통용하거니와 그렇담 작금 한창 연애질 혹은 헤어진 결심으로 논란 중인 세 배우 유준열과 그의 두 협시보살, 쏘리 이보단 그를 둘러싼 두 여인 혜리랑 한소희던가? 이 친구들은 뭔가 묻게 되니 난 얼마전에 들은 환승연애라는 말을 저 친구들을 통해 실례로 그리 빨리 확인할 줄 몰랐다. 환승연애라 해서 난 양다리 걸치기로 알았고 그런 양다리가 드물지 않은 실정에서 굳이 유명 배우라 해서 꼭 저리 지탄받아 마땅한가 하는 의뭉이 있었건니와 저를 보면 양다리가 아니라 바꿔치기인 셈이거니와 사람이 우째 안 변하니 하는 말이 귓가에 쟁.. 2024. 3. 21.
파동은 시간과 공간을 넘는다, 불상 혹은 불교의 경우 고요한 수면에 돌 하나를 던지면 이런 식으로 파동이 진다. 그 진원에서 퍼져나가는 파도가 마지막 소멸하는 지점까지 시간이 걸린다. 그런 까닭에 저 파동은 공간을 넘고 시간을 박찬다. 미국 태평양 동부 연안에 지진이 나면 그 파고가 일본 열도까지 미치기도 하고, 호주까지도 간다. 가는 데 시간이 걸리지만, 그 시간을 뛰어넘으면서 공간을 가로질러 저 먼 지구 반대편까지 여행한다. 이 파고 무엇인지 생각해 봤는가? 그리스를 진원지로 삼고 인도를 거쳐 한반도 혹은 일본열도까지 미치는 이 파동 이것이 불교문화가 퍼져나간 길이다. 그 불교문화가 출발한 지점은 그리스 반도 마케도니아다. 그것이 인도를 치고 그에서 용솟음을 일으켜 그에서 배태한 새로운 불교는 중국대륙 혹은 바다를 거쳐 한반도를 치고 다시 일본열도로 기.. 2024. 3. 21.
국가유산기본법은 명칭 바꾼 것 말고 실질 변화는 전혀 없다! 내 아무리 살펴도 이것 말고는 없다. 따라서 이것이 현장에서 혼란이 빚어지는 이유는 딴 게 없다. 명칭과 분류 체계만 바꿨다고 하면 될 것을 문화재청이 더 욕심내서 문화재, 곧 그네들이 말하는 국가유산 근간이 바뀌는 것처럼 지난 1년간 이걸 준비하는 과정에서 호도하고 뻥을 쳤기 때문이다. 간단하다 이번 개정은. 문화재보호법을 이름만 국가유산기본법으로 바꾸는 그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에 따라 기존에 통용하는 '문화재'라는 말을 '국가유산'이라는 말로 바꾸었고, 나아가 그 세부로 들어가서는 1. 유형문화유산 2. 무형유산 3. 기념물 4. 중요민속문화재(이 분류도 최근에는 조금 변했다) 네 가지를 1. 문화유산 2. 자연유산 3. 무형유산 이 세 가지로 개편한 데 지나지 않는다. 딱 이거다. 난 이것 .. 2024. 3. 21.
시체 얼굴에 수은을 쏟아부은 고대 일본 무덤[2] 검劍과 경鏡 이런 신선을 시해선屍解仙이라 한다. 이런 측면이 고대 일본에서는 어떻게 구현하는가? 놀랍게도 저 칼이 세트를 이루어 출현했다. 무엇과 세트인가? 칼이 나왔으면 당연히 따라 나와야 하는 유물이 있다. 시체 얼굴에 수은을 쏟아부은 고대 일본 무덤[1] 검劍과 경鏡 시체 얼굴에 수은을 쏟아부은 고대 일본 무덤[1] 검劍과 경鏡 위선 이 소식을 접하기 전에 일본 고고학계에서 통용하는 특유한 용어를 알아둠이 좋다. 먼저 할죽형 목관割竹形木棺이란 말이 있다. 얼빠진 한국고고학도 중에서도 이 용어를 그대로 가져와 historylibrary.net 앞선 저 글 말미에서 나는 이와 같이 적었다. 작금 일본 고고학을 달구는 4세기 후반 무렵 고분시대 일본국 나라奈良 부웅환산고분富雄丸山古墳[도미오 마루야마 고훈] 발굴성과를.. 2024. 3. 21.
부웅환산고분富雄丸山古墳이란? [요약본] 나라시奈良市 서쪽 환산丸山 제1호 녹지緑地에 소재하는 4세기 무렵 고대 일본 유력자 대형 봉토분으로 공중에서 내려다 본 모습은 둥글다. 인근 택지개발로 주변은 많이 변했으나 환산丸山2·3호분이라는 다른 무덤과 함께 보존되었다. 명치시대에 매장주체부가 도굴되어 많은 유물이 나왔으며 다행히 수습되어 지금은 경도국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고 국중요문화재国重要文化財로도 지정되어 있다. 천리대학天理大学 부속 천리참고관天理参考館이 소장한 삼각연신수경三角縁神獣鏡 3면面 또한 이곳 출토품이라는 소문이 있다. 봉분에는 식륜埴輪, 곧 하니와를 매장한 양상이 확인된다. 무덤을 만든 시기는 구체로는 고분시대 전기 후반인 4세기 후반으로 생각된다. 소화昭和 47년에 분구 측량조사와 더불어 분정부墳頂部라 해서 봉분 꼭대기 부분 매장.. 2024. 3. 21.
코로나가 바꾼 새벽 학회 필자처럼 공부로 먹고 사는 사람들에게 있어 COVID-19이 일상을 바꾸어 놓은 것 중의 하나가 버추얼, 온라인 심포지움이 가능해진 것이다. 오늘 새벽 5시부터 미국에서 학회가 진행 중인데 필자와 경희대 홍종하 교수도 한 꼭지 발표를 했다. 사람과 동물의 고병리를 하나로 통합해서 보자는 심포지움으로 미국 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참가자가 나왔다. 그러다 보니 필자처럼 동아시아 참가자는 새벽 5시부터 미팅에 들어가야 했는데-. 요즘 나이가 들어 아침 잠이 없어 이런 새벽 미팅은 오히려 참가가 편하다. 젊은 시절이었으면 곤욕이었을 것이다. 세상이 참 좋아졌다. 비행기를 타지 않고도 이런 미팅이 가능해 졌으니-. 학회에서 필자에 대한 소개는 QR코드로 홈피 링크를 시켜 대신했다. 이런 점도 세상이 바뀐 사례이.. 2024. 3. 21.
해양박물관, 문체부·중앙박물관 욕심에 주도권은 해수부로 이젠 이 이야기도 기억하는 사람이 문화재청에도 없고, 문화체육관광부에도 없다. 그걸 기억할 만한 사람들은 이젠 모조리 현직에서는 사라졌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 해서 해양수산부로서도 불만이 없는가? 천만에. 해수부 쪽에서 적어도 저 업무, 곧 해양박물관과 관련해 문체부를 보는 시각은 싸늘하기 짝이 없다. 박물관 주무부처라는 이유로 사사건건 이런저런 규정 들이밀며 해수부가 추진하는 해양박물관 증설을 지체케 하거나 가로막는다 보기 때문이다. 무슨 타당성 심사니 사전평가니 해서 불만이 팽배하고, 그에 더불어 기존에 이미 들어선 부산 국립해양박물관 같은 데서는 3년마다인지 해야 하는 무슨 심사니 해서 돌아버린다는 아우성이 넘쳐난다. 각설하고 저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곧 왜 문체부 때문에 해양박물관 관련 사업이.. 2024. 3. 20.
이런 바오밥나무는 없었다, 신미식 사진전 전시에 초대합니다. 2006년에 처음 마다가스카르 여행을 시작으로 2024년까지 18년 동안 28번 이 나라를 탐닉했다. 사람들과 눈부시게 아름다운 풍광을 만났다. 누군가에게 들었던 수천 년 된 바오밥나무의 존재는 나에게 새로운 꿈이었고 도전이었다. 2023년 2월 13일 마다가스카르의 수도 타나에서 꼬박 5박 6일을 달려가서 비밀처럼 숨어있던 바오밥나무를 만났다. 바오밥나무를 만나고 1년이 넘는 동안 그 어디에도 이 사진들을 공개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큰사이즈로 프린트된 실물에 근접한 모습을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애초에 내가 원했던 실제 크기로 전시를 하지 못하지만 바오밥나무가 주는 당당함은 느낄 수 있을 만큼 준비했다. 내 마음속에 고이 간직한 이 소중한 꿈의 나무를 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눌.. 2024. 3. 20.
닥치고 꽃 심어, 그 위대한 보기 의성 금성산고분군 작약밭 조만간 봄이 초래할 경북 의성 금성산 고분군 풍광이다. 언제나 그렇게 말했듯이 경관 landscape은 자연히 주어진 그 무엇이 아니요 사람이, 인간이, 인위人爲가 가꾸는 것이다. 모란보다 작약이 더 찬란하지 아니한가?(2017. 3. 20) *** 유적 보존활용한답시며 씨잘데기 없는 용역 할 필요 없고 씨잘데기 없는 교수들 불러다가 학술대회 할 필요도 없다. 뭘 고민해? 닥치고 꽃 심어! 그 위대한 보기다. 실은 이걸로 대성공한 데가 경주 첨성대 주변이다. 뭘 고민해? 무슨 보존정비? 그냥 사시사철 꽃 심는 일 만큼 좋은 것 없다. 아참, 이런 포스팅을 보시고 작년 현장을 찾았더니 작약이 안 보이더라는 말씀이 있으셨다. 의성군에 직접 확인했다. 작약은 몇 년 지나면 다시 심어야 하는데, 그런 작약이 다.. 2024. 3. 20.
광개토왕비 3분지1 비면에 5천자 장편 서사시를 쓴 낭혜화상비 충청남도 보령시 성주면 성주사 터에 남은 이 비석은 주인공 행적을 적은 비신碑身을 중심으로 그 받침에 해당하는 거북 모양 비좌와 용을 새김한 이수에 이르기까지 사람으로 치면 몸통과 발, 얼굴 삼박자를 온전히 갖춘 것이라 전제 높이는 4.55m라지만, 이를 받침과 이수가 없는 광개토왕비에 견줄 때는 당연히 비신만을 적출해야 하니, 비신은 높이 263㎝, 너비 155㎝, 두께 43㎝라. 이 비면에다가 최치원이 쓴 낭혜화상 무염無染 행적을 물경 5천120글자에 달하는 장편 서사시로 써내려갔다. 광개토왕 고담덕 추념비와 비교하면 3분지 1 크기밖에 되지 않는데, 높이 6.3m에 달한다는 저짝에는 고작 1775자를 써내려갔지만, 장대한 책 한 권을 너끈히 적었다. 이 둘만 비교해도 저 고구려 웅혼 운운한 광개토왕.. 2024. 3. 20.
윤용현 박사를 억류 소환해 듣는 전통 야금冶金 기술 이야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물질문화연구팀(연구책임자: 장남원, 미술사학과 교수)에서는 오는 3월 29일 한국 전통 금속공예 복원 분야 권위자이신 윤용현 선생님을 모시고 포럼을 개최합니다. 한국의 전통 금속공예 재료와 기술에 대한 내용으로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환영합니다. ~~~~~~~~~~~~~~~~~~~~ * 제목: 전통공예의 재료가공 야금(冶金)기술 * 연사: 윤용현(국립중앙과학관) * 일시: 2024년 3월 29일 금요일 오후 2시 30분 *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학관 551호 #윤용현 2024. 3. 20.
국립인천해양박물관 대규모 공개채용 국립인천해양박물관 경력 및 신규직원을 모집합니다. 70명을 뽑을 예정입니다. 하반기에도 한번 더 채용이 있을 예정입니다만 숫자는 더 줄어들겁니다. 많은 관심바랍니다. 채용 홈페이지은 inmm.scout.co.kr 입니다. 2024. 3. 20.
6.3m 거대 돌덩이에 겨우 1775자만 달랑 새긴 광개토왕비 고구려 장수왕 고거련高巨璉이 그 아버지 광개토왕 고담덕高談德을 추념하고자 세운 이른바 광개토대왕비는 응회암 재질에 높이 약 6.39m에 너비는 1.35∼2.0m인 거대 돌덩이로 비좌는 물론이고 비수도 따로 없이 몸통만 이용해 글자를 새길 만한 데는 모조리 다 박아 넣었으니 저 큰 돌덩이에 불과 1775자밖에 새기지 못했으니 하도 무식하게 한 글자 한 글자 큼지막하게 박는 바람에 빚어진 참사였다. 그 문장을 조금만 세심히 읽어봐도 곳곳에 원본이 축약되었음을 알 수 있으니 이는 이 자리서는 본론에 벗어나므로 치지도외하고 천육백년이 지난 지금에는 그 덩치가 자랑스럽다 하며 이르기를 웅혼한 고구려 기상을 알려주는 위대한 유산이라 한다. 그런가? 어떤 얼빠진 놈이 저 큰 바윗덩이에다 천칠백자밖에 쓰지 못한단 말인.. 2024. 3. 20.
메이지정부가 와카야마현에 내린 조선 표류민 대우 법령 조선은 바다를 즐기지 않았다. 바다 밖에서 온 것들은 물리치기 일쑤였고, 바다 밖으로 나가는 것은 매우 두려워하였다. 사방이 바다인 제주의 경우, 거기서 나는 토산품은 꼬박꼬박 공물로 바치라 하면서 정작 거기 사는 사람이 배를 타고 나가는 일은 크게 경계하였다. 오죽하면 1629년(인조 5)부터 근 200년간 제주 사람은 육지에 올라오지 말라는 출륙금지령을 다 내렸을까. 그래서 탐라 시절엔 분명 대단했을 제주의 조선술은 퇴화를 거듭, 진상품을 나르고 조금 멀리 나가 고기잡는 데 쓰인 '덕판배'나 연안에서 고기 낚는 데 쓰는 '테우' 정도만 남았다. 고유섭 선생 표현처럼 '바다를 엔조이한' 장보고 시절엔 상상도 할 수 없었을 일이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바다에 나가야 하는 사람들이 있게 마련이다. 고기잡.. 2024. 3. 20.
식륜埴輪, 그 끝을 향해 달리는 메스리야마고분メスリ山古墳(1) 한국고고학도들이 동경국립박물관보다 많이, 그리고 자주 가는 데가 나라현립奈良県立 가시하라고고연구소橿原考古学研究所라는 데라, 나 역시 이짝을 훨씬 많이 다녔으니 왜 이 촌구석을 그리도 선호하는지 알 수는 없지만, 암튼 한국에서 고고학으로 방귀께나 낀다는 사람은 한 번쯤 가야 하는 성지로 군림한다. 이 연구소는 부속 박물관을 두고 있거니와, 나라현에서 발굴한 고고상품 중 쓸 만한 건 나라국립박물관보다는 이쪽을 가는 편이 좋기는 하다. 유물 관리시스템이 우리랑은 조금 달라 저짝에서는 발굴한 기관이 다 틀어쥔다. 우리가 박물관에 왜 줘? 딱 이거다. 죽쑤어 개주는 꼴을 적어도 일본국에서는 안 당한다. 암튼 저 박물관을 처음 대하는 사람들은 위선 그 입구를 장식하는 무수한 하니와에 놀라고, 다음으로는 그 압도하는.. 2024. 3.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