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02

Ostracons for ostracism 참주(僭主, 그리스어 τυραννος 튀라노스, tyrant) 출현을 막고자 고대 희랍 아테네가 도입한 민주정 제도 중 하나로 도편추방陶片追放이라 흔히 옮기거니와, 도기 조각에 적은 이름을 해외로 추방하는 일을 말한다. 도편추방이란 일본에서 만들어낸 말이 그대로 흘러들어 굳어진 것으로, 이 역시 골때리는 게, 도편추방이란 글자 그대로는 도편, 곧 그릇조각을 추방한다는 뜻이지, 이 말 어디에 참주 출현이라는 뜻이 있는가? 이 따위 일본말 찌꺼기를 버려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일본말인 까닭이 아니라, 그 자체 도대체 얼토당토 않은 까닭이다. 아무튼 이 제도는 참주, 곧 독재 기미가 농후한 후보자 이름을 도기 조각에 적어, 이에서 일정한 숫자 이상을 득한 사람에 대해서는 10년간 해외로 추방하게 된다. 이 추방.. 2019. 7. 15.
두물머리 Lotus Feast 2019. 7. 15.
Woljeonggyo Bridge, Gyeongju Crossing over the Namcheon Stream, one of the Hyeongsan River tributaries, Woljeonggyo 월정교 月精橋 has been restored recently at the original site of the bridge which was erected in 760 AD dr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경덕왕 慶德王 of the Silla Kingdom. photo by Seyun Oh 2019. 7. 15.
이완용, 친일로 가둘 수는 없다 실은 아래 2003년 8월 13일자 내 기사에서 다룬 문건은 내가 언젠가는 논문으로 쓰겠다고 하다가 결국 손도 대지 못했다. 이후 누군가가 쓰지 않았다면 다시 시도할 욕심이 난다. 기사에서도 엿보이겠지만 이완용은 친일파다. 그래서 나쁜놈이다 이런 방식으로는 전연 저 문건의 의미를 풀지 못한다고 나는 본다. 그것을 뛰어넘어 이완용을 바라보아야, 식민지 조선을 둘러싼 다양한 정치역학 흐름이 보인다고 나는 본다. 이완용이 창덕궁을 천황의 이궁으로 만들자...이렇게 하자 그러면 일본정부나 총독부가 열라니 좋아할 거란 믿음이 있다. 우리의 역사교육, 친일론은 바로 이에서 기반한다. 하지만 아래서 보듯이 실상은 전연 딴판이다. 이완용은 이완용 나름대로 살길과 기존 지분을 확보 유지하려고 안간힘을 쓰게 마련이다. 식.. 2019. 7. 15.
초원이라는 환상 제국 몽골 Mongolia (1) August 16th, 2009 *** 초원이 주는 환상이 있다. 그것은 목가일 수도 있고, 낭만일 수도 있다. 21세기 대한민국은 실크로드 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호명한다. 글쎄 저곳은 낭만일까? 21세기 대한민국 서울이 그렇듯이 시기 질투 욕망이 솟음하는 그런 곳이지 청정 혹은 무구無垢는 아니다 하지만 포착하는 사진은 목가로 담지 않을 수 없었다. 2009년이니 벌써 10년 전이다. 또 얼마나 달라졌을라나? 2019. 7. 15.
파파야 & 제비 로터스lotus 시즌을 맞아 어딘가는 들러야 한다는 윽박이 있어 간만에 조폭답사반을 가동했으니, 그 답사 결행을 하루 앞둔 어제, 내 차가 퍼질러지는 불상사 있었거니와, 그리하여 다른 반원 차에 의지해 세미원 옆에 낀 두물머리를 돌았더랬다. 육감으로는 체감온도 사십도는 육박할 듯한 무더위에 두물머리와 물의정원이란 곳을 들르고는 귀경하는 길에 팥빙수 한 사발하자며 마뜩한 곳 골라드니 고당 이란 곳이라. 범벅하는 교통 체증 뚫고 계우 도달해 들어서니, 두 가지가 새삼했으니 제목이 말한 저 두 가지라. 언뜻 고색창연한 한식 기와 건물인 듯하나 실은 현대 한식 건축이라, 하도 유명세 치르는 곳이요 팔당댐 낀 유원지라 일욜 낮 이곳은 인산인해 방불한다. 주차장으로 난 곁문 통해 마당 들어서니, 이곳이 동남아 아닌.. 2019. 7. 15.
Am I a butterfly? Is the butterfly me? 어느 한옥 담벼락에서 조우한 나비다. 저리 묻지는 아니했다. 물어도 어차피 알 수 없으므로. 2019. 7. 14.
증오감에서 비롯하는 글 글을 쓰는 사람들이, 특히 근현대사 분야로 글을 쓰는 사람들이 조심 又 조심해야 할 점은 증오감과 탄성이다. 대체로 우리 학계를 보건대 독립과 친일이라는 양대 구도, 혹은 민주화 대 반민주화(혹은 독재) 양대 구도로 설정하거니와 그러면서 전자에 대해서는 일방적인 찬사를 퍼붓고, 후자에 대해서는 각종 분노를 표춀하거니와 이는 시정잡배가 할 짓이지 이른바 전업적 학문종사사자가 글로써 할 일은 아니다. 나는 이완용을 다룰 적에도 냉철, 냉철, 또 냉철해야 한다고 본다. 그리하여 적어도 글을 쓰는 순간만큼은 이완용에 미쳐야 한다. 이 새끼를 때려잡지 않으면 내가 죽는다는 사명감은 글을 망친다. 이 놈은 부관참시를 해도 시원찮을 놈이라는 증오는 글을 망친다. 한데 내가 보는 근현대사 분야 글은 이른바 대가라는 사.. 2019. 7. 14.
Dumulmeori, Yangpyeong 남한강 북한강 한데 꼬불쳐 한강 된다는 두물머리다. 2019. 7. 14.
Vanity Fair 해직기간이던 2016년 여름, 나는 서울 모 구청이 지원하는 고교재학생 학부모 인문강연에 초대되어 8번인가 연속강좌를 한 적 있다. 수강생들은 연배가 대략 나랑 비슷하고 고교생 아들을 둔 분들이었다. 그 마지막 강연에서 나는 대략 이렇게 말했다. 인정하기 비참하지만, 우리는 살아온 날보다 살아갈 날이 적을 것이외다. 애들 키운다고 고생하셨소. 이젠 우리도 허영을 채울 나이인 듯 하오. 갑시다 vanity fair로. 그 허영 채우는데 남녀노소 다 하는 영화 연극 뮤지컬이 있겠소만 그건 약발이 없소. 허영 채우는데 인문 교양 역사만한 게 없습디다. 박물관도 가시고 문화유산도 가세요. 가서 맘껏 허영을 채웁시다. 이 아름다운 현장 못보고 죽는 게 억울하지 않겠소? 가자 허영의 시장으로! 2019. 7. 14.
박영우 작가의 아재 연작 경주를 근거지로 암약하는 박영우 선생은 인물 찍기를 좋아한다. 이 몸이 모델이 된 일도 여러 번인데 언제인가는 그리 찍어 시리즈라 하고는 넉장을 거푸 발행한 적이 있다. 그 첫번째가 보문리사지 연화문 당간지주를 배경으로 한다. 이 두 번째 역시 같은 경주, 아마도 보문리 쪽이 아닌가 한다. 이건 말할 것도 없이 창림사지 삼층석탑이다. 마지막 네번째는 금척리고분군이라 이날 아마 아드님 모시고 넓적배사마귀 포획하러 갔을 때리라. 그 사마구는 예서 실패하고 양동마을에서 무더기로 포획했다. 2019. 7. 14.
포토 바이 오와 태식 포토 바이 영우 Changrimsa Temple Site, Gyeongju / 慶州昌林寺址 / 경주 창림사지 경주 창림사지 삼층석탑이다. 2013년 12월 6일이다. 오른쪽이 궁한 기자 김태식, 왼편이 포토 바이 오세윤이다. This photo was taken by Youngwoo Park. 2019. 7. 13.
Leda and the Swan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William Butler Yeats 명편 을 기억하리라.(맨 아래 링크 기사 참조) 고대 그리스 로마예술에서도 즐겨 다루는 소재라 이를 극화한 조각과 회화는 적지 않다. 예술의전당에서 개최 중인 그리스 황금전에도 마침 이를 소재로 삼은 조각 한 점이 나들이를 했다. 에로틱하나 실은 강포하다. 백조로 화한 제우스가 레다라는 여인을 겁탈하는 장면을 극화했다. 세부를 본다. 겁탈이 아니라 강간이다.강간을 피하려는 레다는 엉덩이를 쭉 빼고 다리를 오므리려 하는데 백조가 갈퀴로 레다 두 다리를 부여잡고는 강포하게 덮친다.이 조각에 대한 설명은 이렇다. 제우스와 레다 부조 1-2세기,대리석, 크노소스에서 출토 이라클리온 고고학박물관 소장 Relief depicting Zeus and Leda.. 2019. 7. 13.
Scale Bar 2006년 10월 25일 경주 덕천리 ktx 선로 통과예정지 발굴현장. 이래도 담배가 백해무익한가? 난 문화재 숭엄주의 경멸한다. 유물은 만져야 한다. 2019. 7. 13.
서기 2000년, 부여는 거대한 공사판이었다 부여 궁남지 인근 야트막한 언덕인 화지산이 연차 발굴을 통해 백제시대 녹록치 않은 흔적을 연이어 쏟아낸다. 이 화지산, 여차하면 다 날릴 뻔했다. 자칫하면 전체가 계백결사대공원과 조각공원이 될 뻔 했다. 20년 전에 있었던 일이다. 그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 일단을 소개한다. 2000.07.30 07:00:05 파괴일로의 백제 고도 부여 (부여=연합뉴스) 김태식기자 = 폭염이 계속된 28일 공주를 떠나 차로 부여읍에 들어서자 읍내를 남북으로 가르는 대로 중 오른쪽 편 주택가 숲 위로 무엇인가 거대한 철구조물 1개가 하늘을 향해 머리를 들이밀고 있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현지 주민에게 저것이 무엇이냐고 물으니 아파트 공사장이라고 했다. 공사장 입구로는 건축자재와 공사장 폐기물을 실어나르는 육중한 트럭이.. 2019. 7. 13.
줄줄이 유물 이야기-홍동지 2019년 7월 8일(월)유물 사진 촬영 건으로 그날 홍동지씨를 처음 만났다.좀 많이 부담스럽긴 했지만 일이기에 내색없이 잘 마무리했다.며칠 뒤 홍동지씨한테 연락이 왔다.같이 밥 한 번먹자고... 며칠뒤 홍동지와의 식사자리. 어색 어색.. 홍동지는 박첨지의 조카로서, 언제나 벌거벗은 채로 행동하며 온몸이 붉은색이다. 동지同知는 조선시대 종2품의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에서 비롯된 직위였지만 후대에 이르러 존대의 의미로만 전이되었다. 꼭두각시놀음에서는 사람들의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 힘센 ‘해결사’인 동시에 때로는 무례하며 비판적이고 저돌적인 남성의 표상으로 행동한다. 그는 언제나 벌거벗은 몸으로 행동하므로 붉을 홍紅에 비유해 홍동지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출처 한국의 박물관 : 탈 / 한국박물관연구회 .. 2019. 7. 13.
[나만 못본 구라파 유람기] (2) 발기불능 에펠탑 파리를 포함한 프랑스 땅이라고는 생평 처음이지만, 또 그런 까닭에 풍찬노숙 대미를 장식할 구라파 탐사지 첫 코스로 파리를 골랐지만, 그렇다고 내가 백수십 년 전 서양문물을 견학하면서 그래 우리도 이 길을 가야겠다고 결심을 거듭한 신사유람단 일원일 수는 없는 법이다.요즘 같은 시대에 제아무리 첫 만남이라 해도 에펠탑을 보고 '와! 쓰바 나도 봤다' 외칠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막상 그것을 마주했을 때 그런 마음은 털끝만큼도 미동하지 않았으니, 그 고철덩이 앞에 선 나는 불감증이요, 발기불능이었다. 그러기엔 저 고철덩이는 너무나 친숙했으니, 뭐 굳이 들자면, SNS로 맨날맨날 매양늘상 이런저런 수작 주고받다가 마침내 직접 대면했을 때와 같은 그런 느낌과 비스무레하다고 설명하는 편이 좋겠다.에펠탑은 숙소로.. 2019. 7. 13.
왜 이러니? Flagpole Supports in Guhwangdong, Gyeongju / 慶州九黃洞幢竿支柱 /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 기가 차군 기똥차군 보아 하니 민간 소행은 아이고 당국자 소행인듯 Photo by Seyun Oh 2019. 7. 12.
단행본으로 정리한 <쉿! 우리동네> 시리즈 이야기 숨어 있는 역사와 문화를 찾다…'쉿! 우리동네' 출간송고시간 | 2019-07-12 09:00 우리공장 출판부에서 우리 공장 기획시리즈 '쉿! 우리동네 이야기'를 엮어 단행본으로 냈다. 이 시리즈에 내가 직접 관여했음은 여러번 말한 적 있거니와, 그래서 그 출간이 나로서는 그 어떤 감정이 없을 수는 없다. 판에 박힌 듯하지만, 추천사를 받았는데, 출판부에서는 그 유명한 야부리꾼 유모씨 얘기를 해서 내가 단칼에 내리치고는 저 두 사람으로 갔다. 현직 문화재청장과 현직 국립박물관장이면 됐을 성 싶었다. 초창기 내가 기획하고, 내가 총감독을 했지만, 보다시피 내 이름은 없다!!!! 쫌 넣어주지 ㅋㅋㅋㅋ 출판부가 고생했고, 다른 무엇보다 일선 취재기자들 노고가 만만찮았다. 분량 문제 등등을 고려해 출판부에서 개.. 2019. 7. 12.
덕수궁 돌담길, 그리고 찢어진 만남 덕수궁 돌담길이라는 곳이다. 혜은이 노래로 더 유명세를 탔다. 연인이 이 길을 걸으마 찢어진대나 어쩐대나 이별없이 만남 있겠으며 만남없이 이별 있으리오 기왕 찢어진 거 다시 만날 날 없었으면 한다. 만나 무얼하리오? 찢어진 이유만 상기할 뿐이다. 찢어진 만남은 언제나 곤혹이었다. 잘 사느냐? 잘 산다니 배가 아프고 못 산다니 가슴이 아프니 돌이켜 보니 그대와 난 이 길을 걸은 적이 없네 2019. 7. 11.
Cheonggyecheon Stream, Seoul 청계천淸溪川의 요즘 모습이다.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청계천도 나날이 변모한다. 2019.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