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647

《광동통지(廣東通志)》 明淸 兩代의 地方誌로서 廣東省 內의 事蹟․氣候․風俗․水利․人物․藝術文化 等等을 정리, 기록했다. 《廣東通志》는 明代의 《광동통지초고廣東通志初稿》에서 비롯되어 8次에 걸친 개수를 거쳤다. 《廣東通志初稿》는 모두 四十卷이었으며 明 嘉靖 14年(1535)에 戴璟花가 兩個月에 걸친 纂修로 나왔다. 內容은 分野․山川․政紀․行次․疆域 等 五十多門을 포괄한다. 《廣東通志》 第二次 纂修는 明 嘉靖 36年(1557)이었으니 黃佐가 負責하여 1561年에 이르러 完成됐다. 全書 分七十卷, 內容은 分하여 十一門六十九類이며, 人物이 三分之一을 차지한다. 第三次 纂修는 明 萬曆 27年(159年), 郭裴․王學曾․袁昌祚 等이 책임을 지고 했으며 1602年에 完成됐다. 全書 分七十二卷, 內容分爲三十五門. 第四次 纂修는 淸 康熙 十四年.. 2018. 3. 9.
《주례(周禮)》 註 : 내가 늘상 하는 말이지만, 동아시아 문명의 그랜드디자이너는 바로 이 주례(周禮)란 괴물이다. 한우충동(汗牛充棟)한 그 많은 문헌 중에서도 오직 주례만이 국가를 어떻게 조직하고 운영해야 하는지를 법제화했기 때문이다. 함에도 어찌 주례를 이리도 무시하는가? 舊唐書 經籍志:“賈公彦義疏五十卷.”(新唐書同) 四庫全書總目:“今本四十二卷, 不知何人所改.” 賈公彦, 永年人. 唐高宗永徽中, 官太學博士, 著有周禮義疏․儀禮義疏(見舊唐書卷189儒學傳). 義疏乃本鄭玄注爲之, 以鄭注在唐時立於國學也. 淸孫詒讓周禮正義八十六卷. 按周禮一書, 漢書 藝文志云:“周官經六篇.” 原注:“王莽時, 劉歆置博士.” 漢書景十三王傳河間獻王:“修學好古, …所得書, 皆古文先秦舊書, 周官…之屬.” 賈氏周禮興廢引馬融傳(按:謂馬融周官傳, 見後漢書儒林傳董.. 2018. 3. 9.
왕승달(王僧達. 423~458) 南朝 宋의 大臣으로 지금의 山東에 속하는 낭야(琅邪)의 임기(臨沂) 사람이다. 대대로 大族이며, 臨川王 劉義慶의 딸에게 장가들었다. 詩文을 잘 지어 당시에 자못 文名이 높았다. 나중에 시흥왕(始興王) 유준(劉濬)의 후군참군(後軍參軍)이 되었으며 의성태수(宣城太守)를 역임했다. 성격이 유렵(遊獵)을 좋아해 말을 타고 다니기를 좋아해 3~5일 동안 귀가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으며, 사냥하는 곳에서 사송(辭訟) 문서를 다루는 일도 있었다. 그때 太子 유구(劉劬)가 작란(作亂)하자 심양(尋陽)으로 도망쳤다. 뒤에 효무제(孝武帝)가 즉위하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에 임명되고 정로장군(征虜將軍)에 가작되었다. 왕승달은 사람됨이 자만심이 심해 재상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오군태수(吳郡太守)에 제수되어 외관으로 나갔다.. 2018. 3. 9.
영락대전永樂大典 永樂大典考(영락대전고) 출전 : 이혜은, ‘永樂大典考’, 《도서관》 2002년 겨울호( 제57권 제4호. )를 요약 발췌함 1. 편찬과정과 구성 명明 성조成祖(영락제永樂帝)는 건문제建文帝의 자리를 빼앗자 문인들의 반발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 永樂 元年(1403) 7月1日 한림원翰林院 학사學士들에게 고금을 통한 경사자집經史子集 백가百家의 書와 천문天文, 지리地理, 음양陰陽, 의醫, 복卜, 잡기雜技에 이르기까지 모두 망라하여 분류分類 편찬하도록 명령하였다. 당시 翰林學士 해진解縉이 총재總載가 되었고 여기에 참여한 인원은 모두 147명이었다. 永樂 2年(1404) 11月에 책이 완성되자 『문헌대성文獻大成』이라 이름지었다. 그러나 『文獻大成』이 간략하다 생각하여 중수重修를 명하였다. 永樂 3年(1405) 남경南京.. 2018. 3. 9.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와 탕구(湯球) 편《십육국춘추집보(十六國春秋輯補)》 《십육국춘추(十六國春秋)》 중국사에서 저명한 혼란기로 꼽히는 이른바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 시대를 이룩한 16국 역사를 기전체(紀傳體) 양식으로 다룬 사서(史書)로써, 그 혼란기를 수습한 북위(北魏) 왕조 때의 최홍(崔鴻)이란 사람이 찬자(撰者)이다. 최홍은 동청(東淸) 하현(河縣) 사람이니 이곳은 지금의 산동성(山東省) 평원(平原) 서남쪽에 해당한다. 최광(崔光)의 종자(從子)이며, 청년 시절에 이미 수사(修史)에 뜻을 품었다고 한다. 서진(西晉)이 망하고 그 왕실이 남쪽으로 도망하여 동진(東晉) 왕조를 건국하자 중원 지역에서는 흉노족(匈奴族)의 유연(劉淵)․갈족(羯族)의 석륵(石勒)․선비족(鮮卑族)인 모용괴(慕容廆)․저족(氐族)인 부견(苻堅) 등이 각축하면서 다투어 왕조를 세우니 이를 역사에서는 16.. 2018. 3. 9.
《상서대전(尙書大傳)》 《尙書大傳》은 전한(前漢) 초기 금문상서가(今文尙書家)인 복생(伏生)의 제자들인 장생(張生)과 구양생(歐陽生) 등에게서 유래하는 것으로 그들이 각자 들은 내용을 기록하고 기억을 덧보태어 이룩된 상서(尙書), 즉, 서경(書經)의 해설서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런 상서대전을 전형적인 주소(注疏) 류로 보기는 힘들다. 전형적인 注疏라면 본문격인 尙書 구절 하나하나를 해석하는 체제를 보이겠으나, 물론 그런 곳도 없지 않으나, 문장의 대의(大義)를 설명하는 곳이 많다. 따라서 체례(體例)는 《한시외전》(韓詩外傳)․《춘추번로》(春秋繁露) 등과 비슷하다. 《尙書大傳》 중 홍범(洪範) 約五十傳을 보면 首尾가 完備해 위후(緯候) 說의 선구를 이룬다. 상서대전에는 허다한 해설이 今文尙書 29편의 범주에서 나온다. 《尙書.. 2018. 3. 9.
《초학기(初學記)》 먼저 내가 이용하는 판본은 《初學記》(上․下) , 中華書局과 《初學記索引》, 中華書局 許逸民 編임을 유념하라. 初學記는 명칭이 시사하듯이 공부하는 초보자들을 위한 책인데, 당 현종 이륭기의 명을 받들어 광록대부(光祿大夫)이며 행우산기상시(行右散騎常侍)이며 집현원학사(集賢院學士)이며 부지원사(副知院事)이며 동해군개국공(東海郡開國公)인 서견(徐堅) 등이 봉칙찬(奉勅撰)해서 천자에게 받친 것이다. 성격별로 분류하자면, 유서(類書), 즉, 분류학 사전이다. 이보다 앞서 나온 비슷한 성격의 문헌으로는 저 유명한 예문유취(藝文類聚)가 있다. 예문유취야 그 분량과 그것이 커버하는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니, 이로써는 初學을 위한 교재가 되기는 힘들었다. 이에 현종은 皇子, 즉 자기 아들들을 위한 시문 교육용 교재 편찬을.. 2018. 3. 9.
공후(箜篌) “空侯”(공후) 또는 “坎侯”(감후)라고도 표기한다. 고대의 撥弦 악기 중 하나로 分臥式과 豎式 두 종류가 있다. 臥箜篌는 전하기를 漢 武帝 때 樂人인 侯調가 제작했다고 한다. 唐代 杜佑가 편찬한 《통전(通典)》에 이르기를 “漢武帝가 使 樂人侯調하여 所造케 하고는 以祀太一하게 했다. 或云하기를 侯暉가 所作한 것은 其聲이 坎坎 應節하여 謂之하기를 坎侯했다. 聲이 訛하여 爲 箜篌했다, 篌란 樂工人의 姓에서 말미암았을 뿐이다”고 했다. 나아가 《통전》은 “舊說一依琴制. 今按其形, 似瑟而小, 七弦, 用撥彈之如琵琶也”라고 했다. 豎箜篌는 豎琴의 前身으로서 後漢 時에 西域을 거쳐 中原에 들어왔다. 다시 《通典》에 근거할 때 “豎箜篌는 胡樂也라, 漢 靈帝가 好之하여, 體는 曲하지만 長하며, 二十二 弦이 있고, 懷中에.. 2018. 3. 9.
강적(羌笛) 고대 羌族의 민간에서 광범위하게 유포된 吹管 악기의 일종으로 강관(羌管)이라고도 한다. 그 역사는 유구해 漢代 이래 역사문헌에서 그에 관한 기록이 적지 않다. 《풍속통(風俗通)》에 이르기를 “漢武帝時에 丘仲이 笛을 作하니 그 후에 또 강적(羌笛)이 있었다”고 했다. 陳暘의 《樂書》에는 또 이르기를 “羌笛은 구멍이 다섯이다. 馬融이 賦笛에서 이르기를 羌中에서 왔으며 舊制에는 구멍이 4개였을 뿐이다. 京房에서는 구멍 하나를 더하니 그리하여 五音을 갖춘다”고 했다. 隋․唐에서 宋․元․明 各代에 이르기까지 강적은 文人의 詩文에서 자주 보인다. 王之渙의 《涼州詞》에 이르기를 “羌笛何須怨楊柳, 春風不度玉門關”라고 했으며. 範仲淹은 《漁家傲》에서 읊기를 “羌管悠悠霜滿地, 人不寐, 將軍白發征夫淚”라고 했다. 羌笛은 油.. 2018. 3. 9.
삼도(三都) 東漢 시대에 “三都”란 東都인 낙양(雒陽. 지금의 洛陽市 東北), 西都인 장안(長安), 南都인 宛(河南 南陽市)을 지칭한다. 晉나라 때 左思가 읊은 《삼도부三都賦》의 “三都”란 삼국시대 蜀都인 성도(成都) 吳都인 건업(建業. 南京), 魏都인 업(鄴. 河北 臨漳縣 西南 鄴鎭 동쪽 1.5㎞)을 말한다. 唐代에 “三都”란 東都 洛陽, 北都 진양(晉陽. 太原市), 京都인 長安이다. 2018. 3. 9.
《대대례기(大戴禮記)》 《大戴禮記》는 전하는 기록에 의하면 西漢 대덕(戴德) 撰이다. 공영달(孔穎達) 撰 《예기정의(禮記正義)》 大題下에 인용된 鄭玄의 《六藝論》에서 이르기를 “戴德이 《記》85篇을 전하니 《大戴禮》가 곧 이것이다. 대성(戴聖)이 《禮》49篇을 전하니 이것이 곧 《禮記》라는 것이다”(戴德傳《記》八十五篇,則《大戴禮》是也;戴聖傳《禮》四十九篇,則此《禮記》是也)라고 했다. 또, 육덕명(陸德明)이 撰한 《경전석문(經典釋文)》 ‘敍錄’에 인용된 晉나라 때 사람 동소陳邵의 《주례론서(周禮論序)》에 이르기를 “戴德이 古《禮》二百四篇을 刪하여 八十五篇을 만드니 이를 일러 《大戴禮》라 한다. 戴聖이 《大戴禮》를 산삭하여 四十九篇을 만드니 이것이 《小戴禮》다”(戴德刪古《禮》二百四篇爲八十五篇,謂之《大戴禮》;戴聖刪《大戴禮》爲四十九篇,.. 2018. 3. 9.
우세남(虞世南. 558~638) 字가 백시(伯施)다. 남북조시대 남조(六朝)의 하나인 진(陳)의 무제(武帝) 2년(558)에 지금의 절강(浙江)에 속하는 월주(越州) 여요(餘姚)라는 곳에서 태어났다. 陳朝에서는 고야왕(顧野王)에게 배워 10년 동안 게을리 함이 없으니 그의 문장은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수(隋)가 천하통일을 이룬 뒤에는 양제(煬帝)를 섬겨 근신이 되었으나 그다지 중용되진 못했다. 당이 건국하고는 환갑이 넘어 그에 합류했으나 고조(高祖) 이연(李淵) 시대에도 그다지 중용을 받지 못한 듯하다. 그러다가 李世民이 나이 많고 학식이 뛰어난 그를 중용하게 된다. 정관(貞觀) 초기에는 그의 상객이 되어 문학관(文學館)을 개설해 이곳에다 전국 인재를 불러 모으니 우세남은 그 종(宗) 노릇을 하게 된다. 홍문관(弘文館) 학사(學士.. 2018. 3. 9.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 중국 남송(南宋)시대 국자감사업(國子監司業)을 지냈으며 대장서가(大藏書家)이며 목록학자(目錄學家)인 진진손(陳振孫)이 가희(嘉熙) 2년(1238)에 임안(臨安. 今 杭州)에서 편찬을 시작해 완성한 사인장서(私人藏書) 해제목록(解題目錄)이다. 陳振孫은 號를 직재(直齋)라 하며, 절강(浙江) 안길(安吉) 사람이다. 영가학파(永嘉學派) 학자인 주행기(周行己)의 外孫이다. 어릴 때는 강서(江西) 남성(南城)과 복건(福建) 보전(莆田)에 있었으며, 절강에서 지방관으로 재직하면서 서적을 구입하여 초록하고, 만년에는 시랑(侍郞)으로 치사(致仕)한 뒤 서적 수집을 계속하여 당시 최대 장서가가 되었다. 書錄은 원래 56권이었으니 經․史․子․集 4錄에 53類로 나누었다. 총서(總序)와 대서(大序)가 없고, 겨우 語孟․時令.. 2018. 3. 9.
《경적찬고(經籍纂詁)》 중국 청대(淸代) 가경(嘉慶) 연간에 완원(阮元)이 편찬을 총지휘해 완성한 자전(字典)으로 총 106권이다. 당대(唐代) 이전 古書에 출현하는 文字를 휘집(彙輯)하여 훈석(訓釋)한 훈고학의 금자탑 중 하나이다. 阮元이 撰集하는 가운데 장용당(臧鏞堂)․장예당(臧禮堂) 형제를 비롯한 40여 명을 동원, 찬교(纂校)해 가경(嘉慶) 3年(1798)에 간행됐다. 이 때 완원은 독학절강학정(督學浙江學政)이었으니 지금으로 보면 절강성이라는 지방자치단체의 교육부 장관이었던 셈이다. 왕인지(王引之)와 전대흔(錢大昕), 장용당(臧鏞堂)의 序와 後序가 수록했다. 全書는 《패문옥부(佩文韻府)》가 시도한 分韻編字에 준거해 표제어를 배열하되, 《佩文韻府》에 없는 글자는 《광운(廣韻)》이라든가 《집운(集韻)》을 참조해 배치했다. .. 2018. 3. 9.
피석서(皮錫瑞. 1850~1908. PiXirui) 字를 녹문(鹿門)이라 하며 녹운(麓雲)이라고도 한다. 호남(湖南) 선화(善化) 사람이다. 서한(西漢) 초기에 《尙書》를 전했다는 유자(儒者) 복생(伏生)을 흠모하여 그 서재 이름 또한 ‘사복당’(師伏堂)이라 했으며 그런 까닭에 그를 일컬어 ‘사복선생’(師伏先生)이라 한다. 청말 광서(光緖) 5년, 30세가 된 피석서는 경학 연구를 개시했다. 복생은 금문학파에 속하며, 나아가 그가 전한 尙書 판본을 서한 당시에 통용되던 예서체로 된 텍스트라 해서 금문상서(今文尙書)라 하거니와, 이런 그를 숭모했으니, 청말에 재연된 금문-고문학파 논쟁에서 피석서는 당연 빠따로 금문경학 쪽에 서서 고문학파를 공격하게 된다. 광서(光緖) 8년 순천향시(順天鄕試)에 합격했으나 이후 3번이나 거푸 예부시(禮部試)에 도전했다가 낙방.. 2018. 3. 9.
도종의(陶宗儀)와《설부(說郛)》 원말(元末)~명초(明初)를 살다간 도종의(陶宗儀)가 편찬한 총서(叢書) 이름이다. 도합 100권 거질이며 이에 수록된 조목(條目)은 수만을 헤아린다. 진한(秦漢) 이후 송원(宋元)에 이르기까지 제가(諸家)의 작품을 초록했으니, 그 포괄 범위는 제자백가(諸子百家)․각종 필기(筆記)․시화(詩話)․문론(文論) 등을 망라한다. 역대 사가(私家)가 편집한 총서로는 비교적 크다. 그것이 포괄한 내용은 삼라만상이라 경사전기(經史傳記)․각종 잡서(雜書)․고고박물(考古博物)․산천풍토(山川風土)․충어초목(蟲魚草木)․시사평론(詩詞評論)․고문기자(古文奇字)․기문괴사(奇聞怪事)․문복성상(問蔔星象) 등이다. 양유정(楊維楨)은 그 序에서 이르기를 “배우는 자가 이 책을 얻으면 들은 바를 열게 되고 본 바를 넓히게 되는 이가 많을 .. 2018. 3. 9.
배송지裵松之 《삼국지주三國志注》 유송劉宋 문제文帝인 유의륭劉義隆이 삼국시대의 異同을 모아 진수陳壽의 《三國志》를 주석하라고 명하여 裴松之가 완성한 해설서이다. 裴松之는 傳紀를 수집해 이문異聞을 널리 모아 완성하고는 헌상했다. 이에 황제는 이를 예람叡覽하고는 “이야말로 불후不朽라고 할 만하다”고 상찬했다. 이 당시 裴松之가 올린 표문表文에는 이런 말이 있다. “진수陳壽의 책은 볼 만한 일을 嚴選했으나 간략함이 지나친 단점이 있고 누락된 곳이 여러 곳이 됩니다. 臣은 성지聖旨를 奉하여 상세함을 갖추어 철저함을 기해 기록해야 하지만 진수가 기재하지 않은 사실은 남김 없이 채록했습니다. 같은 사건에 대해 기록이 모순되면 사건의 출처가 달라 판단할 수 없는 경우에도 모두 요약해서 함께 異聞을 固하게 했습니다.” 이것이 裴松之 편찬방침이라 할 수.. 2018. 3. 9.
호삼성(胡三省. 1230~1302)과 《자치통감음주(資治通鑒音注)》 호삼성(胡三省)은 원래 이름이 만손(滿孫)이며 字가 신지(身之), 號는 매간(梅澗)이다. 5형제 중 3남이다. 영해(寧海) 중호촌(中胡村) 사람이다. 《論語》에 나오는 “吾日三省吾身”이라는 구절에서 삼성(三省)이라고 개명했다. 다른 字로는 경삼(景參)도 썼다. 보우(寶祐) 4년(1256)에는 문천상(文天祥), 육수부(陸秀夫), 사방득(謝枋得) 등과 함께 과거에 급제하여 進士가 되었으며 吉州泰和尉에 임명되었으나 어머니가 연로하다 해서 부임하지 않았다. 나중에 경원부자계위(慶元府慈溪尉)에 임명되었으나 재임기간 중 경원지부(慶元知府) 여문옹(厲文翁)에게 죄를 얻어 파직되었다. 그러다가 문학행의(文學行誼)로 추천되었다. 사마광이 주편한 《자치통감(資治通鑑)》 연구에 몰두하고 《통감(通鑒)》을 교감했으며 제자들을.. 2018. 3. 9.
마숙(馬驌)과 《역사(繹史)》 《역사(繹史)》는 전체 160卷이며 世系圖 1卷과 年表 1卷이 별도로 첨부됐다. 찬저자(撰著者)는 청대(淸代) 마숙(馬驌. 1621~1673)이다. 강희(康熙) 연간에 판각된 판본은 전체 40册이며 版框 高廣은 匡高 19.7公分이고 寬은 14.3公分이다. 行格은 14行24字이며 小字雙行 36字이다. 판식(版式)은 백구(白口), 무어미(無魚尾), 좌우쌍변(左右雙邊)이다. 장정(裝訂)은 선장(線裝)이며, 수장인기(收藏印記)는 학여당발태(學餘堂發兌)이며, 서발제교자(序跋題校者)로는 이청(李淸) 서(序)가 있다. 사고전서(四庫全書)에서는 사부(史部) 중에서도 편년류( 編年類)로 배당했다. 부주(附註)로는 내봉제(內封題)로 “마씨역사”(馬氏繹史)라 했으며, 原鈐 “學餘堂發兌” 硃文印記가 있다. 卷端署에는 “추평마.. 2018. 3. 9.
사마정司馬貞과 《사기색은史記索隱》 사마정司馬貞은 사마천司馬遷 불후의 저작인 《사기史記》에 대한 해설 혹은 주석으로 시도한 완성물인 《사기색은史記索隱》 저자이나 이상하게도 행적은 불비하기 짝이 없다. 생년은 물론이요 몰년도 모조리 미상이다. 관적貫籍은 회주懷州 하내河內이며, 당 현종玄宗 개원開元 연간(713~741) 초기에 국자박사國子博士를 지냈으며, 이후 윤주별가潤州別駕와 굉문관학사宏文館學士를 지낸 이력 정도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史記索隱》 외에 《補史記보사기》가 있다고 하며, 《전당문全唐文》 卷402에 그의 산문이 수록된 정도다. 이런 가운데 그의 행적은 《신당서新唐書》 卷132 유자현전劉子玄傳에 찔끔 보이며, 그 외 북송시대 도서목록집인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卷4에도 역시 간략한 기술이 나온다. 그 불후의 성과로 꼽히는 사기색.. 2018. 3. 9.
곽무천(郭茂倩)과 《악부시집(樂府詩集)》 곽무천은 생졸년 미상이며 宋代 운주(鄆州) 수성(須城. 지금의 東平縣) 사람이다. 북송 남송 중에서도 南宋시대를 살다 갔다. 그의 이름은 그가 편집한 방대한 《악부시집》(樂府詩集) 100권을 통해 빛을 발한다. 郭茂倩의 생평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四庫全書總目提要》에서 이르기를 “《建炎以來系年要錄》載茂倩爲侍讀學士郭裒之孫, 源中之子, 其仕履未詳.”라고 했을 뿐이다. 《樂府詩集》에서는 그를 太原 郭茂倩이라고 했다. 어릴 적에 이미 詩 훈도를 받았으며, 음률에 대한 조예가 깊었고, 전록(篆錄)을 잘 했다. 《樂府詩集》 100권은 위로는 요순(堯舜) 시대 가요를 시작으로 아래로는 唐代의 신악부시(新樂府詩)에 이르는 각종 시가 5천389수를 모았다. 이에 수록된 가사를 크게 둘로 나눌 수 있으니 하.. 2018.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