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405 何炎泉:高丽猩猩毛笔 何炎泉:高丽猩猩毛笔原创 2018-03-07 何炎泉 考工言己 http://mp.weixin.qq.com/s/mEndAAMLExheYZGnifXrvw 2018. 3. 13. 珍贵 你几乎没机会看到的敦煌壁画和绢画 珍贵 你几乎没机会看到的敦煌壁画和绢画2018-03-04 又见敦煌 http://mp.weixin.qq.com/s/1Me2Yn9rdpJ0TTpyB1p3uA 2018. 3. 13. 度世桃花源:道教“洞天福地”申报世界遗产的构想 度世桃花源:道教“洞天福地”申报世界遗产的构想原创 2017-05-17 陶金徐知兰朱明夏 清源文化遗产http://mp.weixin.qq.com/s/Rw36t543JafRuNrpTc01qQ 2018. 3. 13. 中国52项世界遗产 中国,52项世界遗产2018-02-26 中国美术家网 福建省耕读书院http://mp.weixin.qq.com/s/2KqzoVtfvyUWhWvBfcydyg 2018. 3. 13. 尹志华:清朝宗室与道教 尹志华:清朝宗室与道教原创 2018-02-01 尹志华 道教学术翻译与研究 http://mp.weixin.qq.com/s/wbYF_uet_3pWw02iDJoxDw 2018. 3. 13. 【宋扇·弘道】张泽洪:论道教的黄帝信仰 【宋扇·弘道】张泽洪:论道教的黄帝信仰2018-02-16 恋上宋代生活美学 宋扇 http://mp.weixin.qq.com/s/inm7dtpIj11T2RvwmCYXXA 2018. 3. 13. 永乐宫壁画 《朝元图 》 永乐宫壁画 《朝元图 》高清欣赏 2017-05-22 中国艺术家 永乐宫壁画 《朝元图 》高清欣赏 2017-05-22 中国艺术家 https://new.qq.com/omn/20191102/20191102A0CQ5A00.html 2018. 3. 13. (李凇) 山西寺观壁画巡礼 李凇 | 山西寺观壁画巡礼Original 2017-07-12 李凇 书与画杂志http://mp.weixin.qq.com/s/hywxeSJ6t2HVR5RTB8RwBQ 2018. 3. 13. 기자사회와 골프, 내가 본 꼴불견 나는 골프를 치지 아니한다. 친 적도 없으며 쳐야 한다고 생각한 적도 없다. 골프채는 딱 한번 잡아봤다. 1986년인가였다고 기억하거니와 대구 출신 부잣집 아들이 친구라, 그 친구 아버지가 운영하는 골프장이 있어 한 번 가서 골프채 한 번 휘둘러봤다.남들 어찌 생각할지 모르나, 나는 골프에 대한 경멸이 있다. 골프 그 자체가 운동 혹은 레크리에이션으로 지닌 고유 가치를 부정하고픈 생각은 추호도 없다. 내가 경멸한 것은 그것을 두고 벌어지는 행태였다. 내가 기자 생활 초입 시절, 젤로 꼴뵈기 싫은 놈들 행태가 부장 혹은 그 이상 놈들이었다. 물론 다 그러한 건 아니지만, 상당수 보직 간부라는 놈들이 틈만 나면 의자에서 자빠자거나, 깨어있을 땐 언제나 부장 자리에서 골프 스윙 연습만 했다.그때 나는 저들이 .. 2018. 3. 13. 남원부인(南院夫人)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阿慈个)의 둘째부인데 견훤이 그의 아들인지 여부는 알 수 없다.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제2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 조 : 《이제가기(李磾家記)》에 이렇게 말했다. 진흥대왕비(眞興大王妃) 사도(思刀)는 시호가 백융부인(白駥夫人)이다. 그 셋째아들 구륜공(仇輪公)의 아들 파진간(波珍干) 선품(善品)의 아들 각간(角干) 작진(酌珍)이 왕교파리(王咬巴里)를 아내로 맞아 각간 원선(元善)을 낳으니 이가 바로 아자개(阿慈个)다. 아자개 첫째부인은 상원부인(上院夫人)이요, 둘째부인은 남원부인(南院夫人)이다. 아들 다섯과 딸 하나를 낳았으니 그 맏아들이 상부(尙父) 훤(萱)이요, 둘째아들이 장군 능애(能哀)요, 셋째아들이 장군 룡개(龍盖)요, 넷째아들이 보개(寶盖)요, .. 2018. 3. 13. 상원부인(上院夫人) 후백제를 건국한 견훤의 아버지 아자개(阿慈个)의 첫째부인데 견훤이 그의 아들인지 여부는 알 수 없다.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제2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 조 : 《이제가기(李磾家記)》에 이렇게 말했다. 진흥대왕비(眞興大王妃) 사도(思刀)는 시호가 백융부인(白駥夫人)이다. 그 셋째아들 구륜공(仇輪公)의 아들 파진간(波珍干) 선품(善品)의 아들 각간(角干) 작진(酌珍)이 왕교파리(王咬巴里)를 아내로 맞아 각간 원선(元善)을 낳으니 이가 바로 아자개(阿慈个)다. 아자개 첫째부인은 상원부인(上院夫人)이요, 둘째부인은 남원부인(南院夫人)이다. 아들 다섯과 딸 하나를 낳았으니 그 맏아들이 상부(尙父) 훤(萱)이요, 둘째아들이 장군 능애(能哀)요, 셋째아들이 장군 룡개(龍盖)요, 넷째아들이 보개(寶盖)요, .. 2018. 3. 13. 백융白駥 신라 제24대 진흥왕비 사도思道(혹은 思刀)의 시호다. '백숭'이라 읽을 수도 있다.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제2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 : 《이제가기李磾家記》에 이렇게 말했다. 진흥대왕비眞興大王妃 사도思刀는 시호가 백융부인白駥夫人이다. 그 셋째아들 구륜공仇輪公의 아들 파진간波珍干 선품善品의 아들 각간角干 작진酌珍이 왕교파리王咬巴里를 아내로 맞아 각간 원선元善을 낳으니 이가 바로 아자개阿慈个다. 아자개 첫째부인은 상원부인上院夫人이요, 둘째부인은 남원부인南院夫人이다. 아들 다섯과 딸 하나를 낳았으니 그 맏아들이 상부尙父 훤萱이요, 둘째아들이 장군 능애能哀요, 셋째아들이 장군 룡개龍盖요, 넷째아들이 보개寶盖요, 다섯째아들이 장군 소개小盖이며, 딸이 대주도금大主刀金이다. ☞사도(思刀) ☞사도(思道) *** 삼국.. 2018. 3. 13. 사도思刀 신라 제24대 진흥왕비 사도(思道)에 대한 이표기인데 주로 삼국유사에서 저리 표현한다. 자세한 사항은 '사도(思道)' 항목을 보라. 삼국유사 제3권 흥법(興法) 제3 원종흥법(原宗興法)·염촉멸신(厭觸滅身) : 상고하건대 진흥왕은 법흥왕의 조카요, 왕비 사도부인(思刀夫人) 박씨(朴氏)는 모량리(牟梁里) 영실 각간(英失角干)의 딸로서, 역시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었으나 영흥사를 세운 주인은 아니다. 그러면 필경 진자(眞字)를 마땅히 법자(法字)로 고친다면 이것은 법흥왕비(妃) 파조부인(巴刁夫人)이 비구니가 되었다가 죽은 것을 가리킨 것이니, 이는 그가 절을 이룩하고 불상(佛像)을 세운 주인이기 때문이다.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제2 후백제(後百濟) 견훤(甄萱) : 《이제가기(李磾家記)》에 보면 이렇게 말했.. 2018. 3. 13. 사도(思道) 신라 제24대 진흥왕 정비다. 삼국사기에는 '思道(사도)'라고 표기한 반면 삼국유사에는 '思刀'라고 적었지만 같은 인물에 대한 다른 표기에 지나지 않는다. 진흥왕과의 사이에 아들로 동륜(銅輪)·금륜(金輪)·구륜(仇輪)을 낳았고 딸로는 태양(太陽)·아양(阿陽) 등을 낳았다. 삼국사기는 권 제4 신라본기 제4 진흥왕 즉위년 : 진흥왕(眞興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삼맥종(彡麥宗)이다 그때 나이 일곱 살이었다. 법흥왕 동생인 갈문왕(葛文王) 입종(立宗)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김씨로서 법흥왕 딸이며, 왕비는 박씨 사도부인(思道夫人)이다. 왕이 어렸으므로 왕태후(王太后)가 섭정했다.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4 진지왕 : 진지왕(眞智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름은 사륜(舍輪)이고 진흥왕 둘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2018. 3. 13. 구륜(仇輪) 신라 진흥왕과 사도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셋째아들이다. 동륜(銅輪)과 금륜(金輪·훗날의 진지왕) 동생이면서, 21세 풍월주를 역임하는 선품(善品)의 아버지다. 진평왕시대 무렵에 화랑에도 깊이 관여했다. 화랑세기 미생공 전 : 그때에 낭도들간에는 아직 쟁론이 있었다. 그 하나는 귀천에 거리끼지 않고 내외에서 인재를 뽑아 등용하여 국력을 강하게 하려는 자들로, 통합원류(統合元流)라 불렀다. 임종·대세·수일 등이 중심이었는데, 대개 문노파(文弩派) 중 가장 정예들이었다. 대원신통(大元神統)을 받들려고 하는 자들은 곧 미실일파(美室一派)인데 하종·구륜공 등이 중심이었다. 이것이 그 두 번째다. 화랑세기 선품공 전 : 21세 선품공(善品公)은 구륜공(仇輪公) 아들이다.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제2 후백제(後百濟).. 2018. 3. 13. 봉상왕(烽上王) 고구려 제14대 왕이며 생년을 알 수 없고, 재위기간은 292∼300년이다. 치갈왕(雉葛王)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상부(相夫) 또는 삽시루(臿矢婁)라 한다. 서천왕 아들로 아버지가 죽자 왕위를 이었다. 가뭄으로 백성들이 극심한 고통을 받는데서도 아랑곳없이 대규모 공사를 강행하다가 국상(國相) 창조리(倉助利)에게 쫓겨나 자살했다. 봉산원(烽山原)에 묻힌 까닭에 시호가 봉상이다. 삼국사기 권 제17(고구려본기 제5) 봉상왕 조 : 봉상왕(烽上王)은 이름이 상부(相夫)이며 서천왕의 태자다. 어려서부터 교만하고 방탕하며 의심과 시기심이 많았다. 서천왕이 23년에 죽자 태자가 즉위했다. 원년(292) 봄 3월에 안국군 달가를 죽였다. 왕은 달가가 아버지 형제[諸父] 항렬에 있고 큰 공적이 있어 백성들이 우러러 보게.. 2018. 3. 13. 창조리(倉助利) 고구려 봉상왕~미천왕 시대 국상이다. 남부 대사자 출신으로, 봉상왕에 의해 국상으로 발탁됐다. 모용씨 침입에 고구려가 시달리자 고노자를 발탁해 막았으며, 봉상왕 말년에는 잇단 재해에도 왕이 대규모 공사를 일으키자 간했자다 말을 듣지 않자, 다른 사람들과 모의해 왕을 몰아내 자살케 하고 을불, 곧 미천왕을 맞아들여 정국을 안정시켰다. 삼국사기 권 제49(열전 제9) 창조리 전 : 창조리(倉助利)는 고구려 사람이다. 봉상왕(烽上王) 때 국상(國相)이 되었는데 그때 모용외(慕容)는 변경의 걱정거리였다. 왕이 여러 신하에게 말하기를 “모용씨의 군사가 강하여 여러 차례 우리 강역을 침범하니 어찌하면 좋겠소?” 하니 창조리가 대답하였다. “북부의 대형(大兄) 고노자(高奴子)는 어질고도 용감합니다. 대왕께서 침략을 .. 2018. 3. 13. 서천(西川) 신라 선덕여왕 11년(642)에 벌어진 백제와의 대야성 전투 당시 도독 품석의 보좌관으로, 신라 쪽 정세가 불리해지자 백제 장군 윤충과 백제에 항복하자고 품석을 설득했다. 하지만 백제가 배신하는 바람에 항복하는 길에 백제군에 살해당한 것으로 추측된다. 당시 관위는 아찬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47(열전 제7) 죽죽 전 : 죽죽(竹竹)은 대야주 사람이다. 아버지 학열(郝熱)은 찬간(撰干)이 되었다. 죽죽은 선덕왕 때 사지(舍知)가 되어 대야성도독 김품석(金品釋) 휘하에서 보좌역을 맡고 있었다. 왕 11년 임인(백제 의자왕 2·642) 가을 8월에 백제 장군 윤충(允忠)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그 성을 공격했다. 이보다 앞서 도독 품석이 막객(幕客)인 사지(舍知) 검일(黔日)의 아내가 예뻐 이를 빼앗았으므로 .. 2018. 3. 13. 을지문덕(乙支文德) 고구려 영양왕 23년(612), 고구려를 침략한 수나라 백만 대군을 살수에서 몰살함으로써 대승을 이끈 고구려 대신이다. 기타 그의 가문 내력과 행적을 알 수는 없다.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을지문덕 열전 : 을지문덕(乙支文德)은 그의 선대의 계보를 알 수 없다. 자질이 침착하고 날쌔며 지략과 술수가 뛰어났고, 겸하여 글을 알고 지을 수 있었다. 수나라 개황(開皇) 연간에 양제(煬帝)가 조서를 내려 고구려를 치게 하였다. 이에 좌익위(左翊衛) 대장군 우문술(宇文述)은 부여도(扶餘道)로 나오고, 우익위(右翊衛) 대장군 우중문(于仲文)은 낙랑도(樂浪道)로 나와서 아홉 개의 군부대와 함께 압록강에 이르렀다. [을지]문덕(文德)이 왕명을 받아 그 진영에 나가 거짓 항복하니, 사실은 그 허실을 엿보기 위함.. 2018. 3. 13. 요극일(姚克一) 신라말을 대표하는 서예가. 생몰년은 알 수가 없다. 대안사 적인선사 탑비문(大安寺寂忍禪師塔碑文)과 황룡사 구층목탑 찰주본기(皇龍寺九層木塔刹柱本記), 삼랑사비문(三郎寺碑文)이 현재까지 확인되는 그의 글씨다. 신라 경문왕 12년(872) 8월 14일에 세운 곡성 적인선사 탑비문을 보면 관직이 중사인(中舍人)이고, 그해 11월 25일에 쓴 황룡사 목탑 찰주본기에는 관직이 숭문대랑 겸 춘궁 중사성신(崇文臺郎兼春宮中事省臣)이다. 삼랑사비문은 박거물(朴居勿)이 글을 썼다. 삼국사기 권 제48(열전 제8) : 요극일(姚克一)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벼슬이 시중겸 시서학사(侍書學士)에 이르렀는데 글씨에 힘[筆力]이 있었고 구양(歐陽)의 솔경법(率更法)을 터득했다. 비록 글씨는 김생에 미치지 못했지만 또한 뛰어난 솜씨였다... 2018. 3. 13. 영양왕(嬰陽王) 고구려 제26대 왕으로 재위는 590~618. 평양왕(平陽王) 혹은 대흥왕(大興王)이라고도 했다. 이름은 원(元) 또는 대원(大元)이며 평원왕 맏아들이다. 수 문제와 수 양제가 각각 30만 대군과 113만 대군으로 고구려를 침공하자 을지문덕을 시켜 살수에서 물리쳤다. 삼국사기 권 제20 고구려본기 제8 영양왕 : 영양왕(嬰陽王) 은 이름이 원(元)이고 평원왕 맏아들이다. 풍채가 뛰어났다. 세상을 잘 다스려 백성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자신의 일로 여겼다. 평원왕이 재위 7년에 태자로 삼았고, 32년에 왕이 훙하자 태자가 즉위했다. 수나라 문제가 사신을 보내 왕을 상개부 의동삼사(上開府儀同三司)로 삼고, 요동군공의 작위를 이어받게 하였으며, 의복 한 벌을 주었다. 2년(591) 봄 정월에 사신을 수나라에 보.. 2018. 3. 13. 이전 1 ··· 875 876 877 878 879 880 881 ··· 9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