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0051

한여름 소나무 아래는 가을 한시, 계절의 노래(124) 소나무를 읊다(詠松) 첫째 수 송 호중궁(胡仲弓) / 김영문 選譯評 추위 견디는 마음을홀로 품고서 사계절 있는 줄도알지 못하네 붉은 태양 이글이글내리쬘 때도 소나무 숲 아래는저절로 가을 獨抱歲寒心, 不知時有四. 赤日行炎天, 林下自秋至. 소나무 숲은 왜 시원할까? 짙은 그늘과 솔바람 소리 때문이리라. 하지만 이것뿐이라면 다른 나무 숲과 큰 차이가 없다. 그늘 짙기로 말하자면 잎 큰 활엽수가 한 수 위일 터이다. 그런데도 옛 사람들은 송림(松林)에서 송풍(松風)을 쐬며 피서를 즐겼다. 무슨 까닭인가? 소나무는 세한심(歲寒心)을 품고 있다 여겼기 때문이다. ‘세한심(歲寒心)’, 말만 들어도 한기가 느껴지지 않는가? 공자가 말했다. “날씨가 추워진 연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 2018. 7. 22.
매미 소리 왕청난 계곡 숲속에서 한시, 계절의 노래(123) ♣피서 두 수(避暑二首) 중 둘째♣ 당 서응(徐凝) / 김영문 選譯評 얼룩얼룩 무늬 많아대자리 차고 머리 숱 드물어관모 시원해 큰 나무 숲 아래서더위 피하니 서늘한 매미소리또 들려오네 斑多筒簟冷, 髮少角冠淸. 避暑長林下, 寒蟬又有聲. 생물학적인 면에서 기실 모든 매미는 로미오다. 양쪽 옆구리에 소리통을 달고 있는 매미 수컷은 온 몸뚱이로 노래하며 자신의 줄리엣을 부른다. 로미오의 노래에 공감한 줄리엣은 아무 소리도 없이 로미오 주위로 날아든다. 겨우 한 달 남짓한 지상의 삶에서 로미오는 간절하게 노래하고 간절하게 사랑한다. 인간이 매미의 울음을 고결한 선비의 호소로 듣든 더위를 식혀주는 시원한 청량제로 여기든 매미는 자신의 짧은 생애에서 짝을 찾으려고 애절하게 사랑의 세레나데.. 2018. 7. 22.
지하에서 몇년을 보내다 한달을 울고 가는 매미 한시, 계절의 노래(122) 매미를 읊다(詠蟬) 명 정학년(丁鶴年) / 김영문 選譯評 매미 성품 지극히맑고도 높아 수심에 찬 읊조림은「이소(離騷)」와 같네 염천엔 바람과이슬 드물어 날을 보내면서도슬프게 우네 蟬性極淸高, 愁吟類楚騷. 炎天風露薄, 度日亦嗷嗷. 매미는 캄캄한 땅 속에서 3~7년 동안 애벌레 생활을 한다. 심지어 어떤 종류는 무려 17년간이나 지하에서 산다고 한다. 그러다가 땅 위로 올라와 사는 기간은 얼마인가? 겨우 한 달 남짓에 불과하다. 매미 울음소리를 들으면 숙연한 마음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땅 속 생활을 하는 동안 땅 위에 건물이 들어서거나 아스팔트가 덮이면 영원히 땅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생을 마감한다. 매미는 땅속에서나 땅밖에서나 수액(樹液)만 먹고 산다. 이 때문에 옛 사람들은 .. 2018. 7. 22.
익산 쌍릉 발굴조사를 어찌 볼 것인가? 문화재청은 산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발표 형식을 빌려 지난 4월 익산 쌍릉(대왕릉)을 원광대 마한백제문화재연구소가 발굴하는 과정에서 수습한 인골 조각들을 분석한 결과 이에서 남성 노년층의 신체 특징과 병리학적 소견을 확인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이런 성과를 토대로 부여문화재연구소는 "그동안 쌍릉은 백제시대 말기의 왕릉급 무덤이며, 규모가 큰 대왕릉을 서동 설화의 주인공인 무왕의 무덤으로 보는 학설이 유력했는데, 이번 인골 분석 결과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과학적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했다는 이런 발표는 곧 대왕릉이 백제 무왕의 무덤임을 사실상 확인한 것인양 하는 것처럼 인식되어, 실제 이를 토대로 하는 관련 언론 보도에서는 그리 보도된 성향이 강했.. 2018. 7. 22.
권위dignity의 자양분 권위dignity 혹은 authority는 신비神秘와 미지未知를 자양분으로 삼는다. 내가 저 친구한테 군림하려면 그 절대조건 중 하나가 저 친구는 나를 잘 몰라야 한다는 점이다. 또 내가 무슨 생각을 하는지도 저 친구는 몰라야 한다. 반면 나는 내가 부리거나 부리고자 하는 사람의 구석구석을 훤히 꿰뚤어야 한다. 특히 군주는 신하에 대해 그러해야 한다. 이것이 고대 중국의 정치학 흐름 중 하나인 소위 황로학黃老學을 관통하는 군주론의 핵심이다. 노자를 핵심으로 삼는 그 철학이다. 황로학은 이런 식으로 군주가 신하들을 통제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그래야 신하들은 군주를 향해 맹목적인 충성을 바치고 충성 경쟁을 벌인다고 보기 때문이다. 나는 이런 통치술을 대체로 좋다고 생각했다. 내가 대통령 시절 노무현을 비판적.. 2018. 7. 21.
Climbing up 왜 오르느냐 묻지 마라. 낸들 뭘 알아서 가겠는가?언덕 있으니 오르려는 것일뿐, 강물 나타나면 건널 것이요, 막아서면 돌아서면 그뿐. 올라 무엇이 보이느냐 나는 모른다. 거창하게 말하자면, 허무하기 때문이라고만 해둔다. 2018. 7. 20.
발가벗고 계곡물에 몸 담그니 한시, 계절의 노래(121) 여름날 산속에서(夏日山中) 당 이백 / 김영문 選譯評 흰 깃 부채 게으르게흔들거리며 푸르른 숲속에서발가벗었네 두건 벗어 바위벽에걸어놓고서 맨 머리로 솔바람을쐬고 있노라. 懶搖白羽扇, 裸體靑林中. 脫巾掛石壁, 露頂灑松風. 더위 탓을 하지만 일탈과 자유를 추구하는 시선(詩仙) 이백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시어가 모두 구속을 벗어던진 신선의 경지를 보여준다. 맨 몸과 맨 머리는 속세의 의관(허례, 가식)을 벗어던진 신선의 모습이다. 누구의 눈길도 받지 않는 푸른 숲속, 솔바람이 시원하게 불어오는 곳, 옆에 있는 바위 절벽에 벗은 의관을 걸어두고 맨몸에 깃털 부채를 부치고 있으면 그곳이야 말로 ‘인간을 떠난 신선 세계’에 다름 아니다. 여름날 더러 계곡을 따라 등산을 하다보면.. 2018. 7. 20.
반년을 피고지는 백일홍 한시, 계절의 노래(120) 대청 앞 자미화에 이슬이 맺혀...두 수 중(凝露堂前紫薇花兩株每自五月盛開九月乃衰二首) 둘째 송 양만리 / 김영문 選譯評 멍하니 도취할 듯약하고도 고운 모습 이슬 무게와 바람 힘에심하게 기울었네 백일 붉은 꽃 없다고그 누가 말했는가 자미화는 오래오래반 년 동안 피어 있네 似癡如醉弱還佳, 露壓風欺分外斜. 誰道花無紅百日, 紫薇長放半年花. 배롱나무의 계절이다. 한자로는 자미화(紫薇花, 紫微花), 양양화(痒痒花), 백일홍(百日紅) 등으로 불린다. ‘자미(紫薇)’는 배롱나무의 대표적인 꽃 색깔(紫)과 자잘한(微, 薇) 꽃 모양을 형용한 이름이다. ‘양양(痒痒)’은 ‘간지럽히다’는 뜻인데 배롱나무 표피를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우리말로도 ‘간지럼나무’라고 한.. 2018. 7. 18.
석양과 어울린 능소화 한시, 계절의 노래(119) 능소화(凌霄花) 명 탕진(湯珍) / 김영문 選譯評 백 척이나 높은 덩굴나무 끝에 매달려 주황 꽃 화려하게푸른 연기 엮고 있네 석양도 더불어색깔 자랑 하려는 듯 붉은 노을 찬란하게먼 하늘 곱게 물들이네 百尺高藤樹杪懸, 朱英燁燁綴靑煙. 夕陽似與矜顔色, 爛著丹霞媚遠天. 색채감이 너무나 선명하다. 옛 시골 마을에는 저녁 무렵 푸르스름한 연기가 감돌았다. 저녁밥을 짓고 쇠죽을 끓이는 등 나무 땔감을 땠기 때문이다. 먼 하늘엔 곱디 고운 노을빛이 은은하게 물들고, 그 노을빛에 물든 것처럼 주황색 능소화가 소담한 꽃을 피웠다. 능소(凌霄)라는 말은 하늘을 타고 넘는다는 뜻이다. 이름처럼 능소화는 높다란 나무에 기대거나 담장을 기어 올라 꽃을 피우는 덩굴 식물이다. 꽃 색깔이 황금빛이기 때.. 2018. 7. 18.
폭염에 농부 맘 불타는데 왕손은 부채질만 한시, 계절의 노래(118) 붉은 태양 이글이글 불처럼 타오르자(赤日炎炎似火燒) 『수호전(水滸傳)』 제16회에서 / 김영문 選譯評 붉은 태양 이글이글불처럼 타오르자 들판 논에 가득한 벼태반은 타죽었네 농부 마음은끓는 물처럼 부글부글 귀공자와 왕손은부채만 흔들흔들 赤日炎炎似火燒, 野田禾稻半枯焦. 農夫心內如湯煮, 公子王孫把扇搖. 음력 6월은 여름 맨 마지막 달이다. 1년 중 가장 무더운 달이므로 더위와 관련된 다양한 별칭으로 불린다. 염천(炎天), 혹서(酷暑), 성하(盛夏), 성염(盛炎), 임열(霖熱), 화중(火中) 등이 모두 음력 6월을 달리 부르는 말이다. 대부분 불꽃, 열기 등과 관련된 어휘다. 이처럼 뜨거운 태양 아래에서도 농부들은 농사를 쉴 수 없다. 쌀(米)을 생산해내기 위해서는 글자 모습 그대로.. 2018. 7. 18.
비를 오게 하려면 龍을 열라 패야 요샌 용이라면 날개도 있고 아가리에선 핵분열하듯 불을 뿜는 이미지를 생각하겠지만, 이는 서양놈 드래곤dragon이라 동양, 개중에서도 동북아시아 전통시대 용은 물과 비구름을 관장하는 선신善神이요 영물靈物이다. 그리하여 가뭄이 들어 비를 불러오고자 할 때는 용을 불렀으니, 기우제(祈雨祭)에서 그가 빠지지 않는 이유다. 한데 이런 기우제에서 용을 대접하는 방식이 조금은 독특해 추리자면 열라 패기였다. 토룡土龍이 있다. 흙으로 만든 용이라는 뜻이다. 상상의 동물인 용이 존재할 수도 없으니, 토룡을 만들어서는 주로 동네애들을 시켜 그 토룡을 동네 사방으로 질질 끌고다니게 하면서 용을 열라리 패게 했다. 그러면 하늘이 용을 불쌍히 여겨 비를 내린다 했다. 이런 기우제 의식은 이미 전한시대 초기 인물 저명한 춘추공.. 2018. 7. 18.
듣고 싶은 말만 듣는자, 우리는 그를 독재자라 부른다 〈 HULTON ARCHIVE/GETTY IMAGES 〉 죽을 때가 다 된 킹 리어 King LEAR, 아들 없이 딸만 셋을 둔 그가 딸들을 불러다 놓고 충성 경쟁을 즐긴다. 묻는다. "너희는 얼마나 아비인 나를 사랑하느냐. 날 사랑하는 딸한테 내 왕국 3분의 2를 주겠노라" 첫째와 둘째는 갖은 아양으로 아버지가 듣고 싶은 말을 한다. 막내 코딜리아 차례가 되자 킹 리어는 묻는다. What can you say to draw A third more opulent than your sisters? Speak. 이런 물음 뒤에 이어지는 대화 CORDELIA : Nothing, my lord. LEAR : Nothing? CORDELIA : Nothing. LEAR : How? Nothing will come.. 2018. 7. 18.
남편을 죽인 마누라, 엄지발가락을 밟은 후직의 어머니 후직(后稷)을 시조로 삼은 주(周) 왕조 창업을 노래한 《시詩·대아大雅》 〈생민生民〉과 〈비궁閟宮〉은 주인공이 주 왕조를 개창한 시조 후직이 아니라 그 엄마 강원姜嫄이다. 이 점을 후대 모든 사가(史家)는 혼동했다. 후직을 노래한 것으로 착각, 혹은 무게 중심을 후직으로 보았으니, 이는 패착이다. 내가 늘 지적하듯이, 위대한 시조의 탄생담(이를 우리는 흔히 건국시조, 혹은 시조신화라 한다)에는 늘 같은 구도가 있어 생물학적인 아버지를 없애 버린다. 생물학적인 아버지를 죽여 버리고 그 자리에 하늘[天]을 늘 갖다 놓는다. 이렇게 해서 위대한 왕조를 창업한 시조는 천자(天子), 곧 하늘의 아들[天之子]라는 도식이 만들어진다. 이를 대표하는 인물이 다름 아닌 예수다. 예수한테도 생물학적인 아버지가 없어, 그 .. 2018. 7. 17.
흘러가는 강물 물끄러미 바라보노라니 한시, 계절의 노래(117) 강가에서(江上) 송 범성대(范成大) / 김영문 選譯評 하늘 빛 무정하게담담하고 강물 소리 끝도 없이흘러가네 옛 사람은 근심을 다풀지 못해 후인에게 근심을남겨줬네 天色無情淡, 江聲不斷流. 古人愁不盡, 留與後人愁. 무정하게 그리고 끝도 없이 흐르는 것은 강물이다. 아니 덧없는 세월과 인생이다. 아니 천추만대로 이어지는 근심이다. 나는 한 때 ‘불사재(不舍齋)’란 서재 이름을 쓴 적이 있다. 『논어(論語)』 「자한(子罕)」에서 따왔다. “선생님께서 냇가에서 말씀하셨다. ‘흘러가는 것은 이와 같구나, 밤낮을 쉬지 않나니!’(子在川上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이게 무슨 말인가? 처음에는 아무 의미도 떠오르지 않았다. 정자(程子)가 이 구절을 그럴 듯하게 풀이했다. “쉼 없이 .. 2018. 7. 17.
고목 우거진 산길에 오니 한시, 계절의 노래(116) ♣아침 일찍 길 나서서 다섯 수(早行五首) 중 둘째♣ 송 오불(吳芾) / 김영문 選譯評 이곳은 오로지고목 숲 많아 길가 곳곳 맑은 그늘넉넉하구나 행인은 한 여름에불볕 느끼나 이곳 오니 맑은 바람옷깃에 가득 此地惟多古樹林, 路傍處處足淸陰. 行人九夏熱如火, 到此淸風忽滿襟. 장마가 끝날 무렵부터 더위가 기승을 부린다. 너도 나도 더위를 피해 산과 들과 바다로 나선다. 피서철 시작이다. 불볕더위를 피하기 위해서는 서늘한 그늘과 시원한 물이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전국의 산, 계곡, 바닷가가 인산인해를 이룬다. 옛날 시골에서는 바람이 잘 통하는 동네 어귀 당나무 그늘에 느긋이 앉아 부채를 흔들거나 가까운 계곡이나 시내로 가서 발을 담갔다. 또 웬만한 마을에는 고목이 숲을 이룬 동쑤가.. 2018. 7. 17.
산에 올라 한시, 계절의 노래(115) 화정봉에 올라(登華頂峰) 송 맹관(孟觀) / 김영문 選譯評 우연히 화정봉에서잠을 자는데 손 뻗으니 별들을딸 수 있을 듯 감히 소리 높여이야기 못 함은 천상 사람 놀랄까두렵기 때문 偶因華頂宿, 擡手摘星辰. 不敢高聲語, 恐驚天上人. 이 시에 나오는 화정봉은 중국 절강성(浙江省) 천태산(天台山) 정상이다. 해발 1098미터로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중국 불교 천태종의 조산(祖山)이고 자연 경관도 아름다워 예로부터 수많은 시인묵객의 유람처였다. 중국 천태종 16대 조사 의통(義通) 스님이 고려인이었고, 대각국사 의천(義天)도 천태산에서 수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시는 작자가 천태산 정상에 묵으며 지은 작품이다. 높은 산에 올라 밤이 되면 확실히 하늘에 가까워진 기분이 든다. .. 2018. 7. 17.
물위를 뛰어오르는 은빛 물고기 한시, 계절의 노래(114) 남계에서 저녁 무렵 강물을 구경하다(南溪薄晚觀水) 송 양만리(楊萬里) / 김영문 選譯評 그 누가 모래 자갈로비스듬히 제방 쌓았나 세찬 물결 제방 부딪쳐절로 모래둑 터졌네 작은 물고기 무수히어지럽게 뛰어 오르고 유리판 아래에서은빛 꽃처럼 까부네 誰將沙礫壅堤斜, 水怒衝堤自決沙. 無數小魚齊亂跳, 琉璃盤底簸銀花. 장마철에 큰물이 지면 강물 흐름에 따라 저절로 모래와 자갈이 모여 둑이나 작은 제방이 생긴다. 깊은 곳은 깊어지고 얕은 곳은 얕아지며 자연의 질서가 이루어진다. 물살이 부딪쳐 둑이 터진 곳에는 작은 여울이 생기고 그곳으로 물고기들이 모여든다. 특히 여름 저녁이면 뉘엿뉘엿 서산으로 넘어가는 햇살에 피라미들이 비늘을 반짝이며 여울물을 거슬러 뛰어오른다. 여울물 아래 깊은 소(沼.. 2018. 7. 17.
푸르디푸른 물속 부들 한시, 계절의 노래(113) 청청수중포 세 수(靑靑水中蒲三首) 중 첫째 당 한유(韓愈) / 김영문 選譯評 푸르고 푸른물속 부들 그 아래물고기 한 쌍 그대 지금 농(隴) 땅으로 떠나면 나는 여기서누구와 살아요 靑靑水中蒲, 下有一雙魚. 君今上隴去, 我在與誰居. 한유는 시보다 문장으로 더 유명한 학자다. 안사의 난(安史之亂) 이후 유종원(柳宗元)과 함께 중당의 고문운동(古文運動)을 이끌었다. 위진남북조 이래로 공허하고 화려한 변려문(騈儷文)이 유행하자 한유는 “문장으로 성현의 도를 담아야 한다(文以載道)”고 강조하며 한나라 이전의 질박하고 실질적인 고문 전통을 회복하자고 주장했다. 이 시도 그런 영향 때문인지 『시경』과 초기 오언고시의 기미가 짙게 배어 있다. 우선 첫째 구와 둘째 구에서는 물속에서 자라는 부.. 2018. 7. 16.
연꽃 훔쳐 돌아가는 아가씨 한시, 계절의 노래(112) 못가에서 절구 두 수(池上二絕) 중 둘째 당 백거이 / 김영문 選譯評 아리따운 아가씨작은 배 저어 흰 연꽃 훔쳐서돌아가는데 자신의 자취를감출 줄 몰라 부평초 뜬 곳에길 하나 여네 小娃撑小艇, 偸采白莲回. 不解藏踪迹, 浮萍一道开. 한시는 의상(意象)을 중시한다. 의상은 일종의 이미지이지만 단순한 이미지가 아니라 시인의 주제 의식과 사물의 형상이 일체화된 이미지다. 특히 한시 중에서도 가장 짧은 형식인 절구는 오언이 20자, 육언이 24자, 칠언이 28자로 하나의 작품을 이룬다. 극도로 정제된 시 형식이다. 따라서 절구는 의상 중에서도 가장 압축적인 의상을 그려낸다. 마치 스냅 사진을 찍듯이 어떤 풍경이나 대상의 가장 특징적인 장면을 포착해야 한다. 그림 같은 이미지 속에 시인이.. 2018. 7. 16.
소나기가 밀어낸 불볕더위 한시, 계절의 노래(111) 통주의 여름비(通州夏雨) 송 진연(陳淵) / 김영문 選譯評 세찬 바람 땅 휩쓸며불볕더위 몰아내고 소나기 하늘 뒤집어저녁 시원함 보내주네 이 때문에 모기 파리모두 자취 감췄음에 저 멀리 가을 서리기다릴 필요 없겠네 長風卷地驅炎暑, 暴雨翻空送晚凉. 只此蚊蠅俱掃跡, 不須迢遞待秋霜. 나는 이 시를 읽으면서 정태춘의 노래 「한 여름 밤」을 떠올린다. “한 여름 밤의 시원한 소나기 참 좋아라/ 온갖 이기와 탐욕에 거칠어진 세상 적셔 주누나” 2016년 스웨덴 학술원에서는 그 해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밥 딜런을 지목하면서 그가 “귀를 위한 시를 쓴다”고 인정했다. 이는 싱어송라이터에 노벨문학상을 수여한 최초의 사례일 뿐 아니라 시와 음악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한 의미 깊은 평가였다. 미국.. 2018. 7. 16.
혼을 담아 집에 띄운 편지 한시, 계절의 노래(110) 집으로 편지를 보내며(歸信吟) 당 맹교 / 김영문 選譯評 눈물로 먹 갈아편지 써서 만 리 길 너머가족에게 부친다 편지도 가고내 혼도 가니 우두커니 육신만남고 말았네 淚墨灑爲書, 將寄萬里親. 書去魂亦去, 兀然空一身.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향수에 관한 시를 들라면 거의 정지용의 「향수」를 꼽을 것이다. 향수에 묘사된 근대 이전의 고향 마을은 참으로 정겹고 감동적이다. 고향이 도시인 사람도 정지용의 「향수」를 읽으면 시골에 내 영혼의 고향이 따로 있는 듯 느껴진다고 한다. 하지만 나는 정지용의 「향수」보다 더 절실하게 고향과 가족을 그리워하는 작품을 들라면 주저 없이 이 시를 첫손가락에 꼽는다. 이 시를 쓴 맹교는 두 번 낙방 끝에 46세에야 겨우 진사시에 급제했다. 이 시는 그 무.. 2018.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