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25 대구 경상감영공원 여기를 거쳐간 경상도관찰사가 무릇 기하幾何랴만, 지금 내 머릿속에는 딱 둘만이 떠오른다. 하나는 산천초목이 떨었다는 어사 박문수요, 다른 하나는 관찰사 아버지를 따라 왔던 명필 김정희다. 여기에 자취 하나 남기지 않은 그들만이 떠오르고 저 두툼한 비석의 주인공들은 비를 보고서야 아 이 사람이 왔었구나 싶은 걸 보면, 과연 역사의 평가는 어떤 비석이나 마애명보다 깊게 새겨진다는 것을 알 수 있지 않은가. 2023. 12. 2. 골동서화 자랑에 여념없는 박영철 1. 여러가지 의미로다가 꽤 유~명한 사람의 시집을 보게 되었다. 생각보다 꽤 재미있었다. 당대 이름난 정치가, 실업가, 관료, 학자들이 이 사람과 한시를 주고받으며 하하호호 하는 정황이 그려져서 말이다. 시 수준이 아주 높다거나 현학적이라거나 하는 건 아니지만, 오히려 그게 이 사람의 한계 또는 특징이라고 봐야 맞겠다. 2. 그런데 이 사람의 취미 중 하나가 바로 골동서화 수집이었다. 워낙 부자였으니 당연했겠지만 그의 소장품은 규모와 품질이 높기로도 이름났었다. 그런 면모를 자랑하고 싶어 근질근질했던지 이 시집 안에도 관련된 내용이 적지 않다. 그는 높으신 분이었지만 틈나는 대로 서예가, 화가들을 불러 술 대접하면서 글과 그림을 받고 자랑하듯 시를 짓곤 했던 듯 하다. 한편으로는 자기 컬렉션을 소재로도.. 2023. 11. 30. 파발 봉수를 퇴출한 전보 왕국, 138년 만에 막 내린다 조선 말 이 땅에 전보가 들어왔을 때 모습을 상상해서 그려봤습니다. 띠띠 띠띠띠 뭘 누르기만 하면 저 멀리서 내용을 읽을 수 있다니 얼마나 놀라웠을까요. 20세기도 아니고 1890년대, 모스 부호 발명부터 불과 50년 만에 한글 모스 부호를 만들었단 사실이 지금은 더 놀랍죠. *** Editor's note *** 위급한 소식이나 축하를 전할 때 한때 애용한 통신수단 전보電報가 역사 속으로 사라진단다. 그 대체물이 많은 요새 버텨낼 재간은 없었으리라. KT가 하던 ‘115 전보’ 서비스가 2023년 12월 15일부로 끝난다. 전보는 1885년 9월 28일 한성과 인천간 최초의 전신시설이 개통하면서 이 땅에 상륙했다. 운영은 한성전보총국. 이후 한성~신의주, 한성~부산, 한성~원산 간 전국망이 잇따라 선보.. 2023. 11. 23. 처음 찍은 게 맞다 북송의 성리학자 정호가 어느 날 창고에 앉아 있었는데, 심심풀이로 뒤채 행랑의 기둥 수를 세어 두었다. 그런데 다시 세어보니 맞지 않는 것이다. 할 수 없이 다른 사람을 불러다 소리내가며 세게 했더니 처음 센 게 맞았다. 이에 정호는 '집착할수록 안정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한다. 시험 칠 때 처음 찍은 게 맞는다는 것을 900여년 전에 알아차리신 위대한 명도 선생이시여. #시험 #겐또 #찍기 2023. 11. 20. 젊은 소정小亭, 폭포를 그리다 근대 한국화단에는 숱한 화가가 있었다. 하지만 그 가운데 그림솜씨로 역사에 이름을 남긴 이는 적고, 또 그 중에서도 처신을 흠잡을 구석이 드문 분은 더욱 적다. 그 적은 사례 중 한 분이 바로 소정 변관식(1899-1976)이다. 오원 장승업(1843-1897)의 제자뻘인 소림 조석진(1853-1920)의 외손으로 태어난 그는,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조선총독부 공업전습소工業傳習所 도기과陶器科에 입학해 도자기 만드는 법을 배운다. 그리고 이를 마친 뒤엔 외할아버지가 간여하던 서화미술회에 드나들며 그림을 배운다. 1920-30년대 변관식은 서화협회전, 조선미술전람회에 여러 차례 작품을 내는데, 조선미술전람회에서 두 차례 특선을 거두면서 기량을 널리 인정받는다. 1925년부터 4년간은 일본에 건너가 고무로 스이.. 2023. 11. 19. 더덕을 자신 선화봉사고려도경의 저자 서긍 선생님 1123년, 고려에 사신으로 왔던 서긍(1091-1153)은 그의 책에 다음과 같은 글을 남겼다. 순천관에서 매일 제공하는 반찬[日供食菜]에는 더덕[沙蔘]도 있었다. 그 모양이 크고 부드러워 맛이 있는데, 약으로 쓰이는 것은 아니다. - 권23, 풍속2, 토산 중에서 고려 사람들도 더덕을 더덕구이나 더덕무침이나, 뭐 여러 가지로 만들어 반찬으로 먹은 모양이다. 이때는 고추가 없었다. 그러니 더덕 껍질을 벗기고 잘라서 넓게 펴가지고 고추장 발라 기름 두른 번철에 살짝 구워낸 더덕구이 같은 건 없었겠지만, 더덕 향과 맛은 외려 요즘보다 더 좋았겠다. 그런 더덕을 고려에 있는 동안 날마다 먹었다니 아아! 부러워라 서긍 선생이여. 2023. 11. 1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8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