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29

담헌을 만나는 길 3-장산리 석불입상 그리고 홍대용 생가터 홍대용과학관 아래엔 작은 집 한 채가 더부살이하듯 있다. 일부러 그쪽으로 좀 돌아서 내려가보니 '천안 장산리 석불입상'이라고 고려시대에 만든 돌부처시란다. 기둥모양 통돌을 깎아서 서 있는 부처를 만들었는데, 퍽 두꺼운 옷을 입으셔서인지 옷주름이 섬세하진 못하지만 제법 소박한 맛은 난다. 또 대좌에 '장명리 향도'란 글씨가 새겨져 있다니, 고려시대 이 지역 백성들이 한데 모여 이 분을 새기고 세웠을 장면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런데 보호각 앞 설명문을 보고 웃음이 나오지 않을 수 없었다. "풍만한 얼굴에 자비로움이 가득하고, 코는 무속적인 습속으로 훼손되었다." 라라나? 실제로 이분 코는 뭉그러진지 오래인지 시멘트로 때워져 있었다. 문제는 코뿐만 아니라 입과 눈에도 모두 시멘트가 베풀어졌는데 이 찬자께서 어.. 2024. 1. 1.
부여 수북정水北亭에서 이 부여라는 곳에 오면 금강은 백마강이라 불러야 맛이 난다. 임금 행차에 바위가 절로 뜨끈해졌다는 자온대自溫臺 위에 조선의 선비는 정자를 올렸다. 백제 700년 사직이 저 강물에 떠내려 간지 오래인데 자동차 소리는 참 무심히도 그 강 위를 울려퍼진다. 멀리 부소산성이 보이는데, 흘러간 옛노래만 그 시절을 기억할는지. 백마강 달밤에 물새가 울어 잊어버린 옛날이 애달프구나 저어라 사공아 일엽편주 두둥실 낙화암 그늘에 울어나 보자 고란사 종소리 사무치는데 구곡간장 올올이 찢어지는 듯 누구라 알리요 백마강 탄식을 깨어진 달빛만 옛날 같구나 - 조명암, 가사 https://www.youtube.com/watch?v=G4XaI76rFb8 2023. 12. 31.
부평초 같은 인생, 풀 한 포기만도 못하네 무위당 장일순 선생이 이종철이라는 분께 난 한 폭을 쳐 주면서 이렇게 화제를 써 주었다. 뜬구름 같은 인생, 대지에 핀 풀 한 포기만 못하다네 2023. 12. 31.
개성도서관장이 본국 의원한테 보낸 1937년 감사 편지 교토에 살던 후쿠다 세키지로(1882-1979)란 사람이 있었다. 야마구치현 출신으로 간사이법률학교 졸업 후 제약회사 사장, 비료회사 사장 등을 지낸 뒤 정치에 몸을 던진다. 교토시 의원, 교토부 의원을 거쳐 1932년부터 1942년까지 3연속 중의원 의원을 지낸 그는 1945년 이후 두 차례 의원 선거에 출마하지만 낙선하고, 정계를 떠났다. 10선도 모자라 자손에게까지 지역구를 물려주는 요즘 일본 의원에 비하면 짧게 끝낸 편. 그러고 구순을 훌쩍 넘겨 살았다(정계를 떠나서였는지?). 그런 후쿠다 상은 젊은 시절 한국에서 잠시 소학교 교장을 지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런 자료가 다 보인다. 대정 12년(1923)인지 소화 12년(1937)인지 모르겠지만 아마 그가 중의원 의원을 지내던 1937년이겠지 .. 2023. 12. 31.
담헌을 만나는 길 2-천안 홍대용과학관 담헌 홍대용이 '과학자' 곧 Scientist였는지는 둘째치고, 그를 '과학자'라 부르는 걸 그가 들었다면 과연 뭐라고 했을까? 우선 "과학자란 무엇이오?"라고 물었겠고, 그 뜻을 어설프게 알면 화를 냈겠으며, 간곡한 설명이 곁들여진다면 심각한 얼굴로 고개를 끄덕이거나 내저었을지 모른다. 홍대용, 그의 고향 마을 산자락에 세워진 '홍대용과학관'에 가면서 든 생각이었다. 천안 장산리, 눈이 비가 되어 추적추적 내리는 와중이었다. 홍대용의 생애, 그의 사상, '과학' 체험기구, 천문 관측 같은 데서 보이는 우리 조상의 과학정신, 태양계의 구성과 별자리...과학관 안은 이런 구성이었다. 소행성 이름으로 붙을 정도로 위대한 조선의 '과학자' 홍대용을 기리면서 어린이들에게 우주, 과학(기술)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 2023. 12. 30.
담헌을 만나는 길 1-홍대용 선생 부부의 묘 솔직히 나는 담헌 홍대용(1731-1783)이란 인물을 잘 모른다. 단지 고등학교 때 그가 베이징에 다녀오며 지은 을 번역한 를 꽤 재밌게 읽었던 적이 있고, 중고등학교 역사 시간에 박지원(1737-1805), 박제가(1750-1805)와 함께 '북학파'로 묶이는 사람으로, 또 국어 시간에 "의산문답"이나 "홍덕보묘지명"으로 만나는 이름에 청나라 선비 엄성과의 우정 정도를 기억할 따름이었다. 그러니 그를 만나기엔 퍽 얕은 지식을 가진 셈이다. 하지만 무식하면 용감하다잖는가? 그 유명한 병천순대로 내장을 채울 즈음, 근처에 볼 만한 데가 있나 해서 찾아 보니 '홍대용선생묘'가 1km 안에 있다지 않는가. 옳거니 싶어서 자동차를 몰았다. 들어가는 길 한 켠에 차를 세우고 살살 걸어갔다. 묘는 제법 관리가 잘.. 2023. 12.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