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探古의 일필휘지515 조선 땅에서 처음 커피를 마신 이들 푸른역사에서 나온 라는 책을 보면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다. 천주교 박해가 그리 노골적이지 않던 1850-60년대, 조선에는 프랑스 외방전교회 소속 주교와 신부들이 알게 모르게 들어와 있었다. 그들은 미사나 전도에 필요한 서양 물품들을 홍콩을 통해 극비리에 주문했고, 다양한 밀수 경로를 거쳐 받아보곤 했다. 약 1년이 걸렸다니 요즘 감각으로는 느려터졌지만 그때로서는 초고속 아니었을까. 어쨌건, 이 땅에 천주의 가르침을 전파하러 온 이들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 주문한 물건 중에 커피가 있었다. 그것도 수십 kg에 달하는 양으로. 이 책의 저자는 그 이유를 선교에서 찾았다. 선교 과정에서 신부들은 주변의 조선인 신자들에게 커피를 권했고, 그들이 차츰 즐기게 됨에 따라 수요가 생겼다는 것이다. 그러니 이 시커멓.. 2022. 7. 17. 아버지 장송도 하기 전에 장가 간 화원 김명국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이라고 하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분이 많을 줄로 알지만, 그를 빼놓고 조선 중~후기 역사를 논할 수 있을까? 이는 정치사나 학술사에만 국한하지 않는다. 실제로 그가 남긴 글을 읽어보면 여러 방면에 걸친 꽤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이 실려있다. 권33에 실린 편지 한 통도 그에 속한다. 1659년 시남市南 유계(兪棨, 1607~1664)에게 보낸 글이다. 이때 송시열은 이조판서(지금으로 치면 행정안전부 장관?)였고 유계는 병조참지(지금으로 치면 국방부 국장?)였다. ... 또 한 가지 일이 있네. 저번에, “북부北部에 윤리倫理를 거스른 사람이 있는데도 부관部官이 적발하여 보고하지 않았으니, 이는 직책을 다하지 못한 것이다…….”라 한 말을 듣고, 그 허실虛實을 .. 2022. 7. 17. 오랜만에 다시 그린 이규보 선생 푸른 옷 입은 작은 아이 하얀 살결 백옥 같구나 굽힌 무릎 무척 공손도 하고 이목구비는 뚜렷하도다 진종일 게으름 용납 안해 물병 들곤 벼룻물 바치누나 난 본디 시 읊음 좋아해 시 쓴 종이 날마다 천 장이라 벼루 마르면 게으른 종 부르니 게으른 종놈 귀먹은 척이라 천 번이나 불러도 답 없으니 목이 쉬어서야 그만두었다 네가 옆에 있어 주고부터 내 벼루 마를 날 없구나 네 은혜 어찌 갚으리오 조심히 지녀 깨지나 말아야겠다 幺麽一靑童。 緻玉作肌理。 曲膝貌甚恭。 分明眉目鼻。 競日無倦容。 提甁供滴水。 我本好吟哦。 作詩日千紙。 硯涸呼倦僕。 倦僕佯聾耳。 千喚猶不應。 喉嗄乃始已。 自汝在傍邊。 使我硯日泚。 何以報爾恩。 愼持無碎棄。 - 권13, 고율시, 중 '녹자연적자' ㅡㅡㅡ 별로 기다리신 분은 없으셨을 줄 압니다. 사실.. 2022. 7. 15. 평양 대동문 상량문 일제강점기 평양 대동문을 해체하면서 나온 상량문. 숭정 8년 을해에 대들보를 올렸다니 1635년, 병자호란 직전의 일이었다. 상량문을 쓴 사람은 단군전 참봉 강우성. 그런데 여기 보면 '도령'과 '도서기', '재목작류 겸 감조도총섭', '간사'가 '승' 아무개, 곧 스님이었다고 나온다. 건축가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지 몰라도, 적어도 승려들이 이런 큰 건물을 짓는 데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연말에 중박에서 하는 승려장인전에서 이러한 점도 다룰는지 모르겠다. (2021. 6. 29) 2022. 6. 29. 제주목사 홍종우, 산방산에 오르다 개화의 시대,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사람은 많고 많았다. 하지만 홍종우(1850-1913)만큼이나 굴곡 심한 인생을 살았던 이는 몇이나 될까. 지금은 김옥균(1851-1895) 암살범이란 꼬리표로 기억되는 인물이지만, 사실 그는 일찍이 프랑스 유학을 갔던 지식인이고 이른바 광무개혁의 주축 중 하나였다. 그런 그가 제주에 온 적이 있었다. 가혹한 수탈과 프랑스 선교사들의 공격적 전교가 원인이 되어 일어난 이재수의 난(1901) 수습을 위해 대한제국 내각은 프랑스통인 그를 제주목사로 임명한다. 그는 2~3년 남짓 목사 자리에 있었는데, 이를 두고 국어학자 김윤경(1894-1969)은 "제주도의 나폴레옹"이었다는 평가를 내렸다. 제주를 코르시카나 엘바 섬이 아닌, 세인트헬레나에 비유한 것이었다. 어쨌건 그는.. 2022. 6. 27. 책 없는 홍문관弘文館 시독관侍讀官 홍경모(洪敬謨, 1774-1851), 검토관檢討官 강세륜(姜世綸, 1761-1842) 등이 아뢰기를, "홍문관은 바로 경적經籍을 비치하여 강연講筵에 대비하는 곳입니다. 그런데 경서經書 가운데 《예기禮記》가 한 질도 없어서 연전 소대召對 때에 《예기》를 가지고 들어오라는 명이 있었으나 드리지 못하였으니, 강연의 사체가 전혀 말이 아닙니다. 외간에도 판본板本이 있는 곳이 없으니, 이때 활자活字로 인쇄하여 홍문관에 간직해 두고 홍문관에서 또 몇 질을 인쇄하여 외간에 널리 반포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주역》으로 말하면 홍문관에 있는 것이 안책案冊과 상하번上下番의 책뿐이니, 판본이 있는 곳에 공문을 보내어 인쇄해서 가지고 오도록 하고, 선정신先正臣 이황李滉의 문집도 인쇄해서 가지고 오도록 하는 것.. 2022. 6. 15.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8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