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73

공주 송산리고분군, 그 현황과 개괄 이번에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공주 송산리고분군 제29호분을 재발굴하고는 그 성과를 공개했으니, 송산리고분군에는 땅속에 매몰된 상태에 있던 29호분을 제외하고는 현재 7기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다. 이를 일련번호를 붙여 구분하곤 하는데, 그 번호 양상이 아래 첨부하는 도판과 같다. 보다시피 송산리고분군은 그 위치에 따라 크게 두 개 군집으로 나눌 만하다. 무령왕릉을 꼭지점으로 그 전면에 5호분과 6호분이 위치하는 뭉치가 하나요, 나란히 1렬을 이룬 1~4호분이 또 다른 군집이다. 저 1~4호분 뒤에도 무덤으로 생각하던 흔적이 있어, 무령왕릉 발굴 뒤인 1970년대인가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했지만 무덤이 아닌 제단祭壇 같은 시설로 드러났다. 그 모양은 흡사 석촌동 방단적석총과 같았으니, 3단이었고 공.. 2021. 6. 30.
Living with King Sejong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야외를 장식한 옛 영릉 석물 중 무인석이다. 이 분은 문인이다. 내곡동 본래 세종무덤을 여주로 뽑아다 옮기면서 본래 석물은 땅에 묻었으니 이 분들이 바로 그들이다. 2021. 6. 22.
1783년 변박卞撲이 그린 초량왜관 변박 필 왜관도 卞撲筆倭官圖 Painting of Waegwan, Japanese Settlement in Korea by Byeon Bak 1783 | 변박卞撲 생몰년 미상 | UNESCO 세계기록유산 통 신사 기록물 |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동래부 화원畵員 변박(생몰년 미상)이 그린 초량왜관 그림이다. 용두산을 기준으로 동관과 서관이 있고, 등판에 재판 · 교역 등 업무를 보는 관청과 각종 상점, 서관에 일본 사절이 있는 행랑이 있다. 그림 우측 하단에는 배를 댈 수 있는 선창이 있다. 국립민속박물관 부산 특별전에 출품 중이다. 내가 의아한 것은 이것이 왜관 자체인지 아니면 왜관을 관리하던 조선 관아 건물군인지다. 그림이 포착한 것은 아마 후자가 아닌가 싶지만 혹 왜관 자체까지 포함하는지도 모르겠다. .. 2021. 6. 13.
신장 190㎝ 남오성 장군의 묘 기념물 Memorial Stone and Other Stone Objects from Gen. Nam O-seong's Tomb 18th Century Donated by descendants of Gen. Nam O-seong This memorial stone, pair of civil official statues, altar, and incense burner stand are from the tomb of General Nam O-seong, which was discovered in Seoksan-ri, Taean-eup, Taean-gun of Chungcheongnam-do in 2002. Born in 1643, Nam O-seong passed the military service state .. 2021. 6. 12.
추사고택, 장가 잘가 불하받은 아빠찬스, 그리고 그것을 관통하는 그랜드디자인 충남 예산 추사고택을 다음위성지도에 얹어보면 이렇다. 유의할 점은 전체 건물군 배치는 남향을 지향하되 동서축을 형성한다는 대목이다. 매표소와 화순옹주 홍문이라 표시된 오른쪽 중간이 전체 대문이라 그 방향이 동쪽인 까닭에 이 고택은 남대문이 없고 동대문으로 대문을 삼았다. 그 대문을 들어서면 앞마당에 ㄱ자 모양 사랑채가 나타나고 그것을 지나면 ㅁ자형 안채가 자리한다. 건물채 맨왼쪽 상단에 남북방향으로 길게 자리잡은 작은 건물이 사당이다. 건물군 중심인 사랑채와 안채는 동서방향으로 배치되었지만 남향이다. 이것과는 달리 남북 장축인 사당은 동향이다. 이 모형은 동쪽에서 서쪽 방향을 향한다. 동대문과 사랑채 안채 그리고 오른쪽 상단 귀퉁이 사당이 동향한다. 이 그림 역시 같은 동쪽에서 서쪽을 향한 시점이다. 오.. 2021. 6. 7.
빌렌도르프 비너스, 구석기시대의 비만클리닉 10.8 x 5.4 x 4.0 cm Die Venus von Willendorf 이라 일컫는 대략 2만3천년 전 구석기시대 돌조각이다. 영어로는 The Venus of Willendorf 이라 하니 위키피디인 관련 항목에선 높이를 11.1 cm 이라 하는데 이번에 한국에 오는 과정에서 영점이미리미터를 까먹었는지 규격을 저와 같이 적는다. 혹 같은 지역 다른 석조각인가 모르겠다. 국립중앙박물관이 마련한 구석기 특별전에 선보였으니 재료는 석회암이라 무른 돌이라 새기기는 쉽다. 살피니 난닝구 같은 웃옷을 양쪽 젖 위까지 말아올린 모습이라 애초 배꼽티였는지는 모르겠다. 저 시대 미적 감각을 알기는 어려울 것이니 저런 모습을 비너스라 했으니 훗날 탄생한 비너스가 지금도 살아남아 저꼴을 본다면 내 몸매 어디가 저외.. 2021. 5.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