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화재현장2156 아라가야의 말갑옷[함안 마갑총 마갑咸안馬甲塚馬甲] 국립중앙박물관 가야본성 특별전 출품작 중 함안 마갑총馬甲塚 출토 마갑馬甲, 그러니깐 말한테 덮어씐 철제갑옷이다. 이 정도 무게면 말이 찌그러 앉았을 듯 하니, 이런 말이 무슨 기동력이 있겠는가? 날 잡인잡아가시오 시위하는 거랑 무슨 진배가 있겠는가? 이건 1993년인가 95년인가 그 무렵 공사하다가 발견되어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가 긴급조사한 아라가야 지배층 무덤인데 그 출토 유물 중에 저 마갑이 유명하대서 나중에 그 무덤을 마갑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이번 전시에서 이 마갑총이 어떠한 곳이며 이를 출토한 무덤은 어떠한데 저 마갑은 어떤 맥락에서 발견되었고 보존처리과정 역시 간단한 설명 혹은 도해가 있었으면 하지만 그것이 없어 마이 아쉽다. 애니웨이 이 마갑총이 새삼 궁금해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제공하는 한국고고.. 2019. 12. 17. 경기감영도京畿監營圖 리움이 소장한 이 그림을 흔히 경기감영도라 하나, 그림이 포착한 풍광 중심을 그것이 지금의 강북삼성병원 자리에 있던 경기감영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경기감영도인지는 모른다. 실제 이 그림에는 그런 화제畵題가 전연 없어 후대 누군가가 경기감영도라 부르기 시작한 것을 그대로 따름이 분명하다. 누가 이 그림에다가 이런 이름을 붙였는지를 모르겠다. 세부 장면 하나하나는 사회문화사로 풀어야 한다. 2015년 12월..리움에서 개최한 한국건축예찬전 출품 때 촬영한 장면들이다. 2019. 12. 16. Hugging Achasanseong Fortress December 15, 2017 아차산성을 부둥켜 안고서 峨嵯山城を抱きしめ 2019. 12. 16. 정선 아우라지의 떼무덤 아래 정선 아우라지 벌집형 무덤 유적은 나로서는 해직기간에 있었던 일이라 현장감 혹은 현실감이 전연 없다. 이건 뭐 그물코처럼 만들었는데, 발굴보고서가 나왔는지는 모르겠다. 무덤을 이렇게 조성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저리 쓸 수밖에 없던 필연이 있었던 것이니 몰살沒殺이다. 무슨 이유에서인지 몰살이 있었고, 그 몰살한 시신들을 한꺼번에 매장하다 보니 저 꼴이 벌어진 것이다. 경관京觀이라 부르는 전승자들의 패자들을 위한 떼무덤일 가능성도 없지는 아니한 것으로 본다. 조사자들이 어찌 해석했는지는 모르겠다. 그나저나 이 현장은 우째된겨? 당연히 보존인데 깔아뭉갰나? 2017年に発掘調査された江原道旌善郡アウラジ遺跡でムドムバン51を備えた、いわゆるハニカム古墳が発見された。この発掘は私としては解職期間にあったことだと臨場感や現実.. 2019. 12. 15. 춘천 중도 고인돌묘 Dolmens excavated at Jungdo Island, Chuncheon 10th Century B.C. or so, Bronze Age 춘천 중도유적 고인돌묘 春川中島遺蹟支石墓 2014. 12. 4 2019. 12. 15. 에디오피아 악숨Axum 왕조와 만지리Manjil 막 전라도 장성 땅을 밟고온 인도 친구를 접수했다. Dr. Manjil Hazarika 만지리 하자리카 인도 아쌈Assam주 Cotton College State University 고고학부 조교수다. 물으니 데칸대학에서 이디오피아 고대 왕국인 악숨Axum 왕조 고고학으로 석사학위를 하고 스페인으로 건너가 선사고고학으로 다시 석사를 하고는 스위스로 건너가 악숨 왕조 고고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다. 인도에선 주로 신석기 고고학을 연구한단다. 이디오피아에선 직접 악슘 유적을 발굴했단다. 악슘을 위키피디아로 검색하니 왕조 존속 기간이 신라와 거의 같다. 각중에 이디오피아가 가고 싶다. 인도고고학이야 워낙 영국 영향 아래 그 연원이 깊거니와, 단순히 그걸로 이들 고고학의 국제성을 논할 수는 없다. 저들은 .. 2019. 12. 15. 이전 1 ··· 273 274 275 276 277 278 279 ··· 36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