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재현장2134

[발칸기행](2) 다시 찾은 포세이돈 수니온 베이 수니온 베이부터 찾았다. 달라진 풍광은 없다. 낮이 한창인 시간이라 투숙하기 전 마뜩히 커피 한 잔 하고 저녁 할 데를 찾으니 그래도 가 본 데가 편하다 해서 왔다. 저 포세이돈 신전 인근 같은 곶 끝 지점엔 신전 하나가 더 있으니 전쟁의 여신 아테나를 봉헌하는 데다. 잘 몰라 잘 안 가는 데며 얼마전 댕겨간 춘배는 아마 흘려버렸을 듯 한데 모르겠다. 가 봤다 우길지. 2024. 10. 12.
잽싸게 한강 영업 나선 송파책박물관 물 들어올 때 노 저어야 한다. 전광석화 같아야 한다. 날마다 서는 장이 아니다. 송파책박물관이 잽싸게 한강 책만 간이로 내어 놓았다. 노벨문학상 위력은 대단해 저를 정신없이 읽더랜다. 알아야 면장을 하지? 뭔가 할 말이라도 있으려면 위선은 내용 줄거리라도 알아야니깐 말이다. 사진은 저짝 동네 김예주 선생 제공이다. 하긴 책박물관이니 저만한 컬렉션을 구비하지 않았겠는가? 2024. 10. 12.
쪽샘 마갑을 실측하는 당신 2009년 경주 쪽샘유적 동편 신라고분Ⅹ-C10호 목곽묘에서 5세기 무렵 신라시대 마갑을 조사하는 장면이다. 이 발굴 당시 장안의 화제였다. 저 분 누구일까? 나도 몰랐다. 훗날 본인이 신원을 드러냈다. 실측하는 연구원은 황수진 선생이라 당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연구원이었다. 지금은 대구근대역사관 학예연구사로 근무 중이다. 저 분 전력을 조사하면 부경대학교 화학공학과 전공이라, 나중에 부산대 고고학과를 다닌 것으로 안다. 2024. 10. 11.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파르티아에 승리한 로마의 기념물 포로 로마노 Fora Romano [영어로는 로만 포럼 Roman Forum 이라 한다] 가 본격 발굴되기 이전 그 한 장면을 담은 1742년 카날레토Canaletto 그림이라, 그림은 영국 Royal Collection이 소장한다. 저 그림 주인공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Arch of Septimius Severus이다. 이태리에서는 아르코 디 세티미오 세베로 Arco di Settimio Severo 라 일컫는 저 유산은 포로 로마노 북서쪽 끝에 남았으며 서기 203년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Septimius Severus 황제와 그의 두 아들 카라칼라Caracalla와 게타Geta가 파르티아에 승리한 일을 기념하고자 헌정된 흰색 대리석 개선문이다. 베네치아 광장 쪽에 있다. 로마는 서기 194~1.. 2024. 10. 11.
왕립호텔 혜음원의 탄생 이 혜음원지는 단국대 매장문화재연구소 작품이라, 이 발굴을 시작할 무렵만 해도 저 연구소가 경기도 일대 주요한 유적은 거의 독식하며 발굴하던 시절이었으니 마침내 저 혜음원지가 발굴에 들어가며 화려하게 등단하기 시작할 무렵 저를 어찌 규정할지가 나로서도 무척이나 고민이었다. 이를 위해 동문선이 전재한 김부식 혜음원기를 참말로 숙독 숙독하곤 했으니 저 동문선東文選 권 제64 기記에는 고려왕실이 혜음원을 세우면서 그에 즈음해 김부식이 쓴 그 창건 내력을 정리한 혜음사신창기惠陰寺新創記라는 글이 있으니, 이는 고려 산문을 대표하는 명문 중의 명문이라 나로서는 이 글을 숙독을 거듭하기도 한 기억이 생생하다. 당시 저 단국대 매장문화재연구소는 박경식 형이 한창 현역으로 활동할 무렵이라 저 혜음원을 하나 상품으로 만들.. 2024. 10. 6.
베수비오 화산재를 뚫고나온 불의 신 헤파이스토스 서기 79년 베수비오 화산 폭발에 매몰한 고대 로마 도시 헤르클라네움Herculaneum, 지금의 에르콜라노 출토 기원전 1세기~서기 1세기 무렵 로마시대 대리석 부조에서 드러나는 불의 신 헤파이스토스Hephaestus 상이다. 현재 나폴리 고고학박물관이 소장한다. 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원래 소아시아Asia Minor와 인접한 섬들(특히 렘노스Lemnos)의 신이었던 헤파이스토스는 리키아 올림푸스Lycian Olympus에서 중요한 예배 장소가 있었다. 그를 향한 숭배는 늦어도 기원전 600년쯤에 아테네에 이르렀고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지금의 나폴리 일대 이탈리아 반도 캄파니아Campania에 이르렀다. 그의 로마 버전은 불칸Vulcan이다. 신화에 따르면 헤파이스토스는 절름발이로 태어나 어머니 헤라.. 2024. 10.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