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258 찐밥만들기는 조와 기장 때문에 발명된 것인지도 모른다 쌀과 보리를 쪄서 먹을 때 부담스러운 것은 익혀서 부드러워지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쌀이 도정이 충분치 않아 현미 비스무리 할 때는 쪄서 먹으면 보리와 막상막하다. 그래서 거칠다는 느낌을 준다. 필자 생각에는 조와 기장을 쪄서 먹게 되면 상당히 맛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다. 조와 기장을 다른 곡식과 끓여 취사하게 되면 다른 곡식이 익을 때까지 끓여야 하므로 조와 기장은 너무 익힌 모양이 되는데, 이는 결국 조와 기장의 낱알 크기가 절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낱알 크기가 작은 조와 기장의 경우 쪄서 먹게 되면 오히려 끓여 취사하는 것보다 더 나을 수도 있겠다고 본다. 조만간 그렇게 먹어보겠다. 2024. 2. 2. 이미 다 알던 것이라는 데 대하여 우리가 이미 다 알던 것이라는 것은 사실은 제대로 된 논의를 막는 도그마, 정교하게 구축된 파라다임인 경우가 많다. 자연과학에서는 이런 경우가 있다. 노벨상 수상자 중에도 이런 경우가 있는데, 오랜동안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것을 어느 날 그게 아니라고 발표한 내용이 느닷없이 노벨상을 받는 것이다. 그 보고가 있기 전에는 모두 실험이 잘못되었거나 아니면 잘못된 관찰이었다고 이야기 되던 것들이다. 그런데 이렇게 파라다임이 뒤집힌 보고가 한 번 나오면 그 다음에는 나도 그런 것 봤다는 후속보고가 잇따르고, 그건 원래 있던 것인데 운이 좋은 보고라는 말까지 나온다. 학문에는 논문으로 정확히 인용되고 보고된 것이 아니면 "원래 다 알던 것"이란 없다.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은 정말 반성해야 한다. 2024. 2. 2. 남자들이 바뀐 것은 군대 때문 군대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가 있겠지만 그것이 좋은 의미건 나쁜 의미건 간에 한국과 일본의 남자들의 성격이 바뀐 것은 양국의 군대 때문이다. 한국의 징병제로 남자들은 무조건 집을 떠나 2-3년간 (필자 때는 그랬다) 강제로 총을 들어야 하는 시절이 있는 것과 2차대전 이후 일본이 자위대라는 군대 아닌 군대 시스템으로 운영한 것이 양국의 남자들 성격을 정말 많이 바꾸었다. 이를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양쪽 어느 쪽으로도 볼 수도 있겠지만, 60년대 이후 90년대까지 고도성장기에 보여준 한국사람들의 무지막지한 저돌성은 병역의 경험이 없었다면 나오기 힘들었을 것이라 본다. 심지어는 LA폭동 당시 미국땅에서 총으로 무장하고 옥상에서 폭도를 제압하는 장면은 교포들의 군 경험이 없으면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 하.. 2024. 2. 1. 남아시아 고고학회 최종 Circular 4월 4일-7일 인도 Patna의 Bihar박물관에서 열리는 남아시아 고고학회 최종 CIrcular가 나왔습니다. Participants are requested to submit their full paper by 15th March 2024. The organising committee will publish them in the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참가자들은 3월 15일까지 발표 내용을 보내달라고 합니다. full paper라고 했지만, 여기는 제 기억으로는 초록을 받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자세한 것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세요. 2024. 2. 1. [60 전후] 망하는 학회의 특징 망하는 학회는 특징이 있다. 젊은 친구들이 학회에서 보이지를 않는 것이다. 가 보면 영감님 들만 바글바글하다. 학회에 갔더니 젊은 친구들은 없고 왠 영감님 들만 바글바글하다 싶으면 그 학회는 이제 문닫기 시작했다고 보면 된다. 요즘 젊은 친구들도 눈치가 보통이 아니라서 영감님들 많은 데는 안 간다. 그런데는 대개 학회 모임 공고보다 부고장이 더 많이 오며 학회지에 논문 투고 좀 해달라는 메일만 애타게 날라온다. 젊은 친구들이 설쳐서 망한 학회는 유사이래 없었다. 반대로 영감님들이 바글 바글 한데 흥한 학회도 없었다. 2024. 2. 1. [60 전후] 새로운 인생 대학에서 소위 교수로 밥 먹고 산 사람들은 60넘어가면 현직 시절에 해 놓은 업적을 판돈 삼아 여생을 보낼 생각일랑 아예 버려야 한다. 앞에도 썼지만 요즘 필자도 그동안 연구를 정리해 보니 아무리 대단한 논문도 10년 넘어가면 전부 쓰레기통으로 직행이니 현직에 있을 때 쓴 논문들은 아예 그건 없다 생각하고 60이후의 인생은 60이후에 새로이 만들어 내는 것으로 살아가야 한다고 생각해야지. 그 이전에 뭐를 했건 다 소용없다. 특히 60 넘어서 학회활동을 하는 거야 좋은데 그것도 자신이 5년 이내에 산출한 연구 보고를 가지고 활동해야지 당신이 60 이전에 이룬 것은 60 되기 전에 책으로 묶어 내서 도서관에 넣어버리고 깨끗이 잊어버리고 새로 인생을 설계해야 한다. 2024. 2. 1. 이전 1 ··· 162 163 164 165 166 167 168 ··· 37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