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9 신라인들은 왜 당에서 귀국하지 않았을까 흔히 당으로 간 신라인을 이야기 할 때, 당이라는 세계가 가진 개방성, 국제성, 그리고 이에 반해 골품제로 상징되는 신라사회의 폐쇄성을 이야기 한다. 전혀 틀린 말은 아니다. 현대 국가에도 패망시킨 나라의 왕과 장군을 잡아와 자국의 고위직 관리로 등용하여 쓰는 경우는 없으니까 말이다. 빈공과 급제자를 자국에 취업할수 있게 하는 것도 놀라운 개방성이다. 이 정도의 개방성을 갖춘 나라는 동아시아에서는 당나라, 그리고 한반도에서 사람들이 물밀듯이 건너가던 고대국가 성립기의 일본 정도가 되지 않을까. 한 가지 이 문제에 있어 잊고 있는 것이 있다. 그 당시 사람들이 신라가 폐쇄적이라서 당으로 가서 거기 눌러앉았는지 어떤건지 필자로서는 확신할 수 없지만, 한 가지 가능성으로 이야기 할 수 있는 것은 어느 시기의 .. 2023. 4. 22. 유사의학과 유사인문학의 경계에서 협동연구, 학제간 연구, 통섭적 연구 다 비슷한 소리인데 결국 어떤 사실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분과적 시각을 극복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봐야 한다는 뜻이 되겠다. 얼핏 듣기에는 좋은 말인데 사실 이런 작업을 하다 보면 기대한 성과보다 얼토당토 않게도 비전문가적 수준의 함정에 빠지기 쉽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필자의 경우 의대에서 녹을 먹으며 살고 학생들에게도 의과대학 과목을 가르치고 있는데 연구 분야는 소위 말하는 협동연구 학제간 연구 통섭적 연구라는 간판을 걸고 작업을 하다 보니, 항상 가장 두려운 것이 유사의학 (pseudo-medicine), 유사인문학 (pseudo-humanities) 수준에 머물러 그런 평가를 받게 되는 것이었다 할 수 있다. 지금 그 수준은 넘어선 것인지 아니면 거대한 유사학문.. 2023. 4. 20. 식민사관의 극복은 무엇으로 했는가 역사연구로? 천만에. 역사연구로 소위 식민사관이 극복된 것이 무엇이 있는가. 필자가 굳이 지적하지 않더라도 냉정하게 자평해 보면 알 것이다. 한국에서 역사적 패배주의가 사라지기 시작하고 있는 것은 식민사관 연구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1950년대 이래 한국의 근대화가 성공하면서 역사적 패배주의, 정체론, 숙명론이 사라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앞으로 다가오는 세대에는 이런 경향은 완전히 사라질 것이다. 일본사를 공부하다 보면 뭔가 석연치 않고 논리에 구멍이 숭숭 뚫린 것 같은 이야기도 일본이 결국 자주적 근대화에 성공했기 때문에 면죄부를 받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때가 많다.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왠지 우리 이야기를 다른 나라 사람들이 이제 귀기울여 듣는 것 같은 느낌을 받기 시작했다면, 그 이유는 역.. 2023. 4. 19. 일본과 한국 근대화의 성패를 갈랐던 시대는 에도시대가 아니다. 에도시대에 일본과 조선이 엄청난 차이가 있는 줄 알고 이 시대를 엄청나게들 파는데. 실제로 양자간 결정적 차이가 발생한 시기는 메이지시대다. 한국사는 이 시대를 이미 "제국주의가 완성된" 일본이 조선을, 한국을 침략한 시대로만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고 이 시대 일본도 살아 남자고 죽도록 몸부림치는 시대였다는 말이다. 메이지시대, 우리로는 고종의 시대야말로 양자간 하나는 제국주의가 되고 하나는 식민지가 되는 결정적 시기였는데, 이 시기를 "일본 제국주의의 조선침략의 시기"로만 보다 보니 사실을 놓치는 면이 매우 많다. 에도시대? 조선이나 일본이나 거기가 거기다. 메이지시대. 매우 중요한 시대다. 한국학자들은 여기를 집중적으로 파야 한다. *** Editor's Note *** 조국근대화.. 2023. 4. 19. 진실로 미친 시대였던 17세기 도대체 어떻게 하자고 그렇게 죽도록 미치도록 성리학을 팠을까. 어떻게 하자고 그렇게 중국도 없어져버린 고례古禮를 여기다 구현한다고 남들 안보는 책을 죽도록 봤을까. 17세기란 시대는 진실로 미친, 제정신이 아닌 시대였는데, 한국이라는 나라가 수천년, 수만년 후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지는 날이 온다면 그 최후의 날까지도, 한국인들은 17세기를 두고두고 반성하면서 살아야 한다. 2023. 4. 18. 구리 공급지로서의 한반도 동남해안 삼국지를 보면, 변한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國出鐵, ··皆從取之. 諸市買皆用鐵, 如中國用錢, 又以供給二郡. 원삼국시대에 변한 지역에서 철이 났는데 이를 한과 예, 왜가 모두 가져다 썼다는 말이다. 심지어는 낙랑, 대방 2군도 이 철을 가져다 썼다고 한다. 그런데-. 한반도 광물지도를 보자. 정확히 변진 지역에 바글 바글 몰려 있는 구리 광산이 보이는지? 이 지역은 실제로 조선시대-일제시대 계속해서 우리나라에서 구리가 가장 많이 나던 지역이었다. 변진 지역이 철을 공급하기 이전부터 이 지역은 한반도 전역에 구리를 공급하던 지역이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금속 공급지로서 변진 지역 역사는 어쩌면 청동기시대까지도 거슬러 올라갈지도 모르고. 평양 일대 고조선도 여기서 구리를 대어 썼을지도 .. 2023. 4. 17. 이전 1 ··· 260 261 262 263 264 265 266 ··· 35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