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8 광개토왕비의 "신래한예": 동부여는 어디인가? (2) 광개토왕비에 의하면 광개토왕릉 수묘는 왕이 정복전에서 잡아온 사람들을 쓰도록 했다. 이에 관하여 비에 나와 있는 사람들이 바로 "신래한예"인데 어딘가의 정복전에서 잡아온 사람들일진데, 앞의 "한"은 분명히 백제에서 잡아온 사람들일 터, 문제는 뒤의 "예"가 어디서 잡아온 사람들일까? 광개토왕비 정복전을 보면, 신래한예의 "예"에 딱 맞는 사람들은 동부여 외에는 없다. 396년: 백제 토벌 398년: 식신 토벌 399년: 신라원조 404년: 왜와 대방에서 전투 407년: 확실치 않은 지역에서 전투 410년: 동부여 정벌 그렇다면 동부여가 "예"일까? 신래한예의 "예"는 두만강 유역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일까? 사실 이 동부여에 대해서는 그 실체가 두만강 유역이 아니라 삼국지의 "동예"와 같은 것이라는 주장을.. 2023. 4. 13. 광개토왕비: 동부여는 어디인가? (1) 광개토왕비에는 "동부여"가 나온다. 동부여는 흥미로운 나라다. 삼국지 동이전에는 동부여가 없다. 동예, 옥저, 읍루까지 나오는데 동부여는 없다. 현재 한국학계 통설에서는 동부여란 연변 지역이다. 여기 있었다면 왠만하면 삼국지 동이전에 기록이 나올 것 같은데 없다. 현재 동부여 위치를 두만강 하류 일대에 비정한 지도를 보면 동부여 위치가 옥저하고 읍루 사이에 끼어 있다. 그런데 삼국지를 보면 옥저와 읍루 사이에는 동부여가 없고 두 세력은 서로 접경하고 있다. 동부여는 한국측 기록에만 나오는 실체이다. 필자가 아는 한 삼국사기에 나오는 기록이 거의 유일하다. 그렇다면 동부여라는 나라는 그 실체가 모호한 것 아닌가 싶은데 흥미로운 부분이 있다. 광개토왕비에 동부여가 나오는 것이다. 그것도 아주 자세하게 나온다.. 2023. 4. 13. 세형동검이 수 백개는 녹아 들어갔을 성덕대왕신종 우리나라는 알다시피 구리가 잘 안 난다. 청동기시대 위세품으로 동검과 함께 석검이 많이 쓰인 것도 그런 이유일 터다. 뭔가 폼잡을 게 필요한데 구리가 워낙 안 나다 보니 석검으로 만들어 차고 칼자루만 세형동검처럼 위장하지 않았을까. 지난 주말에 학회를 참석하고 시간이 남아 경주박물관을 들렸다. 성덕대왕신종이 보였다. 그 규모에 새삼 놀라면서도 도대체 저 구리가 어디서 났을까 궁금해졌다. 아마 구리를 사오기도 했겠지만, 전해 오는 고물 청동기물도 많이 저 종 안에 녹아들어가지 않았을까. 에밀레 종 전설처럼 스님들이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시주를 받았을때 아마 돈을 내놓고 전답을 내놓은 사람들도 있었겠지만 청동기물을 내 놓은 사람도 많았을 것이다. 내 생각에 성덕대왕 신종에는 그때까지도 전해오던 세형동검 수 백.. 2023. 4. 13. 미친 고려인 대략 따져보니 11세기 초에서 13세기 중반까지 고려에서 새겨 찍은 초조대장경-의천교장-재조대장경이 권수로만 14000권 분량에 글자수는 대략 따져봐도 1억자를 훨씬 넘는데 미쳐야만 뭐든 남긴다는 말이 정말 맞는 말이다. 일제시대에 이 대장경판을 보고 외침에 미신으로 맞서려 했다는 비판 같지도 않은 비판을 저명한 일인 사학자가 남긴 것은 유명한 일화인데, 같은 시기 돌고래가 헤엄치는걸 보고 중요한 전쟁의 승패를 점치던 나라에서 할 소리는 아니었다 하겠다. 2023. 4. 13. 어려운 국문시 이건 전적으로 필자 개인 의견임을 전제하고 쓴다. 필자가 문학에는 문자 그대로 까막눈, 문외한인 탓도 있겠는데, 국문시를 보면 당시, 와카보다도 그 심리를 이해하기가 훨씬 어렵다. 단어를 아예 모르겠는 것도 있고, 단어를 알아도 도대체 뭔 소린지 알수 없는 시가 태반이다. 당시나 와카는 외국어라도 알 듯 모를 듯 해도 대충 이런 뜻이다 짐작이 가는데 반해 어리석은 백성이 하고자 하는 말이 있어도 시러 펴지 못할까 봐 만들었다는 한글 시인데 도대체 뭔소린지 알 수가 없다. 중국이나 일본의 현대시도 이런지? 물론 필자가 무식한 탓일 것이다. 2023. 4. 13. 오창석, 홍종하 교수 중요출토자료 전문기관 선정 오창석 교수의 을지대와 홍종하 교수의 경희대가 문화재청 선정 중요출토자료 전문기관이 되었습니다. 두 교수는 앞으로 우리나라 발굴현장에서 나오는 인골, 동물뼈, 미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것입니다. 20년전 불모지나 다름 없는데서 시작한 연구가 이제 두 교수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많은 성원 부탁합니다. 2023. 4. 10. 이전 1 ··· 263 264 265 266 267 268 269 ··· 35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