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8

교육열이 "망국병"이라는데 대해 지금까지 썼지만, 한국이 해방 이전 식민지 질곡에서 헤맨 것도 결국 요약하면 "못 배운 사람들이 가득한" 문맹자 절대다수의 사회였기 때문이고, 해방 이후 한국이 성취한 경제적 성공과 민주화도 교육열 없이는 이룩하기 힘들었다. 정부도 이 기간 동안 꾸준히 학교를 늘리고 대학을 증설하고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기간 동안 없는 나라 살림에 80년대 중반 대학생수 백만명을 넘긴 것은, 결국 자기가 먹고 써야 할 돈을 자식들 교육에 써 버린 그 당시 부모 세대들 때문이다. 이들의 희생이 없었으면 대졸자가 그렇게 많이 나올 수 없고, 박정희 김대중 아니라 그 양반들 할아버지가 와도 경제성장과 민주주의는 이룩하지 못한다. 가끔 한국의 교육열이 망국병이라던가, 대학을 다 갈필요 있냐, .. 2023. 3. 30.
1987년 왜 거리마다 대학생이 가득했는가 1987년 6월. 거리마다 반정부시위에 나선 대학생이 가득했다. 1980년. 즉각적인 민주화를 외치며 대학생들이 거리로 뛰쳐나갔지만, 결과는 우리가 본 바와 같다. 하나는 실패하고 하나는 성공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 주목해야 할 부분의 하나는. 아래와 같다. 5공화국 때 대학생 수는 이전보다 두 배가 불었다. 1985년 현재 전국적으로 대학생수가 120만명이었다. 참고로 4.19 때 대학생 수 10만 8천. 한일협정 즈음 대학생 수 13만 5천. 80년 서울의 봄 당시 57만명. 87년 6월 당시 120만명 이상. 이것이 87년 당시 가는 곳 마다 대학생 시위대가 가득했고 "넥타이부대"가 출현한 이유다. 아마 이 시대에 대학생수가 백만명을 넘기고, 대졸자가 "넥타이부대"로 존재하지 않았다.. 2023. 3. 30.
늑대와 개 英 동물원, 우두머리 죽자 나머지 늑대 4마리도 안락사 '논란' 송고시간 2023-03-29 19:08 동물원 측 "우두머리 수술 후 이상행동…최후의 수단으로 안락사" 英 동물원, 우두머리 죽자 나머지 늑대 4마리도 안락사 '논란' | 연합뉴스(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영국 스코틀랜드의 한 동물원이 우두머리 늑대를 수술 합병증을 이유로 안락사시킨 뒤 같은 무리에 있던 다른 늑대...www.yna.co.kr 여기에 알파 늑대 대신 개주인을 갖다 두면 그게 개를 이해하는 가장 쉬운 방법. 개는 개주인을 알파독으로 생각하고 있음. 2023. 3. 29.
내 할아버지 할머니들께 감사함 요즘 탈북자 유튜브가 많다. 이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대략 저쪽에서 어떻게 살고 있는지 감이 오는데 여기 살다가 월북한 집안 후손도 꽤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월북전 남한에 있을 때는 상당한 교육을 받고 남 부럽잖은 지위에 있던 사람들 자손인 듯 한 사람도 있는 것 같다. 아마 여기 그냥 살았다면 후손들도 훨씬 살기가 나았을 텐데, 해방전후 조상분의 판단이 후손을 막장으로 몬 셈이다. 내 조부, 조모, 외조부, 외조모께서도, 아마도 너무 배운 것이 없으셔서 복잡한 생각 없이 그냥 살던데 살았던 탓이 아닐까 싶기는 하지만, 북을 택하지 않고 남에 머물러 내가 여기서 살 수 있게 해준 데 대해 진심으로 감사한다. 아마 나는 주변머리가 없어 북에서 태어났다면 고난의 행군 때 백프로 굶어 죽었을 것 같다. 해.. 2023. 3. 29.
4.19는 왜 학생이 주도했나 해방이후부터 이승만 정권 말기까지 학교수와 학생수가 급증하고 문맹률이 떨어지면서 이전과는 다른 정치적 상황이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1960년 당시, 45년과 비교하여 대학생수는 10배가 늘어나 있었다 (10만명). 이때쯤에는 전국적으로 고등학생이 16만명 정도로 늘어나 있었다.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들이 늘어나니 당연히 정치적 관심이 높아졌다. 1960년 당시 "사상계" 잡지 출판 부수는 놀랍게도 5만-8만부 였다고 한다. 60-70년대에 학생시위가 정치국면을 주도하게 된 이유는 고학력자가 그 위 세대에는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은 80년대 이후 바뀌기 시작했다. 이때도 여전히 학생시위는 많았지만 이전과는 받아들여지는 무게가 바뀌기 시작했는데, 고학력자가 중년층에서도 늘기 시작하면서라고 할 .. 2023. 3. 29.
전통시대 문화적 역량과 문맹률은 별개 한국과 중국은 오랜 문화적 전통이 있는 나라다. 중국은 말할 것도 없고 한국도 문자 사용의 증거는 2000년을 넘는다. 오랫동안 책을 펴내 읽었고, 고려시대에는 8만매가 넘는 목판 인쇄를 두 번이나 감행했고, 금속활자까지 발명해서 썼다. 조선시대에도 이러한 지적 전통은 계속 이어졌다. 일정숫자의 독서인구가 없이는 작동할 수 없는 과거제가 고려시대 이후 거의 천년이 이어졌다.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역사적 평가에 인색할 필요는 전혀 없다. 하지만 여기서 한가지 착각하면 안되는 것은, 근세-혹은 근대의 "문맹률" 혹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지식의 보급"은 이러한 전통시대 문화적 역량과는 완전히 별개의 물건이라는 것이다. 낮은 문맹률은 국민국가의 수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전제조건이며, 근대국가가 작동하기 위해.. 2023. 3.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