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8 야요이시대와 고분시대에 도래한 사람들이 서로 다르다? 최근 유전학과 인류학에서 제기되는 이야기 중에 하나가 일본 야요이시대와 고분시대 사람은 조몽인과 다른 것은 분명하며 대륙에서 들어온것은 맞는데, 이 둘도 서로 간에 유전적으로 구분된다는 이야기다. 이건 아주 흥미로운 주제다. 왜냐하면 야요이시대부터 고분시대까지는 전통적으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인구 유입이 이루어졌다고 보는데, 야요이시대와 고분시대 사람이 서로 유전적으로 구분된다는 말은 한반도에도 사람들 간에 유사한 유전적 구분이 있어야 함을 전제하는 까닭이다. 고분시대 사람들을 삼국시대 사람으로 본다면, 야요이시대 사람들은 결국 우리 역사에서 청동기시대에 대응한다. 그렇다면 한반도 청동기시대 사람과 한반도 삼국시대 사람들은 유전적으로 구분된다는 의미일까? 이 문제는 단순히 일본의 예에만 머무를 수 없으며.. 2023. 4. 5. 개항하는 시점에서의 조선과 일본의 차이 흔히 개항 이전 에도시대의 일본의 상황을 과대 평가하는 경우가 많다. 그쪽이 여기보다 조선시대에 잘살던 것은 맞다. 하지만 질적으로 완전히 다른 사회는 아니다. 개항이전 에도시대와 조선의 차이는 지금으로 치면, 딱 베트남과 북한 정도 차이로 보면 된다. 지금 남한과 북한, 혹은 중국과 북한 정도의 차이가 아니라는 말이다. 따라서 개항 후 하나는 근대화에 성공하고 하나는 식민지로 전락한 이유는, 에도시대를 당시 유럽처럼 보고 과대평가하는 이외에서 원인을 찾는 것이 옳다. 2023. 4. 5. 왜 조선시대 산성은 그렇게 만들어 졌는가 요즘은 산성을 고쳐 쌓으면서 신품으로 정비해서 아귀가 딱딱 맞게 쌓아 올리던데 필자가 어린 시절 산에 올라가 보면 조선시대 산성이라는 게 막돌 쌓아 올린 것이지 제대로 쌓인 것이 거의 없어 보였다. 반면에 삼국시대 신라 산성 몇 개에서 조사할 기회가 있었는데 차라리 그 성이 훨씬 제대로 쌓인 것처럼 보였다. 삼국시대 말 신라 산성을 보면 신라가 통일할 것 같다는 감이 딱 온다. 조선시대 산성이 왜 그모양으로 쌓여졌는지 그 이유를 알고 싶다면 북한을 보면 안다. 북한 탈북자들이 요즘 유튜브에서 이구동성으로 하는 소리의 하나가, "일을 하면 돈을 받아서 너무 좋다"는 것이다. 북한은 배급이 끊기고 장마당시장에 의존하는 경제가 되어 사실 국가동원의 노역이 있으면 안 되는데 아직도 이래저래 불러대는 노동이 많다.. 2023. 4. 4. 필자의 오래된 의문, 신분제는 있었는가? 한국사회에 대한 필자의 오랜 의문 중에는 이런 게 있다. 한국처럼 20세기 이전 지지리 궁상 못 살던 나라 치고는 희안하게 신분제도가 완전히 박살이 난 상태에서 20세기를 맞았다는 것이다. 모든 사람이 다 족보가 있고 다 양반의 후손이라는 나라. 신기하지 않나? 한국보다 훨씬 풍요로운 전통시대를 거친 나라들도 20세기 넘어 21세기에도 전근대적 신분제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데가 많다. 이런 상황은 20세기 들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생각보다 연원이 꽤 올라갈 가능성이 있다. 필자는 최근 구한말 검안 서류를 좀 보는데, 여기 보면 양반, 천민, 이런 것은 그냥 폼 잡는 정도지 서로 치고 받고 고소하고 할 것 다 하는 나라가 이미 되어 있더라 이거다. 생각해 보면 이렇다. 가짜 족보를 만든다 치자. 이.. 2023. 4. 4. 우리가 19세기를 주목해야 하는 까닭 19세기는 개판 오분전으로 나라도 아닌 망조의 시대라는 선입견이 강하다. 정말 그러한가? 19세기야 말로 이전 시기의 신분제가 완전히 무너지는 시대이다. 이 백년 동안 실로 조선사회에는 엄청난 변화가 있었는데, 이 시대야 말로 어찌 보면 영-정조 시대보다도 훨씬 위대한 시대이다. 이 시기를 거쳐 이루어진 한국사 신분해방의 최종산물이야말로 수많은 "가짜족보"이다. 2023. 4. 4. 대학이 경성제대 하나였다는 것보다 더 심각한 것 흔히 일제시대 대학이 경성제대 하나였다는 것을 조선에 대한 식민지적 교육체제의 대표적 예로 거론하는데 실제로 일제시대의 "구제"교육체제를 분석하면 경성제대 문제 못지 않게 심각한 것이 "고등학교" 문제다. 일본의 구제 교육제도에서 "고등학교"는 45년 이후 "고등학교"와 성격이 다르다. 45년 이전 "고등학교"는 대학의 예과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중학교를 마치고 고등학교를 진학하면 대학본과로 진학이 가능했다. 대학본과를 졸업해야 학사학위가 나오는 점을 감안하면, 고등학교는 대학교육으로 이어지는 가장 formal한 경로였던 셈이다. 이전에도 썼지만, 일본에는 45년 이전 전국에 총 38개 고등학교가 있었고 여기에서 매년 21만명의 고등학교 졸업생이 나왔다. 바로 이 고교 졸업생이 사실상 "대학입학의 예.. 2023. 4. 1. 이전 1 ··· 266 267 268 269 270 271 272 ··· 35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