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118 일제시대 박정희 대통령의 예 다음으로 박정희 전 대통령 예를 보자. 이 양반 학력은 구미보통학교-대구사범-만주국육군군관학교(예과)-일본육사편입 (본과)이다. 박 대통령의 경우 "대구사범"을 나왔는데, 이 학교는 보통학교 졸업생이 들어갈 수 있는 학교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했다. 당시 조선 땅에는 "고등사범"이 없었기 때문에 설치된 모든 "사범학교"는 중학교 과정이었다. 따라서 대구사범을 포함한 사범학교를 졸업하면 보통학교 교사로 재직할 수 있었는데, 학력으로는 고보 졸업자와 동등하다고 할 수 있다. 대학은 바로 진학이 안 되는 학력이라고 할 수 있고, 고등학교나 고등사범, 전문학교 등을 추후 졸업해야 대학 진학이 가능한 상황이었는데, 현실적으로 고등학교와 고등사범은 조선에 없으므로 남은 선택지는 "전문학교" 외에는 없었다고 할 수.. 2023. 3. 26. 일제시대 최규하 전 대통령의 예 다음으로 일제시대 최규하崔圭夏(1919~2006) 대통령의 이력을 보자. 이 분 학력을 보면 이렇다. 원주보통학교-경성제일고보-도쿄고등사범-만주국립대동학원 앞에 손기정 선생의 예에서 언급했듯이 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최 대통령이 진학한 학교는 경성제일고보로 "중학교"과정이다. 그 다음으로 "고등학교" 과정으로 "도쿄고등사범"을 들어갔는데, 이때 최 대통령은 "경성제대 예과"에 동시 합격되었었다고 한다 (대학 예과와 고등사범, 고등학교는 동급으로 졸업후 대학본과로 진학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레벨이다). 이 "고등사범"이라는 학교는 "고등학교"가 조선에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땅에는 없던 고등 교육기관이다. 이는 경성사범, 대구사범 등 사범학교와는 다른 것이다. 조선땅에 있던 사범학교는 "소학교"를 졸업하면.. 2023. 3. 25. 일제시대 손기정 선생의 예 해방 전 식민지시대 교육제도는 해방 이후가 되면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된다. 예를 들어 고등학교 하면 해방 전과 해방 이후에 정체성 변화가 크기 때문에, 해방 전의 고등학교를 "구제 고등학교"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구제중학교"도 있고 "구제전문학교", "구제대학"도 있다. 교육기관 앞에 "구제舊劑"라는 말이 붙으면, 일제시대 일본의 교육제도 아래 편성되어 있던 학교를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일제시대 조선인 대상 교육 기관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우리가 착각을 하고 있는 부분이 많다. 특히 그 당시 실체보다 매우 부풀려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있다. 대표적인 것을 하나 써보겠다. 우선 "고보高普"는 고등학교가 아니다. 이건 사람들이 가장 착각하는것 중의 하나인데, "고보"라고 하면 일제.. 2023. 3. 25. [보유] 미국의 19-20세기 문맹률 미국의 문맹률은 1870년대에 백인은 이미 10프로 내외였다. 다시 말해서 10명 중 9명은 글을 읽었다는 뜻. 재미있는 것은 흑인도 미국은 1940년대가 되면 문맹률이 10프로 내외가 되었다. 60년대 흑인민권운동이 왜 발생하였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라 할 것이다. 1945년 당시 조선의 문맹률 75프로가 얼마나 높은 숫자였는지 잘 보여주는 지표이다. 2023. 3. 25. 마무리: 50-60년대의 위대함에 대하여 필자가 장황하게 50-60년대와 일제시대 교육을 언급한 것은 의과대학의 50-60년를 이야기하기 위해서였다. 필자는 80년대 중반 의대 본과를 진입했는데 그 당시에 이미 우리나라 의대 교육은 빈틈없이 짜여져 시계처럼 작동하고 있을 때였다. 학교 다닐 때에는 도대체 어떻게 이 시스템이 만들어졌을까 궁금할 틈도 없이 시간을 보냈는데, 문득 어느 순간인가, 80년대 중반에 빈틈 없이 짠 그 의대교육의 기원이 궁금해 졌다. 처음에는 이것이 일제시대부터 전해 내려온 의대 교육의 전통인지 알았다. 하지만 의외로 우리나라 대학교육에는 해방이후와 이전, 깊은 단절이 있었다. 해방이전 일본에서 이식되어 일본인 학생을 교육하던 시스템이라는 것이 경성의대에 존재했던 것은 분명한데, 그 시스템 작동자들은 해방과 함께 사라져 .. 2023. 3. 24. 이승만정권 관료들은 유능했다 이승만 정권 관료들은 해방 당시 인구 2천만 명 중 전문학교 이상 졸업자가 겨우 3만 명인 나라에서 뽑힌 인재들 치고는, 매우 유능했다는 것이 필자 생각이다. 일단 교육 정책을 보면, 이들은 한국이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었다. 해방 이전 고등교육 기관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다는 점을 잘 알고 있었고, 대학 교육은 가용한 재원을 모아 서울대와 지방거점 국립대 중심으로 재편하여 편성하고, 나머지 대졸자는 과감히 사립대 위주 정책으로 50년대 이후의 대졸자를 급격히 늘려갔다. 이 과정에서 토지개혁으로 창출된 자작농이 경제적으로 부담할 수 있을 정도로 대학등록금을 억제하는 대신 (우골탑) 사립대에는 각종 국가 보조금과 혜택 (토지개혁 지주층의 교육재단 전환 장려) 을 주었다. 대신 국가의 .. 2023. 3. 24. 이전 1 ··· 271 272 273 274 275 276 277 ··· 35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