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2424

느닷없이 얻어터진 유포遊布, 미래를 호시虎視하다 조선후기에는 이른바 저 유포遊布라는 존재가 있다. 쉽게 말해서 한유자閑遊者, 곧 한가롭게 놀고 먹는자에게 군역軍役을 부과해서 포를 걷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은 양반의 최하말단으로 호적에는 유학을 업무로 삼는다 해서 업유業儒, 무관을 업으로 삼는다 해서 업무業武, 그리고 균역법均役法 시행 시기에는 이른바 선무군관選武軍官, 수포군관收布軍官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사람들이다. 호적에는 드물지만 사료에 교생[校生 아닌가?]이라 하는 사람들도 여기 들어간다. 이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은 호적을 따라 내려오다 보면아주 반복무상하다. 어떤 때는 유학을 칭하다가 업유나 업무를 칭하다가균역법이 시행된 직후에는 선무군관이 되기도 한다. 균역법 이전에는 교생이나 업유, 업무라 하여 양반의 말단으로 군역을 원.. 2025. 8. 29.
2025년 11월 21일: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워크샵 올해 11월 21일 국립청주박물관과 공동으로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워크샵을 개최한다. 이 워크샵에서는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 동아시아의 고고기생충학-화장실고고학고고기생충학 연구의 세계적 동향 발굴현장에서의 작업 시료의 채취와 처리, 현미경 검사법 기생충 종의 판별유전학적 검사법 등의 순으로 강의와 실습이 진행되며동 워크샵 교재는 단행본 출판 예정이다. 고고기생충학과 화장실고고학을 안정적으로 관련 학계에 안착시키는 작업이지만, 필자에게는 지난 20여년간의 관련 작업을 정리하는 의미도 갖는다. 2025. 8. 29.
벼룩과 이를 잡아라, 나폴레옹을 박살 낸 티푸스 최근에는 판데믹 하면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직접 감염되는 세균성, 바이러스성 질환을 연상하기 마련이지만, 20세기 이전만 해도 사람들이 대량으로 죽었다 하면 이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직접 전파되는 것이 아니라 벼룩이나 이에 의해 매개되는 전염병이 훨씬 더 무서웠다. 물론 홍역이라던가 천연두라던가 하는 것도 무서웠고이 역시 사망률이 무시할 수 없었지만, 이는 모두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직접 전파되는 것이었고그 확산도 더뎌 제한적이었던데 반해, 벼룩이나 이가 전파하는 전염병은 한번 일어났다 하면 수십만을 일거에 몰살 시킬 정도로 무서웠다. 예를 들어 중세 인구의 1/3을 절멸시켰다는 흑사병은 바로 매개체가 쥐벼룩이며20세기 이전 한번 터졌다 하면 군대고 뭐고 간에 거의 몰살 시켜버렸던 티푸스이 역시 이나 벼룩.. 2025. 8. 28.
아래 유스티니아누스 판데믹에 대하여 유스티니아누스 판데믹에 대한 김단장님 글에 약간 더한다. 유스티니아누스 판데믹은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서구 의학사 연구자들에게는 꽤 유명한 것으로, 1. 유스티니아누스 판데믹2. 유럽중세 흑사병3. 19세기 말 중국 광동성 흑사병이 셋은 서로간에 밀접한 연관이 있을 가능성이 이전부터 제기되어 왔다. 그 중 세 번째, 중국 광동성 흑사병에서 페스트균이 분리되어 처음으로 페스트 Y . pestis가 알려졌고, 이 페스트 균이 중세 흑사병도 유발했을 가능성이 계속 제기되어 오다가, 얼마전 당시 인골에서 페스트균이 분리되어 중세 흑사병도 페스트에 의한 것임이 확정된 바 있었고, 이번에 유스티니아누스 판데믹에서 페스트균이 확정되었다 하므로 당초 추정하였던 것처럼 고대, 중세, 근대의 큰 판데믹 세 .. 2025. 8. 28.
잿더미에서 기적처럼 부활했다는 한국인 한국인과 한국사가 역사상 두 번의 위기가 있었다면필자가 보기엔 몽골 간섭기도 아니고, 임진왜란도 아니고, 바로 한군현 시기와 일제시대다. 이 두 시대는 한국을 침략해 들어온 두 세력과의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역량이그야말로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 때문에 한국사 자체에도 큰 영향을 남겼다. 전자의 경우 당시 한 제국의 영향 하에 들어간 지역 중 그 후 독립하여 별도의 문명을 형성한 지역이 단 한 군데도 없다는 점에서 (베트남은 천년 후 독립)그 당시 한국인의 조상이라 할 한반도와 남만주 일대 사람들이얼마나 큰 위기였는지 알 수 있다. 두 번째는 일제시대로 이 역시 이 시기로 들어가기 전 조선 사회가 18세기 말까지도 노비사역이 끝나지 않은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에 비해서도 낙후된 상.. 2025. 8. 28.
[연구소식] Korean Mummies of the Joseon Kingdom 이제 공개할 때가 된것 같아 포스팅한다. 필자가 주편집자로 오창석, 홍종하 교수가 함께 편집에 참여한 "Korean Mummies of the Joseon Kingdom"이 길고 긴 편집작업을 마치고 조만간 최종 출판에 들어간다. 올해가 가기 전에 여러분들 앞에 완성본으로 소개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것으로 필자의 조선시대 미라 연구 작업은 큰 종결부를 찍는다. 참여해주신 모든 공저자 분들께 깊은 감사를 올린다. 2025. 8. 28.
반응형